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호사설

연구분야 : A020000 인문학 > 역사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2707

STNet ID : 1001231

한자 : 星湖僿說
기타 : Seonghosaseol

y02-01 문헌명

저작자

이익 (李瀷)

시대1

영조 (英祖)

장르/유형

백과사전 (百科事典)

저작년_t

1763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만물문

hasSubject (주제)

 

 

천지문

hasSubject (주제)

 

 

경사문

hasSubject (주제)

 

 

시문문

hasSubject (주제)

 

 

인사문

B2:전체

BT (상위어)

 

 

성호사설유선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만물물 [ 万物門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2-01 문헌명 문헌명

오주연문장전산고 () [ 五洲衍文長箋散稿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정약용 () [ 丁若鏞 ]

RT (관련어)

 

 

국역성호사설

한국 시화 속의 한유 시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Han Yu's poems in Korean Critical Essays

중국문학 | 64 | 2010 | 중국어와문학

한국 시화 속의 한유 시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Han Yu's poems in Korean Critical Essays

중국문학 | 64 | | 2010 | 중국어와문학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민속종교 자료

The Materials on Korean Folk Religions in the Encyclopedic Literatures of Late J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33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민속종교 자료

The Materials on Korean Folk Religions in the Encyclopedic Literatures of Late J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 33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민속종교 자료

The Materials on Korean Folk Religions in the Encyclopedic Literatures of Late J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33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민속종교 자료

The Materials on Korean Folk Religions in the Encyclopedic Literatures of Late J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 33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類書類의 세시풍속과 세시사상

Seasonal customs and folklore shown the traditional encyclopedic literature during the late Choseon dynasty period

역사민속학 | 34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類書類의 세시풍속과 세시사상

Seasonal customs and folklore shown the traditional encyclopedic literature during the late Choseon dynasty period

역사민속학 | | 34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민속문화 관련 류서류 편찬물 현황과 특성

A General Survey of the pre-modern Encyclopedic Literature about the Korean folk-culture in the Ch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32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민속문화 관련 류서류 편찬물 현황과 특성

A General Survey of the pre-modern Encyclopedic Literature about the Korean folk-culture in the Ch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 32 | 2010 | 역사학

「星湖僿說」의 「芝峯類說」, 「松南雜識」의 「芝峯類說」․「星湖僿說」 인용 양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f quotations of Seonghosaseol(星湖僿說)'s in respect of Jibongyuseol(芝峯類說) and Songnamjapji(松南雜識)'s in respect of Jibongyuseol(芝峯類說) and Seonghosaseol(星湖僿說)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星湖僿說」의 「芝峯類說」, 「松南雜識」의 「芝峯類說」․「星湖僿說」 인용 양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f quotations of Seonghosaseol(星湖僿說)'s in respect of Jibongyuseol(芝峯類說) and Songnamjapji(松南雜識)'s in respect of Jibongyuseol(芝峯類說) and Seonghosaseol(星湖僿說)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服飾觀 -『芝峯類說』『星湖僿說』『松南雜識』를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 33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服飾觀 -『芝峯類說』『星湖僿說』『松南雜識』를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 | 33 | 2010 | 역사학

성호 이익을 바라보는 한문학 근대의 두 시선 —1929년 문광서림판 『성호사설』에 게재된 변영만과 정인보의 서문 비교 연구—

Two attitudes of Modern Sino-Korean literature toward Yi ik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efaces to Seonghosaseol by two modern Sino-Korean literary men, Jeong In-bo and Byeon young-man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성호 이익을 바라보는 한문학 근대의 두 시선 —1929년 문광서림판 『성호사설』에 게재된 변영만과 정인보의 서문 비교 연구—

Two attitudes of Modern Sino-Korean literature toward Yi ik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efaces to Seonghosaseol by two modern Sino-Korean literary men, Jeong In-bo and Byeon young-man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3대 類書의 形成 經路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ree representative encyclopedias in the Joseon dynasty

동방한문학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향촌사회 자료의 성격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olklore Contents of Country Village shown Ryuseoryu (Encyclopedia) of the late J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33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향촌사회 자료의 성격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olklore Contents of Country Village shown Ryuseoryu (Encyclopedia) of the late Joseon dynasty.

역사민속학 | | 33 | 2010 | 역사학

조선 3대 類書의 形成 經路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ree representative encyclopedias in the Joseon dynasty

동방한문학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성호 이익을 바라보는 한문학 근대의 두 시선 —1929년 문광서림판 『성호사설』에 게재된 변영만과 정인보의 서문 비교 연구—

Two attitudes of Modern Sino-Korean literature toward Yi ik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efaces to Seonghosaseol by two modern Sino-Korean literary men, Jeong In-bo and Byeon young-man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성호 이익을 바라보는 한문학 근대의 두 시선 —1929년 문광서림판 『성호사설』에 게재된 변영만과 정인보의 서문 비교 연구—

Two attitudes of Modern Sino-Korean literature toward Yi ik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efaces to Seonghosaseol by two modern Sino-Korean literary men, Jeong In-bo and Byeon young-man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성호사설』과 『오주연문장전산고』의 저술성향 비교검토

A Comparative Study on Academic Attributes of Seongho-saseol(星湖僿說) and Oju-Yeonmunjangjeon-Sango(五洲衍文長箋散稿)

동아시아고대학 | 26 | 2011 | 기타인문학

『성호사설』 『만물문』의 실학적 만물관과 자연학

<星湖僿說>「万物門」の実学的万物観と自然学

동아시아고대학 | 26 | 2011 | 기타인문학

성호사설 ‘만물문(萬物門)’의 지리 관련내용 고찰

A Study on contents related to geography in “Myriad Things”(萬物門)of Miscellaneous Explanations of Seongho(星湖僿說)

대한지리학회지 | 47 | 1 | 2012 | 지리학

성호사설 ‘만물문(萬物門)’의 지리 관련내용 고찰

A Study on contents related to geography in “Myriad Things”(萬物門)of Miscellaneous Explanations of Seongho(星湖僿說)

대한지리학회지 | 47 | 1 | 2012 | 지리학

『성호사설』 『만물문』의 실학적 만물관과 자연학

<星湖僿說>「万物門」の実学的万物観と自然学

동아시아고대학 | 26 | 2011 | 기타인문학

성호 이익의 『성호사설』의 세계 -「천지문」의 항목과 내용 검토-

Seongho Lee Ik(星湖 李瀷)’s a view of the World on a 『Seonghosaseol(星湖僿說)』 -Examination of Items and Contents in 「Cheonjimun」-

동국사학 | 50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