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시조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026

STNet ID : 1002721

한자 : 辭說時調
음차어 : Saseol-Sijo
음차어 : Saseolsijo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조선 후기 () [ 朝鮮後期 ]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조선 중기 (16세기 후-18세기 초) [ 朝鮮中期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고시조 () [ 古時調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시조 () [ 時調 ]

isKindOf (상위 유형)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시조창 [ 時調唱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조선고가요집 [ 朝鮮古歌謠集 ]

새로운 고시조 작품의 발굴과 검토

A discover and review of newly old sijo works

시조학논총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봉래악부>의 성격과 신헌조의 작품 세계

Characteristics of and Internal Aspects of Shin Heonjo's Sijo

한국시가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봉래악부>의 성격과 신헌조의 작품 세계

Characteristics of and Internal Aspects of Shin Heonjo's Sijo

한국시가연구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 <處容歌>의 담론 특성과 그 미학적 함의

A Study on The Discourse Characteristics in <處容歌> and its Aesthetical Implications

고전문학연구 | 41 | 2012 | 한국어와문학

떠난 사랑이 돌아오면 행복할까—俗謠의 ‘그리움’과 ‘미련’을 통해 본 고전시가의 행복론—

Shall We Be Happy if the Departed lover Returned?—Variation of Love motif in the Poetic Persona—

고전과 해석 | 10 | 2011 | 국문학사

사설시조에 드러난 일상성 담론과 미학, 그리고 근대

A study on the Aspects of Ordinariness Discourse in Saseolsijo and its Modernity

시조학논총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사설시조와 근대성 -사설시조의 시적 시선과 근대적 시각 場의 연관에 대한 시론적 탐색-

Saseolsijo and Modernity -A Preliminary Study about Relation of the Poetic perspective and the Visual field-

한국시가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설시조와 근대성 -사설시조의 시적 시선과 근대적 시각 場의 연관에 대한 시론적 탐색-

Saseolsijo and Modernity -A Preliminary Study about Relation of the Poetic perspective and the Visual field-

한국시가연구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만횡청류의 형성 기반과 여항가요와의 친연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origin of Manhoeingchungryu and its close affinity with Yeohang-songs

어문논집 | 62 | 2010 | 한국어와문학

만횡청류의 형성 기반과 여항가요와의 친연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origin of Manhoeingchungryu and its close affinity with Yeohang-songs

어문논집 | | 62 | 2010 | 한국어와문학

휘모리잡가의 지향

The Intention of Hwimori-japga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려속요에 나타난 웃음의 양상과 그 미학적 전승

The aspects of the Laughter in Goryeosokyo andits aesthetical tradition

한국시가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착각 모티프 사설시조의 의미구조와 미의식 -만횡청류와 명대 악부민가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aning structure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n 'Saseoulsijo(사설시조)' with illusion-motif

韓國古典硏究 | 24 | 2011 | 고전산문

대화체를 수용한 사설시조와 그 실현양상

The realizations on the persona of dramatic speaker in Saseol-sijo

국학연구론총 | 9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규범서를 통해 본 사설시조의 희극성

A Reinterpretation of the Comic of Saseol-sijo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ook of Social Norms in the Joseon Dynasty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사설시조에 드러난 희비극성의 양상과 그 미학적 의미

The Aspects of Tragicomedy and its Aesthetical meaning in Saseolsijo

한국언어문학 | 77 | 2011 | 한국어와문학

사설시조의 사물 분류 방식과 그 시적 의미

Method of Classification of Objects in Saseol-sijo and its Poetic Meaning

고전문학연구 | 41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