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

연구분야 : G020100 예술체육 > 음악학 > 한국음악이론/분석

클래스 : 음악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632

STNet ID : 1000381

한자 : 民謠
영어 : Folk Song
영어 : Folk Songs

e01-02 음악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e01-01 문학장르 /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노래 () [song]

S:동의

UF (비우선어)

 

 

한국 민요 [ 韓國民謠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한국 구비 문학 () [ 韓國口碑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민속 음악 () [ 民俗音樂 ]

isKindOf (상위 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성악곡 [ 聲樂曲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해서 민요 () [ 海西民謠 ]

hasKind (종류)

 

 

남도 민요 [ 南道民謠 ]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자진아라리

hasKind (종류)

 

 

경상도 민요 [ 慶尙道民謠 ]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신민요 () [ 新民謠 ]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서도민요 [ 西道民謠 ]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어로 민요 [ 漁撈民謠 ]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노동요 [ 勞動謠 ]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어사용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토속 민요 () [ 土俗民謠 ]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각설이 타령 [ --打令 ]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향토 민요 () [ 鄕土民謠 ]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포크 음악 [ --音樂 ]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통속 민요 () [ 通俗民謠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서사 민요 () [ 敍事民謠 ]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경기도 민요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전승 민요 () [ 傳承民謠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민요 시인 () [ 民謠詩人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민요 연구회 [ 民謠硏究會 ]

RT (관련어)

 

 

가요 [ 歌謠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채록 [ 採錄 ]

hasMethod (방법/기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메나리토리 () [메나리조]

hasMethod (방법/기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선후창 [ 先後唱 ]

hasMethod (방법/기법)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민요 선법 [ 民謠旋法 ]

isAppliedTo (적용 대상)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가창 방식 [ 歌唱方式 ]

isAppliedTo (적용 대상)

 

e02-02 패턴 패턴

민요조 [ 民謠調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미오리짜 [Miorita]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정선아리랑

계면조와 메나리토리의 下一에 대한 고찰

The Study about Kyemyeonjo and Menaritori focusing on the use of Hail(下一)

한국음악연구 | 49 | 2011 | 음악학

궁중 연향에서의 가사 창작과 전승 -<화조가>를 중심으로

The Gasa composing and transmission at court banquet

한국시가문화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궁중 연향에서의 가사 창작과 전승 -<화조가>를 중심으로

The Gasa composing and transmission at court banquet

한국시가문화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루마니아 발라드 「어린 양」과 민요 아리랑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Ballad Little Lamb (Mioriţa) and the Folk Song Arirang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의 장르 수용 양상과 의미 -『韓國時調大事典』을 중심으로-

Reception Aspects and Meaning of Other Genre of Korean Verse with Dialogic Style -Focused on Dictionary of Korean Sijo-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1 | 1 | 2012 | 기타인문학

카프의 연극대중화론과 정치연극의 대중적 형식

KAPF's Controversy of Theatre-Popularization And Popular Forms of Political Theatre

한국극예술연구 | 31 | 2010 | 예술체육학

카프의 연극대중화론과 정치연극의 대중적 형식

KAPF's Controversy of Theatre-Popularization And Popular Forms of Political Theatre

한국극예술연구 | | 31 | 2010 | 예술체육학

조선후기 지방의 날씨, 농사ㆍ주민의 삶, 정책의 상호관계: 오횡묵의 『고성총쇄록(固城叢瑣錄)』을 사례로

Interrelation among Weather, Agriculture and People's Life, and Policy in a Local in the Late Choson: In Case of 「Goseong Chongswaerok」 by O Hoeng-muk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3 | 2010 | 지리학

조선후기 지방의 날씨, 농사ㆍ주민의 삶, 정책의 상호관계: 오횡묵의 『고성총쇄록(固城叢瑣錄)』을 사례로

Interrelation among Weather, Agriculture and People's Life, and Policy in a Local in the Late Choson: In Case of 「Goseong Chongswaerok」 by O Hoeng-muk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3 | 2010 | 지리학

<장끼전> 작품군의 존재 양상과 전승 과정 연구

A Study of an Existence Aspect and the Hand Down Process of Pieces

판소리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장끼전> 작품군의 존재 양상과 전승 과정 연구

A Study of an Existence Aspect and the Hand Down Process of Pieces

판소리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영변가>와 <진달래꽃>의 상호텍스트적 양상과 의미

Intertextual Aspects and Meanings of Yeongbyeon-ga and Jindalekkot(Azaleas)

한국시가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 전래동요의 수집과정과장르적 전범의 형성과정-애국계몽기~1920년대 미디어 소재 텍스트를 중심으로-

The Process of Collecting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Genre Model —With Focus on the Texts Contained in the Media From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to the 1920s—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전래동요의 수집과정과장르적 전범의 형성과정-애국계몽기~1920년대 미디어 소재 텍스트를 중심으로-

The Process of Collecting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Genre Model —With Focus on the Texts Contained in the Media From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to the 1920s—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생활속요(Частушка)의 기원과 구조적 특성

Origi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hastushka

노어노문학 | 22 | 3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생활속요(Частушка)의 기원과 구조적 특성

Origi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hastushka

노어노문학 | 22 | 3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한오백년’ 악보의 변천 연구

