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오륜시조 출현의 시기적 조건과 그 정치적 의미
The seasonal conditions of Oryun-sijo's emergence in 16th Century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진작류 악곡의 리듬해석과 음악 -진작, 치화평, 봉황음, 횡살문, 자하동, 이상곡, 성황반, 내당, 잡처용에 한하여-
The Rhythm and Music of Jinjakryu songs -Jinjak, Chihwapyeong, Bonghwangeum, Jahadong, Hoengsalmun, Isanggok, Naedang, Japcheoyong-
한국음악연구 |
50 |
2011 |
음악학
육당 최남선의 시조정리사업과 그 의미 -『가곡선』과 『시조유취』를 중심으로
Choi Nam Seon's Sijo Rearrangement project and its meanings-Focused on "Gagokseon" and "Sijo-Youchui"
한국시가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윤이상의 <고풍의상>: 박, 박자 및 리듬적 특징 연구
Isang Yun's : Study of Actual Meter and Rhythmic Characteristics
음악과 문화 |
27 |
2012 |
음악학
시조사의 편성 과정과 최남선의 시가 인식
Formation Process of Sijo History and Recognition of Choi Nam Seon on Classical Poetry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선연동(嬋娟洞)’ 시 연구 -기생의 무덤을 소재로 한 시가 중심으로-
Study on a Chinese Poetry Based upon Sunyeondong, the Graveyard for Gisaengs
우리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연동(嬋娟洞)’ 시 연구 -기생의 무덤을 소재로 한 시가 중심으로-
Study on a Chinese Poetry Based upon Sunyeondong, the Graveyard for Gisaengs
우리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 분야에 대한 회고와 전망 —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사를 중심으로
Retrospect and Prospect of the Classical Verse Branch —focused on Hyangga, Koryeo-gayo, Sijo and Gasa
반교어문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樂府(羅孫本)의 계보학적 위상
The Genealogic Status of Akbu(Nason version)
한국시가문화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양산보 <애일가>의 전승과 성격
Tradition and character of Aeil-ga written by Yang, San-bo
한국시가문화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양산보 <애일가>의 전승과 성격
Tradition and character of Aeil-ga written by Yang, San-bo
한국시가문화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안강‧기계노씨를 통해서 본 족보자료의 실상과 허상
The Reality and Illusion of an Ancestral Record ― Focused on the case of the Angang Rohs and Gigye Rohs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안강‧기계노씨를 통해서 본 족보자료의 실상과 허상
The Reality and Illusion of an Ancestral Record ― Focused on the case of the Angang Rohs and Gigye Rohs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현대시에 나타난 두견 모티브 연구 -한시의 두견 모티브 수용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motif of cuckoo shown in modern poetry - focu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motif of cuckoo in the Chinese poetry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현대시에 나타난 두견 모티브 연구 -한시의 두견 모티브 수용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motif of cuckoo shown in modern poetry - focu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motif of cuckoo in the Chinese poetry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어느 역 번역(Inverse Translation)의 시문학적 파동-주요한의 「朝鮮歌曲鈔」 소고-
A Poetical Waves of Inverse Translation-Some Thoughts on Chu Yo-han's Chosenkakyokusyu
일본연구 |
30 |
2011 |
일본어와문학
박병순 시조의 고향 의식 연구
A Study on Hometown Consciousness of Park Byeong-soon’s Sijo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흥선대원군의 영웅성과 예술성 -『金玉叢部』소재 시조를 중심으로-
Heroic tendency&Artistic tendency of Heungseon Daewongun(興宣大院君) -Focused on Sijo of 『Geumokchongbu(金玉叢部)』-
한국시가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律譜](檀大本)의 위상과 錦江 유역 시조문화의 영향
The Status of 『Yulboe』 and Influence of culture of Sijo in Watershed of Keum-Kang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
時調辭의 情操 流動과 歌曲的 5章 構造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Stream of Sentiment in a Sijopoem and the Structure of the Kagok
고전문학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원세순 편 『三家樂府』의 특성과 의미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Samgaakbu
고전문학연구 |
41 |
2012 |
한국어와문학
경주의 유난곡과 동도국악원의 활동
Yu Nangok and Dongdogugagwon
한국음악연구 |
49 |
2011 |
음악학
