맹자철학에 대한 해석과 조선유학의 전개 -‘心性論’을 중심으로-
The Interpretation of Mencius’s Philosophy and Development of Joseon Confucianism
동아인문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맹자철학에 대한 해석과 조선유학의 전개 -‘心性論’을 중심으로-
The Interpretation of Mencius’s Philosophy and Development of Joseon Confucianism
동아인문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유학의 理 개념에 나타난 종교적 성격 연구 -退溪의 理發에서 茶山의 上帝까지-
A Study on the Religious Character of the Concept Li in Korean Confucianism: -from Toegye’s “li issues” to Dasan’s “Lord on High”-
철학연구 |
39 |
2010 |
철학
조선유학의 理 개념에 나타난 종교적 성격 연구 -退溪의 理發에서 茶山의 上帝까지-
A Study on the Religious Character of the Concept Li in Korean Confucianism: -from Toegye’s “li issues” to Dasan’s “Lord on High”-
철학연구 |
|
39 |
2010 |
철학
신독에 관한 고찰
A Treatise Concerning shendu
범한철학 |
60 |
1 |
2011 |
철학
신독에 관한 고찰
A Treatise Concerning shendu
범한철학 |
60 |
1 |
2011 |
철학
天 개념의 이해와 事ㆍ物의 합리적 해석 -윤휴와 정약용의 天觀과 格物說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of Heaven and Rational Explicationon Events or Things - Focusing on the Theories of Yun Hyu and Jeong Yak-yong -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天 개념의 이해와 事ㆍ物의 합리적 해석 -윤휴와 정약용의 天觀과 格物說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of Heaven and Rational Explicationon Events or Things - Focusing on the Theories of Yun Hyu and Jeong Yak-yong -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한국 유학의 『대학』 체재에 대한 이해(2) − <고본대학> 체재의 정합성을 인정하는 학자를 중심으로 −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e Great Learning in the Korean Confucianism(Ⅱ) - Laying Stress on the Scholars acknowledging the Structure of Gobondaehak -
동양철학연구 |
66 |
2011 |
철학
한국 유학의 『대학』 체재에 대한 이해(2) − <고본대학> 체재의 정합성을 인정하는 학자를 중심으로 −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e Great Learning in the Korean Confucianism(Ⅱ) - Laying Stress on the Scholars acknowledging the Structure of Gobondaehak -
동양철학연구 |
66 |
2011 |
철학
한국 유학의 『대학』 체재에 대한 이해(2) − <고본대학> 체재의 정합성을 인정하는 학자를 중심으로 −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e Great Learning in the Korean Confucianism(Ⅱ) - Laying Stress on the Scholars acknowledging the Structure of Gobondaehak -
동양철학연구 |
66 |
2011 |
철학
만주 역사를 바라보는 한국적 시각의 한 모색 - 許穆과 丁若鏞의 만주 諸種族 인식을 端緖로 -
The Search for Korean Perspective on Manchu Studies - Heo Mok and Jeong Yakyong’s Historical Study on Ethnic Groups in Manchu -
역사와 담론 |
55 |
2010 |
역사학
만주 역사를 바라보는 한국적 시각의 한 모색 - 許穆과 丁若鏞의 만주 諸種族 인식을 端緖로 -
The Search for Korean Perspective on Manchu Studies - Heo Mok and Jeong Yakyong’s Historical Study on Ethnic Groups in Manchu -
역사와 담론 |
|
55 |
2010 |
역사학
만주 역사를 바라보는 한국적 시각의 한 모색 - 許穆과 丁若鏞의 만주 諸種族 인식을 端緖로 -
The Search for Korean Perspective on Manchu Studies - Heo Mok and Jeong Yakyong’s Historical Study on Ethnic Groups in Manchu -
역사와 담론 |
55 |
2010 |
역사학
만주 역사를 바라보는 한국적 시각의 한 모색 - 許穆과 丁若鏞의 만주 諸種族 인식을 端緖로 -
The Search for Korean Perspective on Manchu Studies - Heo Mok and Jeong Yakyong’s Historical Study on Ethnic Groups in Manchu -
역사와 담론 |
|
55 |
2010 |
역사학
비교사상사의 관점에서 18세기 동아시아 유학자들의 사상세계를 논함
從比較思想史觀點論十八世紀東亞儒者的思想世界
한국실학연구 |
19 |
2010 |
역사학
비교사상사의 관점에서 18세기 동아시아 유학자들의 사상세계를 논함
從比較思想史觀點論十八世紀東亞儒者的思想世界
한국실학연구 |
|
19 |
2010 |
역사학
최초의 영상기구, 카메라 옵스쿠라의 문화사적 의미
The Cultural Meanings of the first optical insturment, Camera obscura, in the pre-modern Age
영상문화 |
16 |
2010 |
학제간연구
최초의 영상기구, 카메라 옵스쿠라의 문화사적 의미
The Cultural Meanings of the first optical insturment, Camera obscura, in the pre-modern Age
영상문화 |
|
16 |
2010 |
학제간연구
茶山 丁若鏞의 『讀禮通考』 硏究 初探
A Basic Examination of Dulitongkao(讀禮通考) Studied Critically by Yak-yong Cheong
한국실학연구 |
21 |
2011 |
역사학
19세기 초학교재에 나타난 아동교육관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Views on Child Education in Nineteenth Elementary Teaching Materials
漢文古典硏究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비교사상사의 관점에서 18세기 동아시아 유학자들의 사상세계를 논함
從比較思想史觀點論十八世紀東亞儒者的思想世界
한국실학연구 |
19 |
2010 |
역사학
비교사상사의 관점에서 18세기 동아시아 유학자들의 사상세계를 논함
從比較思想史觀點論十八世紀東亞儒者的思想世界
한국실학연구 |
|
19 |
2010 |
역사학
현암 이을호의 삶과 학문
The life and study of Lee Eul-ho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현암 이을호의 삶과 학문
The life and study of Lee Eul-ho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星湖學派의 <대학> 해석- 星湖․貞山․茶山을 중심으로 -
The [Dae-hak] Interpretation of The Seong-ho School - Centering on Seong-ho, Jeong-san, & Da-san -
한국실학연구 |
19 |
2010 |
역사학
星湖學派의 <대학> 해석- 星湖․貞山․茶山을 중심으로 -
The [Dae-hak] Interpretation of The Seong-ho School - Centering on Seong-ho, Jeong-san, & Da-san -
한국실학연구 |
|
19 |
2010 |
역사학
近畿南人으로서의 星湖 李瀷의 易學思想 - 「蓍卦攷」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Ching of Lee Ik(李瀷) as a Member of South Faction near Seoul - Centering around “Shiguakao(「蓍卦攷」)”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
도덕적 완성에 이르는 네 가지의 길 : 추월(追越, 推越)론 정립을 위한 시론
Four ways to moral perfection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다산의 仁論 연구 ― 주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n(仁) of Dasan-centered on compared with Chu-Hsi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다산의 仁論 연구 ― 주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n(仁) of Dasan-centered on compared with Chu-Hsi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燕巖 朴趾源의 士意識
Yeon-am Park Ji-won's spirit of Classical Scholar
동양한문학연구 |
34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다산의 仁論 연구 ― 주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n(仁) of Dasan-centered on compared with Chu-Hsi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다산의 仁論 연구 ― 주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n(仁) of Dasan-centered on compared with Chu-Hsi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近畿南人으로서의 星湖 李瀷의 易學思想 - 「蓍卦攷」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Ching of Lee Ik(李瀷) as a Member of South Faction near Seoul - Centering around “Shiguakao(「蓍卦攷」)”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
