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연구분야 : A020609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 문화재학

클래스 : 저작(창작)물/정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274

STNet ID : 9009622

한자 : 重要無形文化財
영어 :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nName (현재)

2024년

 

국가무형유산 () [ 國家無形遺産 ]

S:전후

LT (이후명)

2016년

 

국가무형문화재 (문화재보호법) [ 國家無形文化財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무형 문화재 () [ 無形文化財 ]

N1:종류

hasKind (종류)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바디장 [ --匠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범패 () [ 梵唄 ]

hasInstance (사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생강 [ 李生剛 ]

hasInstance (사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성진 () [ 金星振 ]

hasInstance (사례)

20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응서 [ 金應瑞 ]

hasInstance (사례)

45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강백천 [ 姜白千 ,姜白川 ]

朝鮮朝 鄕樂呈才의 性理學的 談論 − 宗廟佾舞와 五方處容舞를 中心으로 −

A Neo-Confucian Discourse on Joseon Hyangakjeongjae (royal feast dance and music) - Focused on Jongmyoilmu (Royal Shrine Dance) and Obangcheoyongmu (Five-Direction Cheoyong Dance)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현행 처용무 ‘상대무(相對舞)·상배무(相背舞)’ 춤동작의 무용서사 연구

A Study on the Epic of Sangdea Sangbae Dance in the Comtemporary Cheoyong-Dance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 69 | 69 | 2011 | 무용

한국 초고공예에 관한 연구 - 강화 화문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Korean Straw Handicraft - Focused on Kangwha Hwamunseok -

조형디자인연구 | 14 | 4 | 2011 | 공예

문화재 보호법에 따른 전통무용 전승환경 연구

A Study on the Transmission Environment of Traditional Dancing According to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ies Act

한국무용연구 | 30 | 2 | 2012 | 기타무용

무형문화재를 기반으로 한 지역축제의 정체성

The identity of local Festival is based o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동아시아문화연구 | 48 | 2010 | 기타인문학

무형문화재를 기반으로 한 지역축제의 정체성

The identity of local Festival is based o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동아시아문화연구 | | 48 | 2010 | 기타인문학

중요무형문화재 보전 정책 개선 방안 연구

Policy Suggestions for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Preservation

문화정책논총 | 26 | 1 | 2012 | 정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