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시조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3666

STNet ID : 1003104

한자 : 古時調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시조 () [ 時調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사설 시조 () [ 辭說時調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엇시조 () [ 旕時調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평시조 [ 平時調 ]

한국 현대 시조의 위상과 ‘2차 시조부흥운동’

The status of Korean modern Sijo(時調) and ‘the 2nd Sijoh renaissance campaign’

비평문학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百人一首」의 풍자와 패러디 고찰-한국 고시조와 비교하여-

A study of [the Hundred Poems by One]'s satire and parody - Comparing an ancient Korean verse; sijo -

일본연구 | 30 | 2011 | 일본어와문학

잡지 『청춘』을 통해 본 최남선의 고시조(古時調) 인식 방향과 그 의미

Choi Nam Sun's Perception of Kosijo (古時調) and its Significance Represented in the Magazine Chungchun (靑春)

한국시가문화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

古時調에서의 形象化의 抽象性과 具象性에 대한 硏究

A study on abstraction and concreteness of figuration in Old Sijo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