近畿南人으로서의 星湖 李瀷의 易學思想 - 「蓍卦攷」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Ching of Lee Ik(李瀷) as a Member of South Faction near Seoul - Centering around “Shiguakao(「蓍卦攷」)”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
주자와 다산의 미발설과 수양론적 특징
朱子和茶山的未发说与其修养论
철학연구 |
46 |
2012 |
철학
曆書의 네트워크 : 왕의 시간과 일상생활
The Network of Almanac: King's Time and Its practical Uses in Everyday Life
영남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曆書의 네트워크 : 왕의 시간과 일상생활
The Network of Almanac: King's Time and Its practical Uses in Everyday Life
영남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筆寫本 『秋雲茶集』의 資料的 價値
A Study on the manuscript Choo-Woon-Da-Jip (秋雲茶集)
동양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筆寫本 『秋雲茶集』의 資料的 價値
A Study on the manuscript Choo-Woon-Da-Jip (秋雲茶集)
동양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
성리학의 심성론과 도덕교육
The Neo-Confucian Theory of Human Mind-Nature and The Moral Education
도덕교육연구 |
22 |
2 |
2011 |
교육학
关于《中庸》首章“率性之谓道”朱子与茶山注释的对比硏究
Zhu Xi and Tasan’s Interpretations on the Doctrine of the Means : Focusing on the Phrase“To Follow Nature is Called Nature”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
18 |
2012 |
유교학
『三倉館集』을 통해 살펴본 酉山 丁學淵의 초기 시세계
Yusan Jeong Hakyoen's early poetry interpreted through Samchanggwanjip, a collection of poems
시학과 언어학 |
23 |
2012 |
기타인문학
동아시아 전통 喪禮 ‘披髮’의 기원 고찰 —丁若鏞 등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禮學觀을 중심으로
東亞傳統喪禮“披髮”溯源 —以朝鮮時代學者丁若鏞等士大夫禮學觀為核心的觀
규장각 |
38 |
2011 |
기타인문학
筆寫本 『秋雲茶集』의 資料的 價値
A Study on the manuscript Choo-Woon-Da-Jip (秋雲茶集)
동양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筆寫本 『秋雲茶集』의 資料的 價値
A Study on the manuscript Choo-Woon-Da-Jip (秋雲茶集)
동양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
정약용의 「주자본의발미」 연구
A Study on Cheong Yag-yong’s Zhuzi Benyi Fawei
다산학 |
19 |
2011 |
인문학
筆寫本 『秋雲茶集』의 資料的 價値
A Study on the manuscript Choo-Woon-Da-Jip (秋雲茶集)
동양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筆寫本 『秋雲茶集』의 資料的 價値
A Study on the manuscript Choo-Woon-Da-Jip (秋雲茶集)
동양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
東亞傳統喪禮“披髮”溯源 —以朝鮮時代學者丁若鏞等士大夫禮學觀為核心的觀察
동아시아 전통 喪禮 ‘披髮’의 기원 고찰 —丁若鏞 등 조선시대 사대부들의禮學觀을 중심으로
규장각 |
38 |
2011 |
기타인문학
『중용』과 귀신의 관계, ‘중용’의 정식화의 연구
A study on relation of Zhongyong and Supernatural being, Formulation of ‘zhongyong’
유교사상문화연구 |
41 |
2010 |
유교학
『중용』과 귀신의 관계, ‘중용’의 정식화의 연구
A study on relation of Zhongyong and Supernatural being, Formulation of ‘zhongyong’
유교사상문화연구 |
|
41 |
2010 |
유교학
조선후기 陽明心學的 서예미학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s of Calligraphy Influenced by Yang Ming's Philosophy of Mind in the Lat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서예학연구 |
18 |
2011 |
서예
『三倉館集』을 통해 살펴본 酉山 丁學淵의 초기 시세계
Yusan Jeong Hakyoen's early poetry interpreted through Samchanggwanjip, a collection of poems
시학과 언어학 |
23 |
2012 |
기타인문학
悳泉 成璣運의 性理思想 계승발전
Succeed and Development Neo-confucianism of Dukchun
간재학논총 |
12 |
2011 |
한국유가철학
星湖學派의 王覇論 — 星湖와 茶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eongho School’s Wangpae Theory(王覇論) - Focusing on Seongho (星湖) and Dasan(茶山)
동양고전연구 |
44 |
2011 |
기타인문학
동아시아 우주론의 해체와 통합 — 동아시아 전통 우주론의 구성 원리인 상관적 사유를 계승한 대안적 우주론의 모색 —
The Deconstruction and Integration of East Asian Cosmology
동양고전연구 |
44 |
2011 |
기타인문학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실학관 비교
A Study about Ogyu Sorai(荻生徂徠) and Dasan(茶山)‘s Silhak
한국실학연구 |
22 |
2011 |
역사학
영혼의 순례 -19~20세기 한국 지식인들의 ‘영혼’ 인식과 재전유의 궤적-
Soul Pilgrimage: Traces of Korean Intellectuals' Recognitions and Re-appropriation for “Soul” in 19th and 20th Centuries
동방학지 |
152 |
2010 |
기타인문학
영혼의 순례 -19~20세기 한국 지식인들의 ‘영혼’ 인식과 재전유의 궤적-
Soul Pilgrimage: Traces of Korean Intellectuals' Recognitions and Re-appropriation for “Soul” in 19th and 20th Centuries
동방학지 |
|
152 |
2010 |
기타인문학
영혼의 순례 -19~20세기 한국 지식인들의 ‘영혼’ 인식과 재전유의 궤적-
Soul Pilgrimage: Traces of Korean Intellectuals' Recognitions and Re-appropriation for “Soul” in 19th and 20th Centuries
동방학지 |
152 |
2010 |
기타인문학
영혼의 순례 -19~20세기 한국 지식인들의 ‘영혼’ 인식과 재전유의 궤적-
Soul Pilgrimage: Traces of Korean Intellectuals' Recognitions and Re-appropriation for “Soul” in 19th and 20th Centuries
동방학지 |
|
152 |
2010 |
기타인문학
정약용의 「주자본의발미」 연구
A Study on Cheong Yag-yong’s Zhuzi Benyi Fawei
다산학 |
19 |
2011 |
인문학
영혼의 순례 -19~20세기 한국 지식인들의 ‘영혼’ 인식과 재전유의 궤적-
Soul Pilgrimage: Traces of Korean Intellectuals' Recognitions and Re-appropriation for “Soul” in 19th and 20th Centuries
동방학지 |
152 |
2010 |
기타인문학
영혼의 순례 -19~20세기 한국 지식인들의 ‘영혼’ 인식과 재전유의 궤적-
Soul Pilgrimage: Traces of Korean Intellectuals' Recognitions and Re-appropriation for “Soul” in 19th and 20th Centuries
동방학지 |
|
152 |
2010 |
기타인문학
尹愭의 「家禁」에 나타난 家庭敎育의 面貌와 現代的 意味
Appearance and Modern Acception of Home Education in Yoon Ki’s 「Ga Geum」
동방한문학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朝鮮의 은광 개발 열풍-安命觀과 無賴輩를 위한 頌歌-
The exploitation fever of a silver mine in the 18th century in Chosun
고전과 해석 |
9 |
2010 |
국문학사
18세기 朝鮮의 은광 개발 열풍-安命觀과 無賴輩를 위한 頌歌-
The exploitation fever of a silver mine in the 18th century in Chosun
고전과 해석 |
9 |
|
2010 |
국문학사
朝鮮後期의 鄕村防衛實情과 民堡論
The State of the Rural Defense and Public Defense Discussion(Min Bo Ron) in the Late Chosŏn
역사교육 |
114 |
2010 |
역사학
18세기 朝鮮의 은광 개발 열풍-安命觀과 無賴輩를 위한 頌歌-
The exploitation fever of a silver mine in the 18th century in Chosun
고전과 해석 |
9 |
2010 |
국문학사
18세기 朝鮮의 은광 개발 열풍-安命觀과 無賴輩를 위한 頌歌-
The exploitation fever of a silver mine in the 18th century in Chosun
고전과 해석 |
9 |
|
2010 |
국문학사
實學 연구의 맥락과 鄭寅普의 “依獨求實”
A coherence of study on Shilhak and “Euidokgushil―deriving practical value based on the uniqueness” written by Jung In-bo
민족문화논총 |
50 |
2012 |
기타인문학
18세기 朝鮮의 은광 개발 열풍-安命觀과 無賴輩를 위한 頌歌-
The exploitation fever of a silver mine in the 18th century in Chosun
고전과 해석 |
9 |
2010 |
국문학사
18세기 朝鮮의 은광 개발 열풍-安命觀과 無賴輩를 위한 頌歌-
The exploitation fever of a silver mine in the 18th century in Chosun
고전과 해석 |
9 |
|
2010 |
국문학사
語文敎育의 人文學的 基盤과 指向
The Humane Basis and the Pursuit of Education of Language Culture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星湖學派의 <대학> 해석- 星湖․貞山․茶山을 중심으로 -