A Study on Transformation of ‘Hanobaeknyeon’ Music Score Included in Music textbook of middle school

음악교육공학 | 12 | 2011 | 음악학

독일 민간합창운동의 사회적, 문화적 역할과 오늘:C. F. Zelter의 “베를린 리더타펠” 창설 200주년에 붙여

Social and Cultural Roles of the Amateur Choral Movement: On the Occasion of the Two-hundred-year History of the "Berlin Liedertafel" by Carl Friedrich Zelter

음악교육공학 | 15 | 2012 | 음악학

노동요 지도를 위한 물 푸는 소리의 고찰

A Study of the Scooping Water Songs for Approaching Korean Work Songs

국악교육연구 | 6 | 1 | 2012 | 예술교육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의 단소 지도내용 고찰

A Study on the Teaching Contents of Danso in the Music Textbooks of Korean Elementary Schools by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국악교육연구 | 6 | 2 | 2012 | 예술교육

<이상곡>의 시적 정황 및 독법의 논리

Poetic Situation of Isangkok and Its Interpretation Logic

인문학연구 | 39 | 1 | 2012 | 기타인문학

북한 민요관의 변모양상과 특성

Transition and property of Recognition on Folk Song in North Korea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소운의 글쓰기 환경과 번역 작업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ircumstance of Kim So-Woon’s Writing and Translating Works

문학교육학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일본음악 1 -악곡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Japanese Music of the Music Textbooks of Grade 1 in Korean Middle Schools (Part 1) : Focused on the Songs

국악교육연구 | 6 | 2 | 2012 | 예술교육

홍사용과 구술문화 전통의 의미

Hong Sa-Yong and the meaning of Oral culture tradition

동악어문학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족 전통예술의 전승 기반

Korean Ethnic Arts of Transmission Base

통일인문학 | 49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족 전통예술의 전승 기반

Korean Ethnic Arts of Transmission Base

통일인문학 | 49 | | 2010 | 기타인문학

小樂府 제작 동기에 보이는 국문시가관

The Viewpoints on Korean Song Viewed at the Compositions of Korean SOACKBOO(小樂府)

열상고전연구 | 34 | 2011 | 기타국문학

19세기말․20세기초 민요 <흥타령>의 수용과 變改 양상 - 雜歌와 大韓每日申報를 중심으로

Aspects of the reception and the alteration of folksong i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0f 20th century - Focusing on Jabga(雜歌), Daehanmaeilsinbo(大韓每日申報)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19세기말․20세기초 민요 <흥타령>의 수용과 變改 양상 - 雜歌와 大韓每日申報를 중심으로

Aspects of the reception and the alteration of folksong i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0f 20th century - Focusing on Jabga(雜歌), Daehanmaeilsinbo(大韓每日申報)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

아리랑과 현대시

The Acceptance of Arirang Shown in Modern Korean Poetry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식민지 조선에서의 창가, 민요 개념 성립사 ―일본에서의 번역어 성립과 조선으로의 수용 과정 분석

A Formative History of the Concepts of Ch'angga and Minyo in Colonial Korea

대동문화연구 | 71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 조선에서의 창가, 민요 개념 성립사 ―일본에서의 번역어 성립과 조선으로의 수용 과정 분석

A Formative History of the Concepts of Ch'angga and Minyo in Colonial Korea

대동문화연구 | | 71 | 2010 | 기타인문학

베트남 북부 블랙몽(Black H'mong)족과 자오(Dao)족 민요 고찰 - 선율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olk-song of Black H'mong and Dao in Northen Vietnam

비교민속학 | 46 | 2011 | 역사학

말하기 방식으로서의 여성민요

Female folk songs as method of speaking

비교민속학 | 45 | 2011 | 역사학

<서동요>에 나타난 민요적 성격

The Characteristic of folk song in

고전문학과 교육 | 22 | 2011 | 인문학

레이프 번 윌리엄즈의 교회음악 - 음악적 신념과 기독교 교리와의 갈등을 중심으로 -

An Analytical Study of Ralph Vaughan Williams's Church Music -the Conflict between Musical Belief and Theological Doctrine-

신학과 실천 | 27 | 2011 | 기독교신학

영호남 지역 <논매는소리>에 나타난 愛情의 양상과 배경

The aspect and background of 1ove in Yeongnam and Honam's 'Nonmaenensori'

한국시가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통합하는 민요, 저항하는 민요 : 남북한의 ‘민요’ 개념 차이에 관한 고찰

統合する民謠, 抵抗する民謠 : 南北朝鮮における「民謠」槪念の相違をめぐって

한국학연구 | 24 | 2011 | 기타인문학

대한제국시대 통속민요 생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Popular Folksong during the Great Imperial Korea

한국음악사학보 | 45 | 2010 | 음악학

대한제국시대 통속민요 생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Popular Folksong during the Great Imperial Korea

한국음악사학보 | | 45 | 2010 | 음악학

민요의 교육적 자질에 대한 일 고찰

A Study on the Educational Qualification of Fork Song

국어교육학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민요의 교육적 자질에 대한 일 고찰

A Study on the Educational Qualification of Fork Song

국어교육학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유정과 아리랑

You-jeong Kim and Arirang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