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민요

연구분야 : G020100 예술체육 > 음악학 > 한국음악이론/분석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429

한자 : 京畿民謠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重要無形文化財)

유형/장르

민요 (民謠)

지정호수_t

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지정일자_t

1975. 07. 12.

형태

무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경기도 () [ 京畿道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경드름 () [ 京--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세마치 장단 ()

hasMethod (방법/기법)

 

 

자진타령

hasMethod (방법/기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굿거리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기예능보유자

 

이춘희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기예능보유자

 

이은주

경기민요 ‘군밤타령’의 발생 시기에 대한 재검토

Reconsidering on the Development of 'Gunbam Taryeong'

음악과 문화 | 23 | 2010 | 음악학

경기민요 ‘군밤타령’의 발생 시기에 대한 재검토

Reconsidering on the Development of 'Gunbam Taryeong'

음악과 문화 | | 23 | 2010 | 음악학

12잡가 형장가 연구 -20세기 초와 현행 형장가의 시대적 변화를 중심으로-

A study o Hyeogjangga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20th century Hyeogjangga and current Hyeogjangga-

국악교육 | 32 | 32 | 2011 | 한국음악이론/분석

초등 음악 교과의 경기민요 교육과 개선방안

The Current Situation of Kyunggi Folk So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국악교육 | 31 | 31 | 2011 | 한국음악이론/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