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

연구분야 : A110205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구비문학(국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6

STNet ID : 1000012

한자 : 說話
영어 : folktale
영어 : folk tale
기타 : 説話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이야기 () [story]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야담 () [ 野談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소화 [ 笑話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무속 신화 [ 巫俗神話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유래 설화 [ 由來說話 ]

hasKind (종류)

성향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저항 설화 () [ 抵抗說話 ]

hasKind (종류)

주제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효행 설화 () [ 孝行說話 ]

hasKind (종류)

주제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동물 설화 () [ 動物說話 ]

hasKind (종류)

주제

 

야래자 설화 () [ 夜來者說話 ]

hasKind (종류)

주제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보은 설화 () [ 報恩說話 ]

hasKind (종류)

주제

 

기독교 설화 [ 基督敎說話 ]

hasKind (종류)

주제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도깨비 설화 [ --說話 ]

hasKind (종류)

주제

 

불교 설화 () [ 佛敎說話 ]

hasKind (종류)

주제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부처 설화 [ --說話 ]

hasKind (종류)

주제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광포 설화 [ 廣浦說話 ]

hasKind (종류)

지역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인도 설화 [ 印度說話 ]

hasKind (종류)

지역/민족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조선족 설화 () [ 朝鮮族說話 ]

hasKind (종류)

형식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구비 설화 () [ 口碑說話 ]

hasKind (종류)

형식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구전 설화 () [ 口傳說話 ]

hasKind (종류)

형식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문헌 설화 () [ 文獻說話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전설 () [ 傳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민담 [ 民譚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신화 () [ 神話 ]

hasKind (종류)

주제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이물교구 설화 () [ 異物交媾說話 ]

hasKind (종류)

주제

 

인신공희 설화 () [ 人身供犧說話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설화성 [ 說話性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설화집 () [ 說話集 ]

RT (관련어)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이야기판 () [a Stage of Telling]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서사성 [ 敍事性 ]

RT (관련어)

 

a01-07 준인간 준인간

인격신 [ 人格神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민간 어원 () [ 民間語源 ]

RT (관련어)

관련 대상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황토기 [ 黃土記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채록 [ 採錄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처용 설화 () [ 處容說話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지귀 설화 [ 志鬼說話 ]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영화의 사운드 내러티브 분석: <엉클 분미>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Sound Narrative in the Film of Apichatpong Weerasethakul-Focused on Uncle Boonmee:Who Can Recall His Past Lives-

영상예술연구 | 19 | 2011 | 기타예술체육

‘첫날밤에 해산한 아내 용서하기’ 설화에 나타난 덕(德)의 의미와 그 수용 양상

Social Ethics and the Reception of the Tales Pattern “Forgiving the Bride Who Gave Birth to on the First Night of Marriage”

구비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설화 <여우구슬>을 활용한 문학치료적 글쓰기의 자기성찰 양상과 글쓰기 교육

A Study of Epic of Self Pattern in Literary Therapeutic Writing Using the Folk Tale ‘The Bead of Fox’

고전문학과 교육 | 22 | 2011 | 인문학

중국 조선문학사의 비교 연구 -서사문학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China -focus on narrative literature-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설화와 비유에 나타난 indriya와 manas : 초기 불전과 마하바라타의 상키야설을 중심으로

Indriya and Manas in Narratives and Similes

인도철학 | 33 | 2011 | 철학

構造主義 批評을 활용한 서정주의 詩 分析 - 서정주의 「新婦」를 中心으로 -

Analysis of Poem that Written by Seo Jung-ju Using Structuralist Criticism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 건국과 이성계 설화의 정치적 함의

Foundation of Choseon and Political Significance of Tales about Yi Seong-gye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0 | 1 | 2011 | 동양정치사상