The [Dae-hak] Interpretation of The Seong-ho School - Centering on Seong-ho, Jeong-san, & Da-san -
한국실학연구 |
19 |
2010 |
역사학
星湖學派의 <대학> 해석- 星湖․貞山․茶山을 중심으로 -
The [Dae-hak] Interpretation of The Seong-ho School - Centering on Seong-ho, Jeong-san, & Da-san -
한국실학연구 |
|
19 |
2010 |
역사학
『목민심서』 속, 가족의 두 얼굴
Two faces of family seen in Mongmin simseo(牧民心書)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목민심서』 속, 가족의 두 얼굴
Two faces of family seen in Mongmin simseo(牧民心書)
한국사상사학 |
|
36 |
2010 |
역사학
‘유배’를 제재로 한 현대시의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spect of Modern Poetry with ‘Exile’ Material
한국문예비평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정약용의 「주자본의발미」 연구
A Study on Cheong Yag-yong’s Zhuzi Benyi Fawei
다산학 |
19 |
2011 |
인문학
조선후기 목민학의 계보와 『목민심서』
A Geneology of Studies on Local Administration in Joseon Dynasty and 『Mokminsimseo(牧民心書)』
조선시대사학보 |
52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목민학의 계보와 『목민심서』
A Geneology of Studies on Local Administration in Joseon Dynasty and 『Mokminsimseo(牧民心書)』
조선시대사학보 |
|
52 |
2010 |
역사학
「樂書孤存」에서 茶山의 樂器論(II) -塤을 중심으로-
Research about Dasan's(茶山) instruments from Akseogojon(樂書孤存)(II) -based on Hoon(塤)-
남북문화예술연구 |
10 |
2012 |
기타예술일반
實學 연구의 맥락과 鄭寅普의 “依獨求實”
A coherence of study on Shilhak and “Euidokgushil―deriving practical value based on the uniqueness” written by Jung In-bo
민족문화논총 |
50 |
2012 |
기타인문학
다산 정약용의 행정사상에 비추어 본 행정개혁안의 고찰
A Study on Dasan's Administrative Philosophy and Administrative Reforms
사회과학연구 |
17 |
3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다산 정약용의 행정사상에 비추어 본 행정개혁안의 고찰
A Study on Dasan's Administrative Philosophy and Administrative Reforms
사회과학연구 |
17 |
3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茶山 論의 문체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literary style in "Non(論)" of Da San(茶山)
漢文學報 |
23 |
2010 |
한문학
茶山 論의 문체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literary style in "Non(論)" of Da San(茶山)
漢文學報 |
23 |
|
2010 |
한문학
일제강점기 정인보鄭寅普·안재홍安在鴻·최익한崔益翰의 다산茶山 연구
A study on Tasan by Cheong Inbo, An Jaihong, Choi Ikh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다산학 |
17 |
2010 |
인문학
일제강점기 정인보鄭寅普·안재홍安在鴻·최익한崔益翰의 다산茶山 연구
A study on Tasan by Cheong Inbo, An Jaihong, Choi Ikh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다산학 |
|
17 |
2010 |
인문학
약천 남구만의 형정론刑政論에 대한 다산 정약용의 비판
A Study of Chongyakyong's Critics on Namguman's Legal Idea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春秋左氏傳』의 占辭 解釋 硏究- 朱熹, 毛奇齡, 丁若鏞을 중심으로-
Interpretation of Divination Statement in Spring and Autum Period Annals with Commentary of Zuo - from the Perspective of Zhu Xi, Mao Qiling, and Chong Yag-yong
한국실학연구 |
21 |
2011 |
역사학
19세기 초 문순득의 표류경험과 그 영향
Mun Sun-deuk’s Drifting Experiences and Influences in the Early 19th Centur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19세기 초 문순득의 표류경험과 그 영향
Mun Sun-deuk’s Drifting Experiences and Influences in the Early 19th Centur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실학개념논쟁과 이을호의 실학관
对实学概念的论辩与李乙浩之实学观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실학개념논쟁과 이을호의 실학관
对实学概念的论辩与李乙浩之实学观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마음의 理氣와 자연의 理氣 정약용의 四端七情論爭 평가에 대한 재평가
Li-gi of Mind-heart and Li-gi of Nature: A Revaluation on Jeong Yak-yong's Evaluation on Four-Seven Debate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마음의 理氣와 자연의 理氣 정약용의 四端七情論爭 평가에 대한 재평가
Li-gi of Mind-heart and Li-gi of Nature: A Revaluation on Jeong Yak-yong's Evaluation on Four-Seven Debate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약천 남구만의 형정론刑政論에 대한 다산 정약용의 비판
A Study of Chongyakyong's Critics on Namguman's Legal Idea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실학개념논쟁과 이을호의 실학관
对实学概念的论辩与李乙浩之实学观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실학개념논쟁과 이을호의 실학관
对实学概念的论辩与李乙浩之实学观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Tasan Cheong Yagyong in Japanese Imperialism Era
다산학 |
17 |
2010 |
인문학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Tasan Cheong Yagyong in Japanese Imperialism Era
다산학 |
|
17 |
2010 |
인문학
朝鮮 後期 『讀禮通考』의 수용과 영향
朝鲜后期《讀礼通考》的受容与影响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朝鮮 後期 『讀禮通考』의 수용과 영향
朝鲜后期《讀礼通考》的受容与影响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목민심서』 속, 가족의 두 얼굴
Two faces of family seen in Mongmin simseo(牧民心書)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목민심서』 속, 가족의 두 얼굴
Two faces of family seen in Mongmin simseo(牧民心書)
한국사상사학 |
|
36 |
2010 |
역사학
儒佛의 茶詩 世界
The world of dasi in the yubul
한국사상과 문화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儒佛의 茶詩 世界
The world of dasi in the yubul
한국사상과 문화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 자료 『치원소고(巵園小藁)』와 황상(黃裳)의 만년 교유
A new materials of and the contents of old-age exchanges of Hwangsang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정약용의 「주자본의발미」 연구
A Study on Cheong Yag-yong’s Zhuzi Benyi Fawei
다산학 |
19 |
2011 |
인문학
19세기 초 문순득의 표류경험과 그 영향
Mun Sun-deuk’s Drifting Experiences and Influences in the Early 19th Centur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19세기 초 문순득의 표류경험과 그 영향
Mun Sun-deuk’s Drifting Experiences and Influences in the Early 19th Centur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1930년대 안재홍의 ‘조선학운동’과 민족사 서술
Korean Studies and National History during 1930s: Exploring An Chae-Hong's narrative
아시아문화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星湖學派의 盡心ㆍ知性ㆍ事天에 대한 해석 ― 『孟子』 「盡心上」 1章의 해석을 중심으로 ―
Interpretation of Sincerity(盡心)ㆍIntelligence(知性)ㆍReverence(事天) of Seongho School
동양철학 |
33 |
2010 |
철학
星湖學派의 盡心ㆍ知性ㆍ事天에 대한 해석 ― 『孟子』 「盡心上」 1章의 해석을 중심으로 ―
Interpretation of Sincerity(盡心)ㆍIntelligence(知性)ㆍReverence(事天) of Seongho School
동양철학 |
|
33 |
2010 |
철학
1930년대 안재홍의 ‘조선학운동’과 민족사 서술
Korean Studies and National History during 1930s: Exploring An Chae-Hong's narrative
아시아문화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목민학의 계보와 『목민심서』
A Geneology of Studies on Local Administration in Joseon Dynasty and 『Mokminsimseo(牧民心書)』
