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속 민요

연구분야 : G020100 예술체육 > 음악학 > 한국음악이론/분석

클래스 : 음악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7327

한자 : 通俗民謠
영어 : folk song
영어 : popular folk songs

e01-02 음악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별칭

 

창민요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민요 () [ 民謠 ]

N1:종류

hasKind (종류)

 

 

밀양 아리랑

hasKind (종류)

 

 

한오백년

hasKind (종류)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뱃노래

hasKind (종류)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강강술래

R2:기능적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전문 소리꾼

초등 음악 교과의 경기민요 교육과 개선방안

The Current Situation of Kyunggi Folk So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국악교육 | 31 | 31 | 2011 | 한국음악이론/분석

대한제국시대 통속민요 생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Popular Folksong during the Great Imperial Korea

한국음악사학보 | 45 | 2010 | 음악학

대한제국시대 통속민요 생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Popular Folksong during the Great Imperial Korea

한국음악사학보 | | 45 | 2010 | 음악학

근대 대중가요의 형성과 통속민요의 변주 -<난봉가>류의 텍스트 변이를 중심으로-

The Recreation of Tongsogminyo during The period of Modern Pop-songs -Recreation of Nanbongga's Lyrics-

한국시가문화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대중가요의 형성과 통속민요의 변주 -<난봉가>류의 텍스트 변이를 중심으로-

The Recreation of Tongsogminyo during The period of Modern Pop-songs -Recreation of Nanbongga's Lyrics-

한국시가문화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