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민요

연구분야 : A110299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기타국문학
G020000 예술체육 > 음악학

클래스 : 음악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199

한자 : 新民謠
영어 : New folk song
기타 : Sinminyo
동의어(UF) : 근대요(近代謠)

e01-02 음악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한국 근대 [ 韓國近代 ]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조선 후기 () [ 朝鮮後期 ]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조선 후기 () [ 朝鮮後期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민요 () [ 民謠 ]

N1:종류

hasKind (종류)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흥타령 [ 興打令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태평가 [ 太平歌 ]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본조아리랑 () [ 本調-- ]

북한의 민요식 노래와 민족장단

Study on the Folk Song Styled Songs and the National Rhythmic Patterns In North Korea

우리춤과 과학기술 | 6 | 2 | 2010 | 무용

북한의 민요식 노래와 민족장단

Study on the Folk Song Styled Songs and the National Rhythmic Patterns In North Korea

우리춤과 과학기술 | 6 | 2 | 2010 | 무용

김성집의 대중가요 가사 연구

A Study on Kim, Sung Jib's lyrics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한국대중가요의 장르 혼용 양상 - 재즈송을 중심으로

Mixing of Genres in Korean Popular Music during the 1930s: With a focus on “jazzsong”

音.樂.學 | 18 | 2 | 2010 | 기타음악학

1930년대 한국대중가요의 장르 혼용 양상 - 재즈송을 중심으로

Mixing of Genres in Korean Popular Music during the 1930s: With a focus on “jazzsong”

音.樂.學 | 18 | 2 | 2010 | 기타음악학

경기민요 ‘군밤타령’의 발생 시기에 대한 재검토

Reconsidering on the Development of 'Gunbam Taryeong'

음악과 문화 | 23 | 2010 | 음악학

경기민요 ‘군밤타령’의 발생 시기에 대한 재검토

Reconsidering on the Development of 'Gunbam Taryeong'

음악과 문화 | | 23 | 2010 | 음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