『歌曲源流』 連音標의 기능―남창가곡에 한하여
The Function of Yeonumpyo in Gagokwollyou
한국민족문화 |
39 |
2011 |
기타인문학
신라 선도성모 전승의 역사적 의미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yth of Silla's SeondoSeongmo
사학연구 |
99 |
2010 |
역사학
신라 선도성모 전승의 역사적 의미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yth of Silla's SeondoSeongmo
사학연구 |
|
99 |
2010 |
역사학
<봉래악부>의 성격과 신헌조의 작품 세계
Characteristics of and Internal Aspects of Shin Heonjo's Sijo
한국시가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봉래악부>의 성격과 신헌조의 작품 세계
Characteristics of and Internal Aspects of Shin Heonjo's Sijo
한국시가연구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전반 가곡 가집『詩歌曲』의 특성과 계보
The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of Sigagok(詩歌曲), Gagok Anthology in the beginning of 19th Century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전반 가곡 가집『詩歌曲』의 특성과 계보
The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of Sigagok(詩歌曲), Gagok Anthology in the beginning of 19th Century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가람, 시조, 문장
Garam, Sijo, Munjang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최남선의 <백팔번뇌>에 나타난 조선적인 것의 의미
The Meaning of Joseon Found in Baek-pal-beon-noe by Choi, Nam-seon
시조학논총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黃眞伊 한시와 시조의 비교연구 - 수사적 특성을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Chinese poetry and Sijo written by Hwang Jini - focused on rhetorical characteristic
漢文學報 |
25 |
2011 |
한문학
『고금가곡』 내 「단가이십목」에 대한 고찰
A Study on Dangaisipmok in Gogeumgagok
韓國古典硏究 |
23 |
2011 |
고전산문
2009 改定 <문학> 교과서의 時調 수록 실태와 文學敎育
Literary Education and Actual Situation that Sijo is included in the Revised Literature Text Book of 2009
시조학논총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 시조왕릉의 정자각 내부 의물 연구
A Study on the Ritual Artifacts within a T-shaped Building in front of the Royal Mausoleums for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조형디자인연구 |
15 |
2 |
2012 |
공예
한국 근대가곡의 성립과 그 성격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 Art Song
현대문학의 연구 |
46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이 숙제 고사의 수용 양상과 그 의미
Aspects of the adoption of Bagi Sookje story and its signification
한민족문화연구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이 숙제 고사의 수용 양상과 그 의미
Aspects of the adoption of Bagi Sookje story and its signification
한민족문화연구 |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학의 이념과 근대시의 거절 - 최남선과 안확의 시조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Korean Study’s Ideology and Refusal on Modern Poetry - Focusing on the Sijo theories of Choi Nam-Sun and An Whak -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한문과 국어의 양층언어성(diglossia)을 중심으로 본 송강 정철의 한시와 시조 비교연구
Diglossia of Chinese character and Korean language in Song-Gang Jeong-Chul's Sino-Korean poetry(Han-Si) and Korean songs(Si-Jo)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이신의 단가(短歌)에 대한 연구
On Dan-ga(Short Song) of Yi, Shin- eui's
우리말글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신의 단가(短歌)에 대한 연구
On Dan-ga(Short Song) of Yi, Shin- eui's
우리말글 |
50 |
|
2010 |
한국어와문학
杜谷 高應陟의 시조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oogok(杜谷) Ko, Eung-cheok(高應陟)'s Sijo
시조학논총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태극 시조에 나타난 노년, 죽음의식 연구
국어문학 |
53 |
53 |
2012 |
한국어와문학
임・병 양란 배경 시조의 역사 인식 표출과 그 의미
Expressions and the Meaning of Historical Events Represented in Sijos
인문학연구 |
37 |
3 |
2010 |
기타인문학
임・병 양란 배경 시조의 역사 인식 표출과 그 의미
Expressions and the Meaning of Historical Events Represented in Sijos
인문학연구 |
37 |
3 |
2010 |
기타인문학
<이상곡>의 시적 정황 및 독법의 논리
Poetic Situation of Isangkok and Its Interpretation Logic
인문학연구 |
39 |
1 |
2012 |
기타인문학
변영태 英譯時調의 성격과 의미
Peculiarities and Meaning of Old Shijo Translated in English by Pyun Young-Tae
온지논총 |
29 |
2011 |
기타인문학
근대계몽기 시가 장르의 존재 양상과 근대적 대응 -근대계몽기 시가사 인식의 구도와 관련하여-