몽골 나담(naadam)축제의 민속학적 연구동향과 과제

Research Trend and Assignment for Folkloric Aspects on Mongolian Naadam Festival

몽골학 | 30 | 2011 | 기타동양어문학

백석의 시 의식 연구 - 소재와 주제 의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Baekseok's Poetry Consciousness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백석의 시 의식 연구 - 소재와 주제 의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Baekseok's Poetry Consciousness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고소설 속 불교적 인물의 성격과 역할 - 說話와 17세기 이후 古小說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

The personality and role of Buddhist characterin the old novels -focused on contrast between folk tales and old novels after 17thcentury-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검단선사 설화의 전승 양상과 의미

A Study on the transmission aspects and meanings of folktales of Geomdan-seonsa

실천민속학 연구 | 18 | 2011 | 역사학

시집살이담의 담화적 특성과 의의 ―‘가슴 저린 기억’에서 만나는 문학과 역사―

Features of Married Life Stories and Their Significance -Literature and history met with ‘heart aching memories’-

구비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구렁덩덩신선비>의 각편 유형과 자기서사의 관련 양상

A Study of the Patterns of Alternative Versions and Epic of Self in Gureongdeongdeong Sinseonbi

겨레어문학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초등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도깨비 형상 연구 -일본 오니 형상과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okkeabi Figure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Comparison of Tokkeabi and Oni Figures in Japan-

어문학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초등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도깨비 형상 연구 -일본 오니 형상과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okkeabi Figure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Comparison of Tokkeabi and Oni Figures in Japan-

어문학 |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가구촌의 유래>에 나타난 남매혼 설화의 변이 양상

The Aspect of Variation of Brother and Sister Marriage Folktale in Chinese-Korean’s Folktale, “The Origin of Pak-ka-goo-chon”

한국언어문학 | 81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일본어 교과서에서 보는 일본신화 ―조선총독부 발행 『普通学校国語読本』과 『初等国語読本』을 중심으로

朝鮮総督府による初等学校国語教科書における日本神話

인문학연구 | 38 | 1 | 2011 | 기타인문학

한부모의 이성 관계를 거부하는 아동에 대한 문학치료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Children Who Reject Parent Relationship with the Opposite Sex

겨레어문학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부모의 이성 관계를 거부하는 아동에 대한 문학치료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Children Who Reject Parent Relationship with the Opposite Sex

겨레어문학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치료학적 관점에서 본 <엎질러진 물> 이본의 의의

A Study of the Significance of Alternative Version of Spilt Milk in Terms of Literary Therapy

고전문학과 교육 | 19 | 2010 | 인문학

문학치료학적 관점에서 본 <엎질러진 물> 이본의 의의

A Study of the Significance of Alternative Version of Spilt Milk in Terms of Literary Therapy

고전문학과 교육 | | 19 | 2010 | 인문학

설화 <도량 넓은 남편>을 활용한 창작활동의 치유적 가능성

A Therapeutic Possibility of creative activity using Folk Tale ‘Generous Husband’

구비문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장끼전> 작품군의 존재 양상과 전승 과정 연구

A Study of an Existence Aspect and the Hand Down Process of Pieces

판소리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장끼전> 작품군의 존재 양상과 전승 과정 연구

A Study of an Existence Aspect and the Hand Down Process of Pieces

판소리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남북한 분단 이후 ‘녹족부인ʼ 서사의 변이 양상 연구 -북한 <평양지>의 「록족 부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Nokjokbuin Narrative after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 Focused on “Nokjokbuin" in Pyongyang-ji of North Korea

어문학 | 112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야기 구조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A Study on Korean Language Reading Instruction Using Story Structure

시학과 언어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이야기 구조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A Study on Korean Language Reading Instruction Using Story Structure

시학과 언어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한문과 교육에서 텍스트의 수준과 범위 -寓言․說話․小說의 수준과 범위에 대한 試論-

The level and range of text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 the level and range of allegory, folk take, novel -

漢文敎育硏究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今昔物語集』震旦(중국)部의 成語 유래담 고찰

『今昔物語集』震旦部の成語由来談考察

일본연구 | 53 | 2012 | 일본어와문학

바람난 배우자에 대한 설화 속 대응양상과 이를 활용한 문학치료적 설계

Confrontation Aspects on Unfaithful mate in Folklore and a Plan for Literary Therapeutic Program

