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창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203

STNet ID : 1004539

한자 : 時調唱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시도지정무형문화재 (市道指定無形文化財)

유형/장르

노래

지정호수_t

전북무형문화재 제14호

지정일자_t

2000-03-10

형태

무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사설 시조 () [ 辭說時調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엇시조 () [ 旕時調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가곡창 [ 歌曲唱 ]

RT (관련어)

 

 

시절가조 (노래) [ 時節歌調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남훈태평가 [ 南薰太平歌 ]

내포제 시조의 전승과 변이

The transmission and transition of the Sijo in the Naepo Style

한국학연구 | 35 | 2010 | 기타인문학

내포제 시조의 전승과 변이

The transmission and transition of the Sijo in the Naepo Style

한국학연구 | | 35 | 2010 | 기타인문학

橘山 李裕元 小樂府와 19世紀 士大夫 時調 享有의 特性 考察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oahkbu of Geulsan Lee Yu-Won and enjoyment of Sijo by the 19C's Sadaebu

인문학연구 | 38 | 4 | 2011 | 기타인문학

방각본 『남훈태평가』의 간행 양상과 의의

The publication aspects and significance of woodblock-printed ≪Namhuntaepyeongga≫

열상고전연구 | 31 | 2010 | 기타국문학

방각본 『남훈태평가』의 간행 양상과 의의

The publication aspects and significance of woodblock-printed ≪Namhuntaepyeongga≫

열상고전연구 | | 31 | 2010 | 기타국문학

시조창의 문학치료학적 연구

Literature Therapy Studies on Sijochang

시조학논총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가곡창과 시조창 노랫말의 기본 유형에 대하여

On the Basic Words Patterns of Gagokchang and Sijochang

고전문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조의 시조 정체성 문제

Study on the Matter of Sijo Identity in Modern Sijo

시조학논총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시조창의 시김새 유형분석 및 지도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A Study of Teaching Methods of Sigimsae of Pyoung Sijo Acording to a Type

예술교육연구 | 9 | 1 | 2011 | 예술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