The Actual State and Modern confrontation of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Poetry -Mainly focused on Siga(詩歌) history's composition of cognition in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시조학논총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시가 장르의 존재 양상과 근대적 대응 -근대계몽기 시가사 인식의 구도와 관련하여-
The Actual State and Modern confrontation of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Poetry -Mainly focused on Siga(詩歌) history's composition of cognition in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시조학논총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위안와 포용 - 인문치료를 위한 시조 읽기 -
Consolation and Tolerance : Reading the Works of Sijo for Humanities Therapy
인문과학연구 |
28 |
2011 |
기타인문학
절구, 시조, 하이쿠의 미학적 비교
An Aesthetical Comparison between Jul-gu (Chinese quatrain), Si-jo (Korean old poem) and Haiku (Japanese old poem)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朗原君 李偘의 시조 연구
A Study on Nangwongoon's Sijo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朗原君 李偘의 시조 연구
A Study on Nangwongoon's Sijo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미지즘 시조 연구* - 육당 최남선, 가람 이병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ijo in Imagism - Centering on Yukdang Choe Nam-seon and Garam Lee Byeong-gi -
시조학논총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등학교 7차 改正 ‘<國語> 교과서’의 時調 文學敎育 실태
The real condition of Sijo literature education in the 7th revised Korean text book of high school
시조학논총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死六臣 담론의 轉變과 조선후기 詩歌의 수용 양상
The shift of the Discussion of Sayukshin and the Aspects of the Acceptance of Poetry of Late Choseon Dynasty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호우 시조의 변모와 매체
The Transfiguration of Lee Ho-woo's Sijo and Media
시조학논총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호우 시조의 변모와 매체
The Transfiguration of Lee Ho-woo's Sijo and Media
시조학논총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초기 원불교인의 시적 소통에 관한 연구 - 시조의 유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Early Won-Buddhist’s Poetical Communication - with the Pattern of Sijo ; Korean Fixed of Verse-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5 |
2010 |
원불교학
초기 원불교인의 시적 소통에 관한 연구 - 시조의 유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Early Won-Buddhist’s Poetical Communication - with the Pattern of Sijo ; Korean Fixed of Verse-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5 |
2010 |
원불교학
1900년대 시가담론과 시조의 재인식
The discourse of Korean Poetry in 1900s and New Understanding on Sijo
시조학논총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00년대 시가담론과 시조의 재인식
The discourse of Korean Poetry in 1900s and New Understanding on Sijo
시조학논총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술’ 소재 시조를 통해 본 시조교육의 한 방향
A Study on the Direction of Sijo’s Education according to the Meaning of Drinking
문학교육학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술’ 소재 시조를 통해 본 시조교육의 한 방향
A Study on the Direction of Sijo’s Education according to the Meaning of Drinking
문학교육학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사족층의 시조와 일상성 담론
The Joseon Gentry's Discourses on Allteglichkeit and People's Daily Lives through their Sijo Works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사족층의 시조와 일상성 담론
The Joseon Gentry's Discourses on Allteglichkeit and People's Daily Lives through their Sijo Works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조와 판소리의 관련 양상
The Study on Relatives between Sijo and Pansori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조와 판소리의 관련 양상
The Study on Relatives between Sijo and Pansori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화적 관점에서 본 시조와 하이쿠의 자연관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View of Nature in Sijo and Haiku from Cultural Perspective
다문화콘텐츠연구 |
12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심연수 시조의 고향의식 연구