고전문학과 교육 | 21 | 2011 | 인문학

북한 설화관의 변모양상과 특성

Transition of Recognition on Tales in North Korea

영주어문 | 23 | 2012 | 기타국문학

우물의 공간적 성격과 상징성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and Symbolic Characters of the Well

민족문화연구 | 56 | 2012 | 기타인문학

포은 설화의 전승 현황과 그 유형

A Study on the Status and Classification of Poeun Jeong Mong-ju Tales

포은학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선문대할망’과 그 別稱

'SeonmundaeHalmang' and other names

탐라문화 | 37 | 2010 | 기타인문학

‘선문대할망’과 그 別稱

'SeonmundaeHalmang' and other names

탐라문화 | | 37 | 2010 | 기타인문학

동아시아에 확산된 의상과 선묘의 사랑 이야기

日本語文學 | 1 | 54 | 2012 | 일본어와문학

설화를 활용한 공간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 제주 남부 해안도로 사례를 중심으로

A research the planning of Place Storytelling with tales

韓國古典硏究 | 21 | 2010 | 고전산문

설화를 활용한 공간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 제주 남부 해안도로 사례를 중심으로

A research the planning of Place Storytelling with tales

韓國古典硏究 | | 21 | 2010 | 고전산문

설화 스토리텔링을 통한 결혼이주여성의 갈등 해소 방안

The conflict solution for women marriage immigrants through folktale storytelling

다문화콘텐츠연구 | 11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야쿠티아 만차르 설화의 신화적 이니시에이션 서사구조

A Study on Narrative Structure of Mythical Initiation in Yakutia's The Fable of Mancharr

한국 시베리아연구 | 15 | 2 | 2011 | 러시아

「오세암」 설화의 심층의미와 아동문화콘텐츠로의 변용에 관한 연구

The Deep Meaning of Folk Tale ‘Oseam’ and the Study on Modification into its Children's Cultural Contents

어문논집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오세암」 설화의 심층의미와 아동문화콘텐츠로의 변용에 관한 연구

The Deep Meaning of Folk Tale ‘Oseam’ and the Study on Modification into its Children's Cultural Contents

어문논집 |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 기이편 신고찰

The New Study of 'gi-i' in Samgukyusa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삼국유사 기이편 신고찰

The New Study of 'gi-i' in Samgukyusa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張白傳>의 說話化 過程과 그 樣相―『韓國口碑文學大系』에 採錄된 이야기를 중심으로

The Process and the Aspects of Jangbaekjeon’s Becoming a Tale : The Focus On Hanguk Gubi Munhak Daegye(韓國口碑文學大系) Contained Six Tales

藏書閣 | 24 | 2010 | 역사학

<張白傳>의 說話化 過程과 그 樣相―『韓國口碑文學大系』에 採錄된 이야기를 중심으로

The Process and the Aspects of Jangbaekjeon’s Becoming a Tale : The Focus On Hanguk Gubi Munhak Daegye(韓國口碑文學大系) Contained Six Tales

藏書閣 | | 24 | 2010 | 역사학

서동설화의 기록화 양상 연구

The Study On a way in which Seodong Seolwha has been recorded

배달말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에 수록된 시가와 배경설화의 교육적 의미

Review for Educational Meaning in Poetry and Fables of Sam Guk Yu Sa(三國遺事;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한국교육사학 | 33 | 2 | 2011 | 교육학

고령지역 설화의 역사성과 비극성

Historical and Tragic Factors of Goryeong Tales

영남학 | 47 | 2010 | 유교학

고령지역 설화의 역사성과 비극성

Historical and Tragic Factors of Goryeong Tales

영남학 | | 47 | 2010 | 유교학

경험-학습’ 이론에 비추어 본 『삼국유사』 설화의 수양론적 특징 - 낙산사⋅분황사⋅금산사에 얽힌 세 설화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 of cultivating theory in fables of Sam Guk Yu Sa(三國遺事;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reflected to "Experience-Learning" theory - In the central figure of Three Fables with Naksan temple, Bunhwang temple, and Geumsan temple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

