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타령

연구분야 : A110205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구비문학(국문학)
G020301 예술체육 > 음악학 > 음악사학 > 한국음악사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8273

한자 : 興打令
영어 : Heungtaryeong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천안삼거리 [ 天安三巨里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신민요 () [ 新民謠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굿거리

19세기말․20세기초 민요 <흥타령>의 수용과 變改 양상 - 雜歌와 大韓每日申報를 중심으로

Aspects of the reception and the alteration of folksong i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0f 20th century - Focusing on Jabga(雜歌), Daehanmaeilsinbo(大韓每日申報)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19세기말․20세기초 민요 <흥타령>의 수용과 變改 양상 - 雜歌와 大韓每日申報를 중심으로

Aspects of the reception and the alteration of folksong i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0f 20th century - Focusing on Jabga(雜歌), Daehanmaeilsinbo(大韓每日申報)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