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래동요의 수집과정과장르적 전범의 형성과정-애국계몽기~1920년대 미디어 소재 텍스트를 중심으로-
The Process of Collecting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Genre Model —With Focus on the Texts Contained in the Media From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to the 1920s—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전래동요의 수집과정과장르적 전범의 형성과정-애국계몽기~1920년대 미디어 소재 텍스트를 중심으로-
The Process of Collecting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Genre Model —With Focus on the Texts Contained in the Media From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to the 1920s—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번역 불가능성’의 심연 -식민지 시기 김소운의 전래동요 번역(日譯)을 중심으로
An Abyss of ‘Impossibility of Translation’-Kim So-Woon’S Recognition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ranslation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번역 불가능성’의 심연 -식민지 시기 김소운의 전래동요 번역(日譯)을 중심으로
An Abyss of ‘Impossibility of Translation’-Kim So-Woon’S Recognition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ranslation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번역시와 근대서정시의 원형 문제 ― ‘님의 시학’과 번역의 역동성
1920s translating poetry and problems in prototype of the lyric ― ‘Lover's Poetics and the dynamics of translation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번역시와 근대서정시의 원형 문제 ― ‘님의 시학’과 번역의 역동성
1920s translating poetry and problems in prototype of the lyric ― ‘Lover's Poetics and the dynamics of translation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文山 李載毅의 삶과 交遊
Moonsan Lee, Jae-ui's Life & Friendship
한국인물사연구 |
13 |
2010 |
역사학
文山 李載毅의 삶과 交遊
Moonsan Lee, Jae-ui's Life & Friendship
한국인물사연구 |
|
13 |
2010 |
역사학
현대시의 치유시학적 연구 - 김춘수·김수영·천상병의 시를 중심으로 -
The Study of Poetic Healing-care of the modern poems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중 문묘 석전일무의 무위변천과 그 사상
Wu-Wei of Dance at Korean⋅Chinese Munmyoseokjeon(Ceremonies at Confucian Shrines) and Its Thoughts
한국사상과 문화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浙東 연해안에서 高麗人의 수로 교통 -교통 유적과 지명을 중심으로 -
Transportation Places of historic interests for people of Goryeo(高麗) to broad through Zhedong(浙東) watercourse
중국사연구 |
64 |
2010 |
동양사
浙東 연해안에서 高麗人의 수로 교통 -교통 유적과 지명을 중심으로 -
Transportation Places of historic interests for people of Goryeo(高麗) to broad through Zhedong(浙東) watercourse
중국사연구 |
|
64 |
2010 |
동양사
여러 번 고쳐 쓰는, 벽 밖으로 끌려나와 버린 - 구효서, 송경아의 하이퍼텍스트
Mehmals wieder schreibend, aus der Wand abgeschleppt -Hypertext von Koo Hyo-Seo und Song Kyoung-Ah
세계문학비교연구 |
38 |
2012 |
문학
宋의 國信使가 契丹의 황제·황태후를 알현하는 의례
宋朝的國信使拜見契丹皇帝皇后時的儀禮
동양사학연구 |
120 |
2012 |
역사학
시집살이 이야기와 시집살이 노래의 비교:경험담, 노래, 전승담의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Comparison between Story and Song about Sizipsari:Focused on narrating method of the actual narrative,the narrative song and the fictional narrative
구비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吟誦의 淵源과 樣相
The Origin And Appearance Of Eum Song
시조학논총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吟誦의 淵源과 樣相
The Origin And Appearance Of Eum Song
시조학논총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육사의 탈주의식과 타자성
Yi Yuk Sa' escape consciousness and othernes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려시대의 문묘
The Confucian shrine in Koryo period
한국사상사학 |
40 |
2012 |
역사학
『전쟁과 평화』의 ‘소리’ 모티프: 입, 귀, 소리, 음악,그리고 노래
The Motif of Sounds in War and Peace: Mouth, Ear, Sound, Music, and Song
외국문학연구 |
37 |
2010 |
문학
『전쟁과 평화』의 ‘소리’ 모티프: 입, 귀, 소리, 음악,그리고 노래
The Motif of Sounds in War and Peace: Mouth, Ear, Sound, Music, and Song
외국문학연구 |
|
37 |
2010 |
문학
이육사의 탈주의식과 타자성
Yi Yuk Sa' escape consciousness and othernes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詩歌文學 연구를 위한 제언
Some suggestions on the study of Si-Ga literature
한어문교육 |
25 |
2011 |
국어교육
헤르만 헤세의 시와 김정식의 노래
Hermann Hesses Lyrik und die Lieder von Cheongsik Kim
헤세연구 |
24 |
2010 |
독일어와문학
헤르만 헤세의 시와 김정식의 노래
Hermann Hesses Lyrik und die Lieder von Cheongsik Kim
헤세연구 |
|
24 |
2010 |
독일어와문학
최남선의 신시(新詩)에서의 율(律)의 문제
The Birth of Modern Perception of Sound and Letter -Choi Nam-seon's sense of Rhythm for Sin-si-
한국근대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남선의 신시(新詩)에서의 율(律)의 문제
The Birth of Modern Perception of Sound and Letter -Choi Nam-seon's sense of Rhythm for Sin-si-
한국근대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 현종대의 대거란전쟁과 그 정치 · 외교적 성격
A Political and Diplomatic Significance of the War against Qidan(契丹) during the Reign of Hyeon-Jong(顯宗) in Koryo Dynasty
역사와경계 |
74 |
2010 |
역사학
고려 현종대의 대거란전쟁과 그 정치 · 외교적 성격
A Political and Diplomatic Significance of the War against Qidan(契丹) during the Reign of Hyeon-Jong(顯宗) in Koryo Dynasty
역사와경계 |
|
74 |
2010 |
역사학
고려 공예품에 보이는 宋代 ‘倣古器物’의 영향
Influence of the Archaism of the Song Dynasty on Artifacts of the Goryeo Period
미술사연구 |
25 |
2011 |
미술
Development of Theme and Icon in Evening Bell from Misty Temple(煙寺晩鐘) of Eight Views of Xiao and Xiang in Goryeo Dynasty