몽골의 가정생활 문화에 관한 일고찰: 여성 민속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Family Life Culture in Mongolia: Focusing on Women's Folklore

몽골학 | 28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몽골의 가정생활 문화에 관한 일고찰: 여성 민속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Family Life Culture in Mongolia: Focusing on Women's Folklore

몽골학 | | 28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지역 설화를 활용한 도덕과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hod of Moral education through Narrative Literature in Elementary School

초등도덕교육 | 34 | 2010 | 윤리교육학

지역 설화를 활용한 도덕과 교육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hod of Moral education through Narrative Literature in Elementary School

초등도덕교육 | | 34 | 2010 | 윤리교육학

서동설화의 주체 연구

A study on Main agent of "Seodong Tale"

온지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설화(說話) 제재를 활용한 인성교육의 가능성 고찰 -초등학교 4-1 ‘국어’ 교과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Possibilities to Strengthen Nature Education by Learning Korean Folktales

한국초등국어교육 | 44 | 2010 | 국어교육

설화(說話) 제재를 활용한 인성교육의 가능성 고찰 -초등학교 4-1 ‘국어’ 교과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Possibilities to Strengthen Nature Education by Learning Korean Folktales

한국초등국어교육 | | 44 | 2010 | 국어교육

애니메이션 콘텐츠 창작소재와 전통 민속문화와의 만남 : 미셸 오슬로의 <키리쿠와 마녀>와 KBS 위성 TV <애니멘터리 한국설화>를 중심으로

A Research of Relationship between Animation Content and Traditional Folk Culture: Centered around Michel Ocelot's (Kirikou and the Sorceress) and KBS Satellite Channel's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19 | 2010 | 예술일반

애니메이션 콘텐츠 창작소재와 전통 민속문화와의 만남 : 미셸 오슬로의 <키리쿠와 마녀>와 KBS 위성 TV <애니멘터리 한국설화>를 중심으로

A Research of Relationship between Animation Content and Traditional Folk Culture: Centered around Michel Ocelot's (Kirikou and the Sorceress) and KBS Satellite Channel's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 19 | 2010 | 예술일반

중국사신에 대한 서민층과 사대부층의 인식 비교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Ordinary Men and Officials of Noble Birth about Chinese Envoys

역사민속학 | 33 | 2010 | 역사학

중국사신에 대한 서민층과 사대부층의 인식 비교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Ordinary Men and Officials of Noble Birth about Chinese Envoys

역사민속학 | | 33 | 2010 | 역사학

상인 트릭스터담의 성격과 전승 의미

The characteristics of trickster merchant tales and the meaning of the transmission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상인 트릭스터담의 성격과 전승 의미

The characteristics of trickster merchant tales and the meaning of the transmission

동남어문논집 | 1 | 30 | 2010 | 기타국어학

短文爲主의 말하기와 쓰기 同時敎授法에 對한 小考

Consider a same time teaching method in the beginner's chinese class of five province(speaking, hearing, composition, reading and grammar)

수사학 | 14 | 2011 | 기타인문학

『今昔物語集』의 겐신(源信)傳 고찰

The Lives of Genshin in『Konzakumonogatarisyu』

일본연구 | 33 | 2012 | 일본어와문학

『今昔物語集』의 增賀(조가)성인(聖人)傳 고찰

『今昔物語集』の增賀聖人傳考察

일본연구 | 32 | 2012 | 일본어와문학

<새털옷신랑>형 설화에 나타난 부부분리와 재결합의 의미

A Study on Parting and Reunion of Couple in Folk Tale of Stories

국어국문학 | 1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털옷신랑>형 설화에 나타난 부부분리와 재결합의 의미

A Study on Parting and Reunion of Couple in Folk Tale of Stories

국어국문학 | | 154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