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패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G021300 예술체육 > 음악학 > 종교음악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042

한자 : 梵唄
기타 : beompae
동의어(UF) : 어산(魚山)
동의어(UF) : 인도(印度)
동의어(UF) : 인도(引導)
동의어(UF) : 범음(梵音)
동의어(UF) : 여래패(如來唄)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重要無形文化財)

유형/장르

노래

지정호수_t

중요무형문화제 50호

지정일자_t

1973

형태

무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통범소리 [ 通梵--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불교 음악 () [ 佛敎音樂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문화재보호법) [ 重要無形文化財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사다라니 [ 四陀羅尼 ]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짓소리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범패승 () [ 梵唄僧 ]

계면조와 메나리토리의 下一에 대한 고찰

The Study about Kyemyeonjo and Menaritori focusing on the use of Hail(下一)

한국음악연구 | 49 | 2011 | 음악학

수미산(須彌山) 조설의 특성 및 존재양상

A study on character of Sumisan

한국민속학 | 52 | 2010 | 역사학

수미산(須彌山) 조설의 특성 및 존재양상

A study on character of Sumisan

한국민속학 | 52 | | 2010 | 역사학

영남범패 분석 연구 - 국립문화재연구소 희귀음반 영남범패를 통하여 -

An Analytical Study on the Buddhist Ritual Chant in Yŏngnam Province -Through Yŏngnam Pŏmp'ae Published b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한국음악사학보 | 48 | 2012 | 음악학

한국 근대불교의 의례와 범패

A Study on a Buddhist ritual and Bompae in Korea Modern Buddhism

禪學(선학) | 29 | 2011 | 응용불교학

한국의 근대화와 전통 불교의례의 변모

The Modernization of Korea and the Change of Traditional Buddhism Ceremony

불교학보 | 55 | 2010 | 기타불교학

한국의 근대화와 전통 불교의례의 변모

The Modernization of Korea and the Change of Traditional Buddhism Ceremony

불교학보 | | 55 | 2010 | 기타불교학

한국 불교음악의 전통과 미래

Succession and prospect of korean buddhist music

동아시아불교문화 | 8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범패 전승의 역사적 고찰 -한국․중국 범패 전래 과정을 중심으로-

A Historical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Pŏmp'ae -Focus o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Korean and Chinese Pŏmp'ae-

한국음악사학보 | 46 | 2011 | 음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