조선시대사학보 |
52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목민학의 계보와 『목민심서』
A Geneology of Studies on Local Administration in Joseon Dynasty and 『Mokminsimseo(牧民心書)』
조선시대사학보 |
|
52 |
2010 |
역사학
조지훈 시의 형이상적 성격과 현실주의
Actualism and metaphysical characteristic of Cho Chi-hun poems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새 자료 『치원소고(巵園小藁)』와 황상(黃裳)의 만년 교유
A new materials of and the contents of old-age exchanges of Hwangsang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守吾齋記>의 의미분석과 교육적 활용
“Suojaegi(守吾齋記)”: Its Analysis and Educational Application
동양고전연구 |
48 |
2012 |
기타인문학
茶山의 春川紀行詩 硏究 — 『穿牛紀行』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em of visiting Chuncheon by Dasan Jeong, Yakyong - Focused on the visit of Cheonwoo(穿牛紀行)
漢文古典硏究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正祖年間 茶山의 苦惱와 詩的 形象化
The Agonies of Dasan[茶山] & His Poetic Imagery during the JungJo[正祖] Era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正祖年間 茶山의 苦惱와 詩的 形象化
The Agonies of Dasan[茶山] & His Poetic Imagery during the JungJo[正祖] Era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玄庵의 茶山易學 연구의 선구자적 위상
Hyunam's pioneering phase in researches about Tasan's philosophy on the Book of Changes
孔子學 |
18 |
2010 |
기타유교학
玄庵의 茶山易學 연구의 선구자적 위상
Hyunam's pioneering phase in researches about Tasan's philosophy on the Book of Changes
孔子學 |
|
18 |
2010 |
기타유교학
恭齋 尹斗緖의 國內外 地理認識과 地圖作成
Gongjae Yun Du-seo’s Recognition of Domestic and External Geography and Map Making
역사민속학 |
37 |
2011 |
역사학
玄庵의 茶山易學 연구의 선구자적 위상
Hyunam's pioneering phase in researches about Tasan's philosophy on the Book of Changes
孔子學 |
18 |
2010 |
기타유교학
玄庵의 茶山易學 연구의 선구자적 위상
Hyunam's pioneering phase in researches about Tasan's philosophy on the Book of Changes
孔子學 |
|
18 |
2010 |
기타유교학
『목민심서』 연구: 통치기술의 관점에서 읽기
A Study on Mokminsimseo(『牧民心書』): Read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rt of Government
역사교육 |
123 |
2012 |
역사학
茶山 丁若鏞의 杜甫詩 收容樣相
茶山丁若鏞的杜甫詩收容樣相
동아인문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茶山 丁若鏞의 杜甫詩 收容樣相
茶山丁若鏞的杜甫詩收容樣相
동아인문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여유당집”의 성립에 관한 고찰
On the Formation of the “Anthology of Yeoyudang” (“Yeoyudang jip”)
다산학 |
18 |
2011 |
인문학
이담속찬의 이본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t Versions of Idamsokchan
다산학 |
18 |
2011 |
인문학
주자와 다산의 미발설과 수양론적 특징
朱子和茶山的未发说与其修养论
철학연구 |
46 |
2012 |
철학
『대학』 해석의 특징적 두 양상 - 주자와 다산의 관점 비교 -
The Characteristic Two Aspects of the Interpretation on the Great Learni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Viewpoint of Chu-Hsi and Da-San-
유교사상문화연구 |
46 |
2011 |
유교학
天, 上帝, 理: 조선 유학과 『天主實義』
天, 上帝, 理: 朝鮮 儒學と 『天主實義』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天, 上帝, 理: 조선 유학과 『天主實義』
天, 上帝, 理: 朝鮮 儒學と 『天主實義』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文山 李載毅의 삶과 交遊
Moonsan Lee, Jae-ui's Life & Friendship
한국인물사연구 |
13 |
2010 |
역사학
文山 李載毅의 삶과 交遊
Moonsan Lee, Jae-ui's Life & Friendship
한국인물사연구 |
|
13 |
2010 |
역사학
현암 이을호의 국역『四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Hyeon-am Lee Eul-ho's Korean Translation of Sa-seo(四書: Four Confucian Books of Ancient China)
孔子學 |
18 |
2010 |
기타유교학
현암 이을호의 국역『四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Hyeon-am Lee Eul-ho's Korean Translation of Sa-seo(四書: Four Confucian Books of Ancient China)
孔子學 |
|
18 |
2010 |
기타유교학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Tasan Cheong Yagyong in Japanese Imperialism Era
다산학 |
17 |
2010 |
인문학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Tasan Cheong Yagyong in Japanese Imperialism Era
다산학 |
|
17 |
2010 |
인문학
일제강점기 정인보鄭寅普·안재홍安在鴻·최익한崔益翰의 다산茶山 연구
A study on Tasan by Cheong Inbo, An Jaihong, Choi Ikh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다산학 |
17 |
2010 |
인문학
일제강점기 정인보鄭寅普·안재홍安在鴻·최익한崔益翰의 다산茶山 연구
A study on Tasan by Cheong Inbo, An Jaihong, Choi Ikh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다산학 |
|
17 |
2010 |
인문학
<道康瞽家婦詞>의 형식과 목소리 - 한문 단편서사시 분석 試論
The Form and the Voice of Dogang-Gogabu-sa
한국시가문화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道康瞽家婦詞>의 형식과 목소리 - 한문 단편서사시 분석 試論
The Form and the Voice of Dogang-Gogabu-sa
한국시가문화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학』 해석의 특징적 두 양상 - 주자와 다산의 관점 비교 -
The Characteristic Two Aspects of the Interpretation on the Great Learni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Viewpoint of Chu-Hsi and Da-San-
유교사상문화연구 |
46 |
2011 |
유교학
단국대본 『주역사전』 연구 -정고본 및 신조본의 저본을 찾기 위한 두 번째 시론
A Study on the Zhouyisijian Manuscript of Dankook University : Second Essay to Search for the Finalised Version of Zhouyisijian and Original Copy of Sinjoseonsabon
다산학 |
17 |
2010 |
인문학
단국대본 『주역사전』 연구 -정고본 및 신조본의 저본을 찾기 위한 두 번째 시론
A Study on the Zhouyisijian Manuscript of Dankook University : Second Essay to Search for the Finalised Version of Zhouyisijian and Original Copy of Sinjoseonsabon
다산학 |
|
17 |
2010 |
인문학
正祖年間 茶山의 苦惱와 詩的 形象化
The Agonies of Dasan[茶山] & His Poetic Imagery during the JungJo[正祖] Era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正祖年間 茶山의 苦惱와 詩的 形象化
The Agonies of Dasan[茶山] & His Poetic Imagery during the JungJo[正祖] Era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茶山 丁若鏞의 최고 정치지도자론 탐색
Dasan Jeong Yak-Yong's theory of the political leader
동양철학연구 |
70 |
2012 |
철학
天, 上帝, 理: 조선 유학과 『天主實義』
天, 上帝, 理: 朝鮮 儒學と 『天主實義』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天, 上帝, 理: 조선 유학과 『天主實義』
天, 上帝, 理: 朝鮮 儒學と 『天主實義』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목민심서』 연구: 통치기술의 관점에서 읽기
A Study on Mokminsimseo(『牧民心書』): Read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rt of Government
역사교육 |
123 |
2012 |
역사학
정약용 경학사상의 인식론적 전환과 근대 서구과학정신
An Epistemological Shift and Its Modern Scientific Ethos in the Kyunghak Thought of Chung Yak Yong
담론201 |
14 |
2 |
2011 |
사회학
정정제두와 정약용 『맹자』 주석의 인간학적 이해
The Understanding of the Jeong Jae-du and Jeong Yak-yong's Interpretation on the Works of Mencius Basing on the Humanics
유교사상문화연구 |