煙寺晩鐘の主題と図様の変遷
인문과학연구 |
31 |
2011 |
기타인문학
船遊樂을 통한 歌舞百戱 연구
A Study on the Seonyulak-based Traditional Leisure, Songs, Dances and Performances
한국체육학회지 |
50 |
4 |
2011 |
체육
11세기 후반 송·베트남 사이의 전쟁과 외교 교섭
War and Diplomatic Negotiations between Song China and Vietnam in the Late Tenth Century
동북아역사논총 |
34 |
2011 |
역사학
노래와 시의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김소월의 시와 마야의 “진달래꽃”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the Inter-textuality Between Poetry and Song -take Kim so weoll’’s poem “Azalea Flower” and Maya’s song “Azalea Flower” as an example-
국어교육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노래와 시의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김소월의 시와 마야의 “진달래꽃”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the Inter-textuality Between Poetry and Song -take Kim so weoll’’s poem “Azalea Flower” and Maya’s song “Azalea Flower” as an example-
국어교육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De la culture aux pratiques culturelles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4 |
2010 |
프랑스문화학
De la culture aux pratiques culturelles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4 |
|
2010 |
프랑스문화학
노래와 시의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김소월의 시와 마야의 “진달래꽃”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the Inter-textuality Between Poetry and Song -take Kim so weoll’’s poem “Azalea Flower” and Maya’s song “Azalea Flower” as an example-
국어교육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노래와 시의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김소월의 시와 마야의 “진달래꽃”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the Inter-textuality Between Poetry and Song -take Kim so weoll’’s poem “Azalea Flower” and Maya’s song “Azalea Flower” as an example-
국어교육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시조 문맥에서 경화사족의 위치
The Position of Kyunghwa-Sajok in the Context of Sijos during the 18th Century
국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시조 문맥에서 경화사족의 위치
The Position of Kyunghwa-Sajok in the Context of Sijos during the 18th Century
국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남선의 신시(新詩)에서의 율(律)의 문제
The Birth of Modern Perception of Sound and Letter -Choi Nam-seon's sense of Rhythm for Sin-si-
한국근대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남선의 신시(新詩)에서의 율(律)의 문제
The Birth of Modern Perception of Sound and Letter -Choi Nam-seon's sense of Rhythm for Sin-si-
한국근대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보토 슈트라우스의 작품에 나타난 구술성과 노래의 기능
Die Funktion der Mündlichkeit und des Gesangs im Werk von Botho Strauß
카프카 연구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노래를 활용한 도덕 교육
The Application of Songs in Moral Education
도덕윤리과교육 |
34 |
2011 |
교육학
노래를 활용한 도덕 교육
The Application of Songs in Moral Education
도덕윤리과교육 |
34 |
2011 |
교육학
Sites of Loss and Gain: Songs in As you Like it and Shakespeare’s Comedy
상실과 획득의 현장: 「뜻대로 하세요」의 노래와 셰익스피어 희극
Shakespeare Review |
48 |
1 |
2012 |
영어와문학
일제하 소작쟁의의 전개와 문학적 형상화에 관한 고찰 -암태도 소작쟁의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of tenant disputes and literary configuration under Japanese rule
어문논집 |
65 |
2012 |
한국어와문학
Sites of Loss and Gain: Songs in As you Like it and Shakespeare’s Comedy
상실과 획득의 현장: 「뜻대로 하세요」의 노래와 셰익스피어 희극
Shakespeare Review |
48 |
1 |
2012 |
영어와문학
노래 삽입 동화활동이 초등 저학년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iry-Tale Telling Using Songs on the On-Task Behavio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특수아동교육연구 |
14 |
3 |
2012 |
교육학
노래를 활용한 그림책 들려주기 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만 2세 영아의 반응 탐색
A Study on Infant's Response to Listening Picture Books using song
어린이미디어연구 |
9 |
2 |
2010 |
유아교육
노래를 활용한 그림책 들려주기 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만 2세 영아의 반응 탐색
A Study on Infant's Response to Listening Picture Books using song
어린이미디어연구 |
9 |
2 |
2010 |
유아교육
노래를 활용한 그림책 들려주기 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만 2세 영아의 반응 탐색
A Study on Infant's Response to Listening Picture Books using song
어린이미디어연구 |
9 |
2 |
2010 |
유아교육
노래를 활용한 그림책 들려주기 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만 2세 영아의 반응 탐색
A Study on Infant's Response to Listening Picture Books using song
어린이미디어연구 |
9 |
2 |
2010 |
유아교육
송 태종대 雍熙北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Yongxi North Invasion inEmperor Taizong Period of the Song Dynasty
군사 |
74 |
2010 |
역사학
宋․遼․金․元 수저(匙箸) 編年硏究 - 어미형숟가락의 출현 -
A study on the Chronology of chinese(Song~Yuan) Spoons - tenancy Fishtail-edge spoon -
문물연구 |
17 |
17 |
2010 |
역사학
宋․遼․金․元 수저(匙箸) 編年硏究 - 어미형숟가락의 출현 -
A study on the Chronology of chinese(Song~Yuan) Spoons - tenancy Fishtail-edge spoon -
문물연구 |
17 |
17 |
2010 |
역사학
노래 삽입 동화활동이 초등 저학년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iry-Tale Telling Using Songs on the On-Task Behavio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특수아동교육연구 |
14 |
3 |
2012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