Study for Nostalgia in Yeon Soo, Shim's Sijo
한중인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심연수 시조의 고향의식 연구
Study for Nostalgia in Yeon Soo, Shim's Sijo
한중인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시대 창작시조와 『동아일보』
Shijo in Colonial period and Dongailbo
어문논집 |
64 |
2011 |
한국어와문학
시조집 『詠和抄』 연구
A Research on the Anthology of Sijo 『Younghwacho』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 시에서 시조의 의미
The Meaning of Sijo(Korean traditional poetry) on Jeong Ji Yong's poems
시조학논총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시조에서 승려 형상화의 문화적 의미
A Study on the images of the Buddhist in Sijo
열상고전연구 |
32 |
2010 |
기타국문학
시조에서 승려 형상화의 문화적 의미
A Study on the images of the Buddhist in Sijo
열상고전연구 |
|
32 |
2010 |
기타국문학
가람 이병기의 「時調는 革新하자」에 나타난 현대성의 의미
Meaning of Modernity in Garam Yi Byeong-Ki’s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에 나타난 ‘비’의 실상과 그 의미 - 시조를 중심으로
The reality and the meaning of 'Rain' shown in Classical Shiga - Focusing on Shijo
韓國古典硏究 |
21 |
2010 |
고전산문
고전시가에 나타난 ‘비’의 실상과 그 의미 - 시조를 중심으로
The reality and the meaning of 'Rain' shown in Classical Shiga - Focusing on Shijo
韓國古典硏究 |
|
21 |
2010 |
고전산문
시조에 나타난 신화 소재의 수용 양상과 의미 - 중국 신화를 중심으로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the acceptance of mythological materials in Sijo - Focused on Chinese mythology
한국문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초정 김상옥의 시조 미학
Chojung Kim Sangok’s Sijo Esthetics
비평문학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내포제 시조의 전승과 변이
The transmission and transition of the Sijo in the Naepo Style
한국학연구 |
35 |
2010 |
기타인문학
내포제 시조의 전승과 변이
The transmission and transition of the Sijo in the Naepo Style
한국학연구 |
|
35 |
2010 |
기타인문학
시조에 나타난 불교 수용의 양면성과 의미
The Duality and its Meaning of Buddhist Thought Represented in Sijo
인문학연구 |
38 |
1 |
2011 |
기타인문학
사대부가사의 서술방식과 그 의미
The aspects of the discourse theory in Sadaebu-kasa
국제언어문학 |
24 |
2011 |
기타동양어문학
Traduire le vers coréen sijo : approche théorique et pratique
시조의 번역 : 그 이론과 적용의 문제에 관하여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3 |
2010 |
프랑스문화학
Traduire le vers coréen sijo : approche théorique et pratique
시조의 번역 : 그 이론과 적용의 문제에 관하여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3 |
|
2010 |
프랑스문화학
시조의 구술성으로 인한 정서 표출 방식과 시조 교육의 방향
The Manners of Emotion Expression in Sijo of Orality and Direction of Sijo Education
고전문학과 교육 |
24 |
2012 |
인문학
시조: 독자와의 소통을 위한 대화적 서정시
Sijo as a Dialogic Poetry
코기토 |
67 |
2010 |
기타인문학
시조: 독자와의 소통을 위한 대화적 서정시
Sijo as a Dialogic Poetry
코기토 |
67 |
|
2010 |
기타인문학
漢詩 번역 時調 연구 -제 양상과 미발굴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Sijo Translating Hansi
한국시가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漢詩 번역 時調 연구 -제 양상과 미발굴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Sijo Translating Hansi
한국시가연구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女唱歌曲에 나타난 애정의 양상과 의미
Representation of Love in the Yochang-gagok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女唱歌曲에 나타난 애정의 양상과 의미
Representation of Love in the Yochang-gagok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꽃 소재 작품을 통해 본 고시조의 미의식 -<靑丘永言> 珍本과 六堂本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Sijo about Flowers
고전과 해석 |
8 |
2010 |
국문학사
꽃 소재 작품을 통해 본 고시조의 미의식 -<靑丘永言> 珍本과 六堂本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Sijo about Flowers
고전과 해석 |
8 |
|
2010 |
국문학사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의 장르 수용 양상과 의미 -『韓國時調大事典』을 중심으로-
Reception Aspects and Meaning of Other Genre of Korean Verse with Dialogic Style -Focused on Dictionary of Korean Sijo-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1 |
1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 후기 時調 漢譯의 재검토
Reconsideration of Sijo's Chinese Translatio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우리어문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