45 |
2011 |
유교학
恭齋 尹斗緖의 國內外 地理認識과 地圖作成
Gongjae Yun Du-seo’s Recognition of Domestic and External Geography and Map Making
역사민속학 |
37 |
2011 |
역사학
<守吾齋記>의 의미분석과 교육적 활용
“Suojaegi(守吾齋記)”: Its Analysis and Educational Application
동양고전연구 |
48 |
2012 |
기타인문학
<守吾齋記>의 의미분석과 교육적 활용
“Suojaegi(守吾齋記)”: Its Analysis and Educational Application
동양고전연구 |
48 |
2012 |
기타인문학
玄庵 李乙浩의 茶山 論語學에 관한 연구
Yi, Eul-Ho(Hyun-Am)'s research on Dasan's Nonhaks
동방한문학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玄庵 李乙浩의 茶山 論語學에 관한 연구
Yi, Eul-Ho(Hyun-Am)'s research on Dasan's Nonhaks
동방한문학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조正祖·정약용丁若鏞·서유구徐有榘의 십삼경十三經 이해
King Jeongjo’s and Jeong Yagyong’s and Seo Yugu’s Understanding of the Thirteen Confucian Classics
다산학 |
16 |
2010 |
인문학
정조正祖·정약용丁若鏞·서유구徐有榘의 십삼경十三經 이해
King Jeongjo’s and Jeong Yagyong’s and Seo Yugu’s Understanding of the Thirteen Confucian Classics
다산학 |
|
16 |
2010 |
인문학
정정제두와 정약용 『맹자』 주석의 인간학적 이해
The Understanding of the Jeong Jae-du and Jeong Yak-yong's Interpretation on the Works of Mencius Basing on the Humanics
유교사상문화연구 |
45 |
2011 |
유교학
『맹자』에 나타난 도덕 행위 도출에 관한 심리적 고찰 - 若鏞의 『孟子要義』를 중심으로
Psychological analysis on deduction of moral behaviors in Mencius - Focusing on Chŏng Yag-yong's "Commentary on Mencius (Maengja yoŭi)"
동양철학연구 |
61 |
2010 |
철학
『맹자』에 나타난 도덕 행위 도출에 관한 심리적 고찰 - 若鏞의 『孟子要義』를 중심으로
Psychological analysis on deduction of moral behaviors in Mencius - Focusing on Chŏng Yag-yong's "Commentary on Mencius (Maengja yoŭi)"
동양철학연구 |
|
61 |
2010 |
철학
현암의 다산사상 이해에 적용된 시각문제
Hyonam's viewpoint problem of applied to understand on Dasan Thought
孔子學 |
19 |
2010 |
기타유교학
현암의 다산사상 이해에 적용된 시각문제
Hyonam's viewpoint problem of applied to understand on Dasan Thought
孔子學 |
|
19 |
2010 |
기타유교학
茶山의 庸學⋅孟子에 대한 이을호의 洙泗學的 硏究
Lee Eul-ho’s Study of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The Great Learning and Mencius of Jung Yak-yong in the Aspect of Susa Learning(洙泗學)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茶山의 庸學⋅孟子에 대한 이을호의 洙泗學的 硏究
Lee Eul-ho’s Study of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The Great Learning and Mencius of Jung Yak-yong in the Aspect of Susa Learning(洙泗學)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17-18世紀 韓⋅中⋅日 儒學에서의 人間理解 硏究 — 王夫之⋅丁若鏞⋅伊藤仁齋를 중심으로 —
The view of human on Korean⋅Chinese⋅Japanese Confucianism in 17-18C - Focused on Wang Fu-zhi, Jeong Yak-yong, Ito Jin-sai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17-18世紀 韓⋅中⋅日 儒學에서의 人間理解 硏究 — 王夫之⋅丁若鏞⋅伊藤仁齋를 중심으로 —
The view of human on Korean⋅Chinese⋅Japanese Confucianism in 17-18C - Focused on Wang Fu-zhi, Jeong Yak-yong, Ito Jin-sai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17-18世紀 韓⋅中⋅日 儒學에서의 人間理解 硏究 — 王夫之⋅丁若鏞⋅伊藤仁齋를 중심으로 —
The view of human on Korean⋅Chinese⋅Japanese Confucianism in 17-18C - Focused on Wang Fu-zhi, Jeong Yak-yong, Ito Jin-sai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17-18世紀 韓⋅中⋅日 儒學에서의 人間理解 硏究 — 王夫之⋅丁若鏞⋅伊藤仁齋를 중심으로 —
The view of human on Korean⋅Chinese⋅Japanese Confucianism in 17-18C - Focused on Wang Fu-zhi, Jeong Yak-yong, Ito Jin-sai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정제두와 정약용 『맹자』 주석의 인간학적 이해
The Understanding of the Jeong Jae-du and Jeong Yak-yong's Interpretation on the Works of Mencius Basing on the Humanics
유교사상문화연구 |
45 |
2011 |
유교학
17-18世紀 韓⋅中⋅日 儒學에서의 人間理解 硏究 — 王夫之⋅丁若鏞⋅伊藤仁齋를 중심으로 —
The view of human on Korean⋅Chinese⋅Japanese Confucianism in 17-18C - Focused on Wang Fu-zhi, Jeong Yak-yong, Ito Jin-sai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17-18世紀 韓⋅中⋅日 儒學에서의 人間理解 硏究 — 王夫之⋅丁若鏞⋅伊藤仁齋를 중심으로 —
The view of human on Korean⋅Chinese⋅Japanese Confucianism in 17-18C - Focused on Wang Fu-zhi, Jeong Yak-yong, Ito Jin-sai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玄庵 李乙浩의 茶山 論語學에 관한 연구
Yi, Eul-Ho(Hyun-Am)'s research on Dasan's Nonhaks
동방한문학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玄庵 李乙浩의 茶山 論語學에 관한 연구
Yi, Eul-Ho(Hyun-Am)'s research on Dasan's Nonhaks
동방한문학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산 정약용의 ‘소학小學’론(Ⅱ)- 『 아학편兒學編』을 중심으로
Tasan Cheong Yagyong’s Study of “Confucian Elemen¬tary Learning”(II) ― Focusing on Ahakpyeon(Textbook on Chinese Characters for Children)
다산학 |
20 |
2012 |
인문학
단국대본 『주역사전』 연구 -정고본 및 신조본의 저본을 찾기 위한 두 번째 시론
A Study on the Zhouyisijian Manuscript of Dankook University : Second Essay to Search for the Finalised Version of Zhouyisijian and Original Copy of Sinjoseonsabon
다산학 |
17 |
2010 |
인문학
단국대본 『주역사전』 연구 -정고본 및 신조본의 저본을 찾기 위한 두 번째 시론
A Study on the Zhouyisijian Manuscript of Dankook University : Second Essay to Search for the Finalised Version of Zhouyisijian and Original Copy of Sinjoseonsabon
다산학 |
|
17 |
2010 |
인문학
『大東禪敎考』를 통해 본 정약용의 古代佛敎史 인식
Jung yak-yong(丁若鏞)’s understanding of ancient Buddhist history focused on DaeDongSunKyoGo(『大東禪敎考』)
한국사상사학 |
38 |
2011 |
역사학
정약용의 『尙書』 백편 이해
Jeong, Yakyong's Understanding of Shangshu 100 Chapters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정약용의 『尙書』 백편 이해
Jeong, Yakyong's Understanding of Shangshu 100 Chapters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다산茶山 저술 ‘고본稿本’의 성격과 자료 전승 현황
The Manuscripts of Cheong Yagyong’s Works and their Bibliography
다산학 |
17 |
2010 |
인문학
다산茶山 저술 ‘고본稿本’의 성격과 자료 전승 현황
The Manuscripts of Cheong Yagyong’s Works and their Bibliography
다산학 |
|
17 |
2010 |
인문학
법률 속의 이야기, 이야기 속의 법률 - 『欽欽新書』와 중국 판례
A Story in Law, Law in a Story - Heumheum Sinseo and Chinese Law Cases
대동문화연구 |
77 |
2012 |
기타인문학
『周易』「渙卦」에 대한 丁若鏞의 해석
對于『周易』 「渙卦」的丁若鏞之解釋
한국민족문화 |
41 |
2011 |
기타인문학
초월에서 초월로: 정약용의 상제
From transcendence to transcendence: Sangje in Jeong Yak-yong's theory
한국실학연구 |
22 |
2011 |
역사학
서학을 만난 조선 유학의 인간 이해 — 홍대용과 정약용을 중심으로 —
View of Human Being of Chosun Confucianism confronted with Western Learning - Hong Daeyoung and Jung Yakyoung
동양철학연구 |
68 |
2011 |
철학
다산(茶山)의 미발설(未發說)과 신독(愼獨)의 수양론
茶山的未发说与其慎独为主的修养论
철학연구 |
40 |
2010 |
철학
다산(茶山)의 미발설(未發說)과 신독(愼獨)의 수양론
茶山的未发说与其慎独为主的修养论
철학연구 |
|
40 |
2010 |
철학
다산사 연구
