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담

연구분야 : A110205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구비문학(국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2331

한자 : 民譚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민간 설화 [ 民間說話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민속 문학 [ 民俗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서사 문학 () [ 敍事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설화 () [ 說話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이탈리아 민담 [ --民譚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구연 민담 () [ 口演民譚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유사 민담 [ 類似 民譚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치부담 [ 致富譚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부(富) () [ 富 ]

isAffectedBy (영향요인)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민화 [ 民畵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전설 () [ 傳說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신화 () [ 神話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동화 () [ 童話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청구야담 [ 靑丘野談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구전 설화 () [ 口傳說話 ]

나주지역의 구비문학 전승현장과 전승양상

Transmission site and aspect of oral literature in Naju region

남도민속연구 | 21 | 2010 | 역사학

나주지역의 구비문학 전승현장과 전승양상

Transmission site and aspect of oral literature in Naju region

남도민속연구 | | 21 | 2010 | 역사학

스와힐리 민담 연행에서 구연상투어의 역할

The Role of Oral-Formulas in Swahili Oral Narrative Performances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 27 | 1 | 2010 | 기타아프리카

스와힐리 민담 연행에서 구연상투어의 역할

The Role of Oral-Formulas in Swahili Oral Narrative Performances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 27 | 1 | 2010 | 기타아프리카

북한 설화관의 변모양상과 특성

Transition of Recognition on Tales in North Korea

영주어문 | 23 | 2012 | 기타국문학

Yeats’s One-Act Play The Pot of Broth: Dramaturgy of the Lyrical and the Mystical

예이츠의 단막극 『치킨 국물 뚝배기』의 서정적, 신비주의적 극작법

한국 예이츠 저널 | 36 | 2011 | 영어와문학

설화의 유형 분류와 비교 연구 試論 -<선녀와 나무꾼> 유형을 중심으로-

A Trial Research for Classification and Comparative Study of Folktales -Focused on Swan-Maiden Type-

온지논총 | 24 | 2010 | 기타인문학

설화의 유형 분류와 비교 연구 試論 -<선녀와 나무꾼> 유형을 중심으로-

A Trial Research for Classification and Comparative Study of Folktales -Focused on Swan-Maiden Type-

온지논총 | | 24 | 2010 | 기타인문학

설화 텍스트의 구성 원리 연구 -경험세계와 허구세계의 결합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struction Principle of Oral tale Text -focusing on the aspects of connection between empirical worlds and fictional worlds

기호학 연구 | 29 | 2011 | 언어학

오영수 소설의 설화 수용과 지향

Accepting the Narrative in the Oh Youngsoo's Novels

고전문학과 교육 | 19 | 2010 | 인문학

오영수 소설의 설화 수용과 지향

Accepting the Narrative in the Oh Youngsoo's Novels

고전문학과 교육 | | 19 | 2010 | 인문학

우즈벡 고려인의 구비설화의 양상

A study on the aspects about Folktales of the Uzbekistan-korean

비교민속학 | 47 | 2012 | 역사학

설화의 ‘짝패(double)’ 인물 연구

A Study on the Double Characters in Korean Traditional Stories

구비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뻬로 동화의 이야기 서술 구조에 대한 연구 - 장화 신은 고양이를 중심으로 -

Une étude sur la structure du récit décrit dans les contes de C. Perrault - Le Maître Chat ou le Chat botté -

프랑스 문화 연구 | 22 | 2011 | 프랑스문화학

『끝이 좋으면 모두 좋다』에 나타나는 민담의 요소 연구

A Study of Folkore Motif in All's Well That Ends Well

Shakespeare Review | 46 | 3 | 2010 | 영어와문학

『끝이 좋으면 모두 좋다』에 나타나는 민담의 요소 연구

A Study of Folkore Motif in All's Well That Ends Well

Shakespeare Review | 46 | 3 | 2010 | 영어와문학

Humanity's and inhumanity's paradigms: folktale elements and gender reconfiguration in selected works of Ingeborg Bachmann and Elfriede Jelinek

인간성과 비인간성의 패러다임: 잉에보르크 바흐만과 엘프리데 옐리넥의 작품에 나타나는 민담 요소 및 젠더 재구성

人文科學硏究 | 29 | 2011 | 기타인문학

그리피스의 문학관과 한국 민담에 대한 이해

Griffis's Understanding of Literature and Korean Folk-tales

비교문학 | 50 | 2010 | 인문학

그리피스의 문학관과 한국 민담에 대한 이해

Griffis's Understanding of Literature and Korean Folk-tales

비교문학 | | 50 | 2010 | 인문학

텍스트 분석을 위한 생성문법 - 민담텍스트를 자료로

A generative grammar for text

슬라브어 연구 | 16 | 2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민담텍스트의 내면적 구조 분석; 러시아 민담을 관찰 자료로

A psychological analysis in Russian folklore; an analytical methodology

슬라브어 연구 | 15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민담텍스트의 내면적 구조 분석; 러시아 민담을 관찰 자료로

A psychological analysis in Russian folklore; an analytical methodology

슬라브어 연구 | 15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민담(民譚)의 텍스트를 통한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기호학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rough the Design Development of Folk Tale Text - Focused on Semiotic of the Text -

정보디자인학연구 | 13 | 2 | 2010 | 정보디자인

민담(民譚)의 텍스트를 통한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기호학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rough the Design Development of Folk Tale Text - Focused on Semiotic of the Text -

정보디자인학연구 | 13 | 2 | 2010 | 정보디자인

독일민담에 나타난 탄생과 재탄생의 의미 고찰

Betrachtungen über den Sinn der Geburt und Wiedergeburt in deutschen Märchen

뷔히너와 현대문학 | 34 | 2010 | 독일어와문학

독일민담에 나타난 탄생과 재탄생의 의미 고찰

Betrachtungen über den Sinn der Geburt und Wiedergeburt in deutschen Märchen

뷔히너와 현대문학 | | 34 | 2010 | 독일어와문학

중세 유대 민담에 나타난 여성의 몸: 교육적 기능을 중심으로

The Jewish Female Body in the Middle Ages

기독교교육정보 | 33 | 2012 | 기독교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