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목

연구분야 : A030204 인문학 > 철학 > 한국철학 > 한국유가철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3052

STNet ID : 1002875

한자 : 許穆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양천 [ 陽川 ]

UF (비우선어)

 

 

화보 [ 和甫 ]

UF (비우선어)

 

 

문보 [ 文甫 ]

UF (비우선어)

 

 

미수 [ 眉叟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경세치용학파 [ 經世致用學派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실학파 [ 實學派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남인 () [ 南人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산림 (유학자) [ 山林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목내선 [ 睦來善 ]

affects (영향)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성호학파 () [ 星湖學派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정약용 () [ 丁若鏞 ]

船遊를 통해 본 洛江 연안지역 선비들의 집단의식 -17세기 寒旅學人을 중심으로-

he World of Spirit of Confucian Literati from Yeongnam along the Nakdong River; concerning on their companionship by Boating

영남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船遊를 통해 본 洛江 연안지역 선비들의 집단의식 -17세기 寒旅學人을 중심으로-

he World of Spirit of Confucian Literati from Yeongnam along the Nakdong River; concerning on their companionship by Boating

영남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肅宗朝의 死六臣 追崇과 書院祭享

An Essay on the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urs to Six leaders of the plot to restore the deposed King Tanjong and their sacrificial rite at Confucian Shrine

한국학논총 | 33 | 2010 | 역사이론

肅宗朝의 死六臣 追崇과 書院祭享

An Essay on the posthumous conferment of honours to Six leaders of the plot to restore the deposed King Tanjong and their sacrificial rite at Confucian Shrine

한국학논총 | 33 | | 2010 | 역사이론

만주 역사를 바라보는 한국적 시각의 한 모색 - 許穆과 丁若鏞의 만주 諸種族 인식을 端緖로 -

The Search for Korean Perspective on Manchu Studies - Heo Mok and Jeong Yakyong’s Historical Study on Ethnic Groups in Manchu -

역사와 담론 | 55 | 2010 | 역사학

만주 역사를 바라보는 한국적 시각의 한 모색 - 許穆과 丁若鏞의 만주 諸種族 인식을 端緖로 -

The Search for Korean Perspective on Manchu Studies - Heo Mok and Jeong Yakyong’s Historical Study on Ethnic Groups in Manchu -

역사와 담론 | | 55 | 2010 | 역사학

만주 역사를 바라보는 한국적 시각의 한 모색 - 許穆과 丁若鏞의 만주 諸種族 인식을 端緖로 -

The Search for Korean Perspective on Manchu Studies - Heo Mok and Jeong Yakyong’s Historical Study on Ethnic Groups in Manchu -

역사와 담론 | 55 | 2010 | 역사학

만주 역사를 바라보는 한국적 시각의 한 모색 - 許穆과 丁若鏞의 만주 諸種族 인식을 端緖로 -

The Search for Korean Perspective on Manchu Studies - Heo Mok and Jeong Yakyong’s Historical Study on Ethnic Groups in Manchu -

역사와 담론 | | 55 | 2010 | 역사학

金昌業의 채소류 連作詩와 조선 후기 漢詩史의 한 국면

Kim Chang-eub's series-poem of vegetables and an aspect of History of Sino-Korean Poetry in Late Joseon

한국한시연구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金昌業의 채소류 連作詩와 조선 후기 漢詩史의 한 국면

Kim Chang-eub's series-poem of vegetables and an aspect of History of Sino-Korean Poetry in Late Joseon

한국한시연구 |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기해예송을 통해 본 17세기 중반 조선 지식관료들의 家와 國 관념

A Study on Chosun's Intellectual-Bureaucrats' idea of 'ga(家)' and 'guk(國)' through ‘KihaeYesong(己亥禮訟)' in the mid-17th century

한국학연구 | 32 | 2010 | 기타인문학

기해예송을 통해 본 17세기 중반 조선 지식관료들의 家와 國 관념

A Study on Chosun's Intellectual-Bureaucrats' idea of 'ga(家)' and 'guk(國)' through ‘KihaeYesong(己亥禮訟)' in the mid-17th century

한국학연구 | | 32 | 2010 | 기타인문학

金昌業의 채소류 連作詩와 조선 후기 漢詩史의 한 국면

Kim Chang-eub's series-poem of vegetables and an aspect of History of Sino-Korean Poetry in Late Joseon

한국한시연구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金昌業의 채소류 連作詩와 조선 후기 漢詩史의 한 국면

Kim Chang-eub's series-poem of vegetables and an aspect of History of Sino-Korean Poetry in Late Joseon

한국한시연구 |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17세기 碑誌文 창작양상 고찰 -4종의 南冥神道碑를 중심으로-

A Study on Historical Awareness of Epitaph Writers in the 17th Century -focused on four Nammyeng-epitaphs-

동방한문학 | 51 | 2012 | 한국어와문학

기해예송을 통해 본 17세기 중반 조선 지식관료들의 家와 國 관념

A Study on Chosun's Intellectual-Bureaucrats' idea of 'ga(家)' and 'guk(國)' through ‘KihaeYesong(己亥禮訟)' in the mid-17th century

한국학연구 | 32 | 2010 | 기타인문학

기해예송을 통해 본 17세기 중반 조선 지식관료들의 家와 國 관념

A Study on Chosun's Intellectual-Bureaucrats' idea of 'ga(家)' and 'guk(國)' through ‘KihaeYesong(己亥禮訟)' in the mid-17th century

한국학연구 | | 32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문인들의 인장(印章)에 대한 인식의 일면

On the late Joseon Literati's Recognition of the Seal

漢文敎育硏究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문인들의 인장(印章)에 대한 인식의 일면

On the late Joseon Literati's Recognition of the Seal

漢文敎育硏究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문인들의 인장(印章)에 대한 인식의 일면

On the late Joseon Literati's Recognition of the Seal

漢文敎育硏究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문인들의 인장(印章)에 대한 인식의 일면

On the late Joseon Literati's Recognition of the Seal

漢文敎育硏究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眉叟 許穆의 性理學的 修養論 이해

An understanding on the Neo-Confucian self cultivation theory of Misu Heo Mok

퇴계학보 | 131 | 2012 | 유교학

<원한 품고 태어난 조카 알아본 허미수>의 인물성격과 편집증적 부모서사

and Father and Mother Epic

韓國古典硏究 | 21 | 2010 | 고전산문

<원한 품고 태어난 조카 알아본 허미수>의 인물성격과 편집증적 부모서사

and Father and Mother Epic

韓國古典硏究 | | 21 | 2010 | 고전산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