A Study on the Poems in Ci詞 form of Tasan
다산학 |
19 |
2011 |
인문학
다산 윤리학의 실천적 특성과 이론적 한계-사단칠정과 인심도심 그리고 덕德의 문제를 중심으로
Practical Character and Theoretical Limits of Tasan’s Ethics: Focusing on Four Beginnings-Seven Emotions, Human Mind-Moral Mind, and Virtue
다산학 |
20 |
2012 |
인문학
기독교와 서양 과학에 대한 정약용의 태도 재검토
Cheong Yagyong’s Attitude towards Christianity and Western Science
다산학 |
20 |
2012 |
인문학
다산 정약용의 아동교육론
Tasan’s Discourse on Juvenile Education
다산학 |
18 |
2011 |
인문학
다산茶山 저술 ‘고본稿本’의 성격과 자료 전승 현황
The Manuscripts of Cheong Yagyong’s Works and their Bibliography
다산학 |
17 |
2010 |
인문학
다산茶山 저술 ‘고본稿本’의 성격과 자료 전승 현황
The Manuscripts of Cheong Yagyong’s Works and their Bibliography
다산학 |
|
17 |
2010 |
인문학
茶山 論의 문체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literary style in "Non(論)" of Da San(茶山)
漢文學報 |
23 |
2010 |
한문학
茶山 論의 문체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literary style in "Non(論)" of Da San(茶山)
漢文學報 |
23 |
|
2010 |
한문학
丁若鏞의 性善論 分析
An Analysis on the Jeong Yag-Yong's Theory of Human Nature's Good
유교사상문화연구 |
41 |
2010 |
유교학
丁若鏞의 性善論 分析
An Analysis on the Jeong Yag-Yong's Theory of Human Nature's Good
유교사상문화연구 |
|
41 |
2010 |
유교학
다산 정약용의 ‘소학小學’론(Ⅱ)- 『 아학편兒學編』을 중심으로
Tasan Cheong Yagyong’s Study of “Confucian Elemen¬tary Learning”(II) ― Focusing on Ahakpyeon(Textbook on Chinese Characters for Children)
다산학 |
20 |
2012 |
인문학
丁若鏞의 春秋官占補註의‘夏商之舊法’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 - 出土易學자료의 관점에서 본 <連山>・<歸藏>의 筮法
A Critical Review on Chong Yakyong‘s theory of “the Old Rule of the Xia and Shang Period” in his "Complementary Commentary on the Official Divinatory Records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 The Divination Rule of Lian Shan and Gui Cang seen from the viewpoint of the Excavated Materials
퇴계학보 |
131 |
2012 |
유교학
다산 정약용의 탈성리학적 실학의 대성
The great achievement of Jeong yakyong's Silhak as post-neoconfucian concepts
孔子學 |
22 |
2012 |
기타유교학
Geography and Civilization: Chŏng Yagyong and Late Chosŏn Notions of Chunghwa
지리와 문명 : 정약용과 조선후기의 중화개념
다산학 |
16 |
2010 |
인문학
Geography and Civilization: Chŏng Yagyong and Late Chosŏn Notions of Chunghwa
지리와 문명 : 정약용과 조선후기의 중화개념
다산학 |
|
16 |
2010 |
인문학
다산 수양론의 특성과 도덕교육적 의미
The Theory of Dasan's Self-cultivation and Moral Education
윤리교육연구 |
25 |
2011 |
윤리교육학
正祖年間 茶山의 苦惱와 詩的 形象化
The Agonies of Dasan[茶山] & His Poetic Imagery during the JungJo[正祖] Era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正祖年間 茶山의 苦惱와 詩的 形象化
The Agonies of Dasan[茶山] & His Poetic Imagery during the JungJo[正祖] Era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丁若鏞과 Gadamer의 어린이교육론 비교
A Study on the theory of juvenile education of Chŏng yagyoung and Gadamer Hans-Georg
동양고전연구 |
44 |
2011 |
기타인문학
치원(巵園) 황상(黃裳)의 시(詩)에 미친 다산 시(茶山詩)의 영향
A study Chi-won's Seosasi[敍事詩; Epic Poetry] under the influence of Da-san's poetical style
국제언어문학 |
22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치원(巵園) 황상(黃裳)의 시(詩)에 미친 다산 시(茶山詩)의 영향
A study Chi-won's Seosasi[敍事詩; Epic Poetry] under the influence of Da-san's poetical style
국제언어문학 |
|
22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치원(巵園) 황상(黃裳)의 시(詩)에 미친 다산 시(茶山詩)의 영향
A study Chi-won's Seosasi[敍事詩; Epic Poetry] under the influence of Da-san's poetical style
국제언어문학 |
22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치원(巵園) 황상(黃裳)의 시(詩)에 미친 다산 시(茶山詩)의 영향
A study Chi-won's Seosasi[敍事詩; Epic Poetry] under the influence of Da-san's poetical style
국제언어문학 |
|
22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茶山의 春川紀行詩 硏究 — 『穿牛紀行』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em of visiting Chuncheon by Dasan Jeong, Yakyong - Focused on the visit of Cheonwoo(穿牛紀行)
漢文古典硏究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茶山의 外國 先進文化 受容論 - 「技藝論」과 贈序를 중심으로 -
Dasan(茶山)'s Acceptance of Foreign Advanced Culture - focused on Giyeron(技藝論) and prefaces for declaration -
漢字漢文敎育 |
1 |
26 |
2011 |
한문교육
茶山 丁若鏞의 “屈騷” 수용 양상
A Study on D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in relation to Cho-sa(楚辭)
한국한문학연구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茶山 丁若鏞의 “屈騷” 수용 양상
A Study on D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in relation to Cho-sa(楚辭)
한국한문학연구 |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산 정약용의 성(誠) 수양과 도덕교육
The Moral Cultivation of Sŏng in Dasan Chŏng Yagyong and the Moral Education
도덕윤리과교육 |
35 |
2012 |
교육학
다산(茶山) 정약용과 베카리아의 범죄와 형벌 사상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riminological and Penological Thought of Dasan Jeong Yak-yong and Beccaria
한국범죄심리연구 |
7 |
3 |
2011 |
경찰행정
茶山과 日本 古學派 太宰春臺의 管仲論
The Views of Gwanjung by Dasan and Dajai Shundai as a Member of the Japanese School of Kagaku
동양한문학연구 |
34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정약용의 경학사상이 생태환경 위기의 시대에 주는 시사점
Reconsidering Jeong YaK Yong's Critical Confucianism Study in the Age of Environmental Crises
담론201 |
13 |
3 |
2010 |
사회학
정약용의 경학사상이 생태환경 위기의 시대에 주는 시사점
Reconsidering Jeong YaK Yong's Critical Confucianism Study in the Age of Environmental Crises
담론201 |
13 |
3 |
2010 |
사회학
茶山 丁若鏞의 昭事上帝 관념 연구-天譴意識과 修己의 관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asanian concept of Zhāoshishàngdhi(昭事上帝)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Thought of Being Reprimanded from Heaven(天譴意識) and Viewpoint of Self-cultivation(修己)
한국인물사연구 |
17 |
2012 |
역사학
丁若鏞의 개혁사상과 井田制 : 근대지향적 해석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Dasan's Political Ideal and Chungjun System : focused on the critics for the Modernity-Orientation Interpretation
민족문화연구 |
55 |
2011 |
기타인문학
茶山 丁若鏞의 관용(tolerance) 관념 : 서(恕) 개념을 중심으로
The thoughts of Dasan Jung Yak Young's tolerance: Focusing on the concept of 'Seo(恕)'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茶山 丁若鏞의 관용(tolerance) 관념 : 서(恕) 개념을 중심으로
The thoughts of Dasan Jung Yak Young's tolerance: Focusing on the concept of 'Seo(恕)'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周易』 兌卦에 대한 丁若鏞의 해석
關于『周易』兌卦的丁若鏞之解釋
코기토 |
71 |
2012 |
기타인문학
