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록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5877

한자 : 採錄
영어 : recording in a book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민속극 [ 民俗劇 ]

isAppliedTo (적용 대상)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민요 () [ 民謠 ]

isAppliedTo (적용 대상)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설화 () [ 說話 ]

근대계몽기 시가의 매체텍스트 구축 양상 -『대한매일신보』 국한문판의 채록․투고시가를 중심으로-

Building Media Texts of Poems and Songs in the age of Modern Enlightenment -focusing on poems and songs recorded or contributed in 『Korea Daily News』-

한국근대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시가의 매체텍스트 구축 양상 -『대한매일신보』 국한문판의 채록․투고시가를 중심으로-

Building Media Texts of Poems and Songs in the age of Modern Enlightenment -focusing on poems and songs recorded or contributed in 『Korea Daily News』-

한국근대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몽골 게세르(Geser) 이야기의 판본과 간행

A Publication and Edition of Mongol Epic Geser

몽골학 | 30 | 2011 | 기타동양어문학

서사무가 채록의 문제점과 번역의 가능성 - <바리공주>를 중심으로 -

The Problem of Recording Shamanistic Epics and the Possibility of Translation - With Focus on the ‘Princess Bari' Epic -

한국문화 | 56 | 2011 | 기타인문학

이청준 동화의 특징과 아동문학적 가치 ― 전래동화 채록의 의미 해석을 중심으로 ―

Features and the value of Children's Literature in Lee Cheong-jun's fairy tales

한민족문화연구 | 38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