다산 정약용의 노년시(老年詩)
Dasan Jeong Yak-Yong’s Poems in His Old Age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산 정약용의 노년시(老年詩)
Dasan Jeong Yak-Yong’s Poems in His Old Age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茶山의 春川紀行詩 硏究 — 『穿牛紀行』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em of visiting Chuncheon by Dasan Jeong, Yakyong - Focused on the visit of Cheonwoo(穿牛紀行)
漢文古典硏究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다산 정약용의 이상주거론
Dasan Jung Yakyong’s Theory of Ideal Residence
동아시아문화연구 |
47 |
2010 |
기타인문학
다산 정약용의 이상주거론
Dasan Jung Yakyong’s Theory of Ideal Residence
동아시아문화연구 |
|
47 |
2010 |
기타인문학
황상의 산거 생활과 시적 형상화 연구
Whang Sang's forest life and the poetic figuration
한국시가문화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
다산 정약용의 국가개혁론에 관한 한 해석 - 王法을 통한 ‘전국 단위 사회’의 관리
An Interpretation of Dasan Jeong Yak-yong’s Idea on State Reformation - Administration of ‘Society as the whole-land’ by King’s Law
태동고전연구 |
28 |
2012 |
기타인문학
다산 정약용의 인심·도심론
Tasan Cheong Yag-yong’s Theory of Human Mind and Tao Mind
다산학 |
18 |
2011 |
인문학
主體性의 관점에서 본 茶山의 인간관
View of Human Beings of Dasan(茶山) from the Viewpoint of 'Subject'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3 |
1 |
2012 |
기타인문학
茶山 丁若鏞의 昭事上帝 관념 연구-天譴意識과 修己의 관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asanian concept of Zhāoshishàngdhi(昭事上帝)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Thought of Being Reprimanded from Heaven(天譴意識) and Viewpoint of Self-cultivation(修己)
한국인물사연구 |
17 |
2012 |
역사학
前提와 實踐의 문제로 본 다산의 ‘性相近, 習相遠’의 의미 − <論語古今註>와 <孟子要義>를 중심으로 −
Premises as a matter of practice and the meaning of Dasan's Xìng xiāngjìn xí xiāng yuǎn - Focusing on the Confucius ancient and modern note and Mencius Essential meaning
동양철학연구 |
66 |
2011 |
철학
茶山 『春秋考徵』의 杜預에 대한 비판과 변론
Criticism and Argument on Du-yu of Dasan's Chunchugojing
동양철학연구 |
71 |
2012 |
철학
정다산(丁茶山)의 문화학적 경전해석
丁茶山之文化學的經典詮釋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정다산(丁茶山)의 문화학적 경전해석
丁茶山之文化學的經典詮釋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다산 정약용의 권학(勸學)사상 - 학문관을 중심으로 -
Tasan's thought on the encouragement of learning - focusing on the view of learning
율곡학연구 |
21 |
2010 |
기타인문학
다산 정약용의 권학(勸學)사상 - 학문관을 중심으로 -
Tasan's thought on the encouragement of learning - focusing on the view of learning
율곡학연구 |
21 |
|
2010 |
기타인문학
다산의 한시漢詩에 나타난 선비정신과 자연관自然觀
The Spirit of Scholar and Natural View in Tasan’s Korean Poetry
다산학 |
19 |
2011 |
인문학
다산(茶山) 정약용과 베카리아의 범죄와 형벌 사상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riminological and Penological Thought of Dasan Jeong Yak-yong and Beccaria
한국범죄심리연구 |
7 |
3 |
2011 |
경찰행정
욕망하는 본성과 도덕적 본성의 융합-茶山 丁若鏞의 嗜好說을 중심으로-
A Fusion of the Desiring Nature and the Moral Nature -Focusing on Dasan Jeong Yak-yong’s Theory of Nature-Taste-
철학연구 |
41 |
2010 |
철학
욕망하는 본성과 도덕적 본성의 융합-茶山 丁若鏞의 嗜好說을 중심으로-
A Fusion of the Desiring Nature and the Moral Nature -Focusing on Dasan Jeong Yak-yong’s Theory of Nature-Taste-
철학연구 |
|
41 |
2010 |
철학
正祖年間 茶山의 苦惱와 詩的 形象化
The Agonies of Dasan[茶山] & His Poetic Imagery during the JungJo[正祖] Era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正祖年間 茶山의 苦惱와 詩的 形象化
The Agonies of Dasan[茶山] & His Poetic Imagery during the JungJo[正祖] Era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정약용의 불교사상 비판론
The Theory of Jeong Yak-yong's Criticism on the Buddhist Thoughts
유교사상문화연구 |
49 |
2012 |
유교학
丁若鏞의 실학적 서화미학에 관한 연구
A Study of Jung Yak Yong's Shilhak based Aesthetics of Calligraphy and Painting Works
동양철학연구 |
61 |
2010 |
철학
丁若鏞의 실학적 서화미학에 관한 연구
A Study of Jung Yak Yong's Shilhak based Aesthetics of Calligraphy and Painting Works
동양철학연구 |
|
61 |
2010 |
철학
丁若鏞의 실학적 서화미학에 관한 연구
A Study of Jung Yak Yong's Shilhak based Aesthetics of Calligraphy and Painting Works
동양철학연구 |
61 |
2010 |
철학
丁若鏞의 실학적 서화미학에 관한 연구
A Study of Jung Yak Yong's Shilhak based Aesthetics of Calligraphy and Painting Works
동양철학연구 |
|
61 |
2010 |
철학
한․중 한시의 근대적 대응 양상 - 茶山丁若鏞과 定庵龔自珍의 사회시를 중심으로 -
The Aspects of Coping with Modern Period in Jeong Yak-Yong(丁若鏞) and Gong Zizhen(龔自珍)’s Social Poems
영남학 |
51 |
2012 |
유교학
『周易』 「節卦」에 대한 丁若鏞의 해석
Yagyong Jung's Interpretation on the Hexagram of Jie(節) in 『Book of Changes』
민족문화논총 |
49 |
2011 |
기타인문학
『大東禪敎考』를 통해 본 정약용의 古代佛敎史 인식
Jung yak-yong(丁若鏞)’s understanding of ancient Buddhist history focused on DaeDongSunKyoGo(『大東禪敎考』)
한국사상사학 |
38 |
2011 |
역사학
정약용의 『尙書』 백편 이해
Jeong, Yakyong's Understanding of Shangshu 100 Chapters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정약용의 『尙書』 백편 이해
Jeong, Yakyong's Understanding of Shangshu 100 Chapters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周易』 兌卦에 대한 丁若鏞의 해석
關于『周易』兌卦的丁若鏞之解釋
코기토 |
71 |
2012 |
기타인문학
『周易』 兌卦에 대한 丁若鏞의 해석
關于『周易』兌卦的丁若鏞之解釋
코기토 |
71 |
2012 |
기타인문학
丁茶山의 性嗜好說에 대한 朱子學的 反論
A Critical Review on Jeong Yakyong's Preference Theory of Human Nature
한국철학논집 |
29 |
2010 |
한국철학일반
丁茶山의 性嗜好說에 대한 朱子學的 反論
A Critical Review on Jeong Yakyong's Preference Theory of Human Nature
한국철학논집 |
|
29 |
2010 |
한국철학일반
19世紀 韓․中․日 三國의 『論語』 解釋 比較硏究 - 文質, 君子, 民의 개념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Study on 韓․中․日 Three Countries' Translation of 『論語』 in the Nineteenth Century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19世紀 韓․中․日 三國의 『論語』 解釋 比較硏究 - 文質, 君子, 民의 개념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Study on 韓․中․日 Three Countries' Translation of 『論語』 in the Nineteenth Century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19世紀 韓․中․日 三國의 『論語』 解釋 比較硏究 - 文質, 君子, 民의 개념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Study on 韓․中․日 Three Countries' Translation of 『論語』 in the Nineteenth Century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19世紀 韓․中․日 三國의 『論語』 解釋 比較硏究 - 文質, 君子, 民의 개념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Study on 韓․中․日 Three Countries' Translation of 『論語』 in the Nineteenth Century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다산(丁茶山)의 문화학적 경전해석
丁茶山之文化學的經典詮釋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정다산(丁茶山)의 문화학적 경전해석
丁茶山之文化學的經典詮釋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丁若鏞의 性善論 分析
An Analysis on the Jeong Yag-Yong's Theory of Human Nature's Good
유교사상문화연구 |
41 |
2010 |
유교학
丁若鏞의 性善論 分析
An Analysis on the Jeong Yag-Yong's Theory of Human Nature's Good
유교사상문화연구 |
|
41 |
2010 |
유교학
Relationship between Rituals(禮) and Consideration(恕) in Tasan's Classical Studies ‐ Focusing on His Interpretation of Analects and Mencius
关于茶山对《论语》‘克己复礼为仁’与《孟子》‘强恕而行,求仁莫近焉’注释的研究 -以恕和礼的关系为中心-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
18 |
2012 |
유교학
丁茶山의 性嗜好說에 대한 朱子學的 反論
A Critical Review on Jeong Yakyong's Preference Theory of Human Nature
한국철학논집 |
29 |
2010 |
한국철학일반
丁茶山의 性嗜好說에 대한 朱子學的 反論
A Critical Review on Jeong Yakyong's Preference Theory of Human Nature
한국철학논집 |
|
29 |
2010 |
한국철학일반
丁若鏞의 春秋官占補註의‘夏商之舊法’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 - 出土易學자료의 관점에서 본 <連山>・<歸藏>의 筮法
A Critical Review on Chong Yakyong‘s theory of “the Old Rule of the Xia and Shang Period” in his "Complementary Commentary on the Official Divinatory Records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 The Divination Rule of Lian Shan and Gui Cang seen from the viewpoint of the Excavated Materials
퇴계학보 |
131 |
2012 |
유교학
茶山의 性理學的 人性論비판에 대한 일고찰(Ⅱ)
Dasan's reinterpretation of Neo-Confucian theory of Mind-Heart(2)
온지논총 |
31 |
2012 |
기타인문학
정약용의 『尙書』 백편 이해
Jeong, Yakyong's Understanding of Shangshu 100 Chapters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정약용의 『尙書』 백편 이해
Jeong, Yakyong's Understanding of Shangshu 100 Chapters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정약용의 윤리사상에서 도덕적 자율성과 상제의 문제
The Problem of Moral Autonomy and SangJae in the Jeong yak-yong's Ethical Thoughts
대동철학 |
54 |
2011 |
철학
초월에서 초월로: 정약용의 상제
From transcendence to transcendence: Sangje in Jeong Yak-yong's theory
한국실학연구 |
22 |
2011 |
역사학
茶山의 經世遺表에 나타난 體育思想
A Review of Dasan's Physical Education Thoughts through 《GyeongSaeYuPyo》
한국체육사학회지 |
16 |
1 |
2011 |
기타예술체육
丁若鏞, <尙書古訓>의 의례(義例)와 존고(存古)의 문제
Ŭirye 義例 and the problem of ‘Retaining the Old’ 存古 in the Chŏng Yak Yong’s 丁若鏞 Old Exegeses of the Book of Documents 尙書古訓
한국한문학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丁若鏞, <尙書古訓>의 의례(義例)와 존고(存古)의 문제
Ŭirye 義例 and the problem of ‘Retaining the Old’ 存古 in the Chŏng Yak Yong’s 丁若鏞 Old Exegeses of the Book of Documents 尙書古訓
한국한문학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산 정약용의 『논어』 해석(1): 性개념을 중심으로
Dasan's interpretation of Confucian analects (I)
동양고전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다산 정약용의 『논어』 해석(1): 性개념을 중심으로
Dasan's interpretation of Confucian analects (I)
동양고전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茶山의 孟子 心性論 해석에 대한 일고찰
Dasan's interpretation of Mencius’s theory of Mind-Heart
동양고전연구 |
46 |
2012 |
기타인문학
정다산(丁茶山)의 문화학적 경전해석
丁茶山之文化學的經典詮釋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정다산(丁茶山)의 문화학적 경전해석
丁茶山之文化學的經典詮釋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다산 정약용의 탈성리학적 실학의 대성
The great achievement of Jeong yakyong's Silhak as post-neoconfucian concepts
孔子學 |
22 |
2012 |
기타유교학
다산 정약용의 인간이해와 근대성
An Analysis of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Dasan’s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동양철학연구 |
66 |
2011 |
철학
정약용의 인성론
Chung Yak-Yong’s Theory of Human Nature and Mind
철학탐구 |
30 |
2011 |
철학
茶山 『春秋考徵』의 杜預에 대한 비판과 변론
Criticism and Argument on Du-yu of Dasan's Chunchugojing
동양철학연구 |
71 |
2012 |
철학
이담속찬의 이본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t Versions of Idamsokchan
다산학 |
18 |
2011 |
인문학
茶山 論의 문체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literary style in "Non(論)" of Da San(茶山)
漢文學報 |
23 |
2010 |
한문학
茶山 論의 문체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literary style in "Non(論)" of Da San(茶山)
漢文學報 |
23 |
|
2010 |
한문학
19世紀 韓․中․日 三國의 『論語』 解釋 比較硏究 - 文質, 君子, 民의 개념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Study on 韓․中․日 Three Countries' Translation of 『論語』 in the Nineteenth Century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19世紀 韓․中․日 三國의 『論語』 解釋 比較硏究 - 文質, 君子, 民의 개념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Study on 韓․中․日 Three Countries' Translation of 『論語』 in the Nineteenth Century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약용의 경학사상이 생태환경 위기의 시대에 주는 시사점
Reconsidering Jeong YaK Yong's Critical Confucianism Study in the Age of Environmental Crises
담론201 |
13 |
3 |
2010 |
사회학
정약용의 경학사상이 생태환경 위기의 시대에 주는 시사점
Reconsidering Jeong YaK Yong's Critical Confucianism Study in the Age of Environmental Crises
담론201 |
13 |
3 |
2010 |
사회학
茶山 丁若鏞의 <孟子要義>에 나타난 心性論 硏究
A Study on the View of XinXingLun(心性論) in Mengziyaoyi(孟子要義) written by Dasan Jeong Yak-yong(茶山 丁若鏞)
온지논총 |
29 |
2011 |
기타인문학
단국대본 『주역사전』 연구 -정고본 및 신조본의 저본을 찾기 위한 두 번째 시론
A Study on the Zhouyisijian Manuscript of Dankook University : Second Essay to Search for the Finalised Version of Zhouyisijian and Original Copy of Sinjoseonsabon
다산학 |
17 |
2010 |
인문학
단국대본 『주역사전』 연구 -정고본 및 신조본의 저본을 찾기 위한 두 번째 시론
A Study on the Zhouyisijian Manuscript of Dankook University : Second Essay to Search for the Finalised Version of Zhouyisijian and Original Copy of Sinjoseonsabon
다산학 |
|
17 |
2010 |
인문학
정학연丁學淵의 공후인시첩고箜篌引詩帖攷
The Study of Cheong Hackyeon’s Gonghooin(箜篌引) Poetry Scrapbook
다산학 |
17 |
2010 |
인문학
정학연丁學淵의 공후인시첩고箜篌引詩帖攷
The Study of Cheong Hackyeon’s Gonghooin(箜篌引) Poetry Scrapbook
다산학 |
|
17 |
2010 |
인문학
다산의 강진 강학과 제자 교학방식
Tasan’s Pursue of Study and Education Methods to His Pupils at Gangjin
다산학 |
18 |
2011 |
인문학
“여유당집”의 성립에 관한 고찰
On the Formation of the “Anthology of Yeoyudang” (“Yeoyudang jip”)
다산학 |
18 |
2011 |
인문학
정약용의 인성론
Chung Yak-Yong’s Theory of Human Nature and Mind
철학탐구 |
30 |
2011 |
철학
정다산의 퇴계관 - [여유당전서] 시문집에 한하여 -
Tasan’s View on Teogye’s Theory
다산학 |
19 |
2011 |
인문학
茶山 丁若鏞의 <孟子要義>에 나타난 心性論 硏究
A Study on the View of XinXingLun(心性論) in Mengziyaoyi(孟子要義) written by Dasan Jeong Yak-yong(茶山 丁若鏞)
온지논총 |
29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