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사성

연구분야 : A010000 인문학 > 사전학
A100300 인문학 > 문학 > 문예창작

클래스 : 기법/방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328

STNet ID : 1002763

한자 : 敍事性

d04-01 기법/방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Phenomenon (현상)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서사 () [ 敍事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게임 스토리텔링 () [Game Storytelling]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설화 () [ 說話 ]

RT (관련어)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서술자 [ 敍述者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사랑의 행진 () [ --行進 ]

시각 배제 전시회의 스토리텔링과 그 가능성 - <어둠 속의 대화>를 중심으로 -

Storytelling of Sight Exclusion Exhibition and its Possibility: Focusing on

인문콘텐츠 | 23 | 2011 | 기타인문학

이광수의 장시에 나타난 서사성 연구 - 「옥중호걸」, 「곰」, 「극웅행」을 중심으로 -

A study of narrativity found in Yi Gwangsu's long poems - Focusing on Focusing on 「Okjunghoegeol」,「Gom」,「 Geukunghaeng」-

한국문예비평연구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설화 텍스트의 구성 원리 연구 -경험세계와 허구세계의 결합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struction Principle of Oral tale Text -focusing on the aspects of connection between empirical worlds and fictional worlds

기호학 연구 | 29 | 2011 | 언어학

한국 도시공간의 문화 정체성과 서사성 - 서울, 안동, 광주, 전주를 분석대상으로 한 기호학 기반의 학제적 접근

Eine semiotische Untersuchung der kulturellen Identitäten und Narrativitäten von den koreanischen Städten

기호학 연구 | 30 | 2011 | 언어학

외국인 거주자의 이미지를 통해 본 제주도의 정체성과 서사성 - 김옥선의 작품을 중심으로

Identity and narrativity of Jeju Island portrayed in the image of the foreign residents from the work of Oksun Kim

기호학 연구 | 32 | 2012 | 언어학

브레히트의 서사성과 마리루이제 플라이써의 서사성 -뇌과학적 관점으로 바라본 남성과 여성의 성향 차이

Das Epische bei B. Brecht und das Epische bei M. L. Fleißer -Geschlechtsspezifische Präferenzen aus neurowissenschaftlicher Sicht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7 | 2012 | 독일어와문학

서정인의 원체험과 문학적 표현 양상

A Haunting Memory of Childhood and Literary Expressions by Seo, Jung-In

현대소설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정인의 원체험과 문학적 표현 양상

A Haunting Memory of Childhood and Literary Expressions by Seo, Jung-In

현대소설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와 이중섭 그림에 나타난 대이상향(大理想鄕)의 세계

On the great ideal world presented in poet Baek, Seok and artist Lee, Jung Seop’s works

비평문학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학적 서사성의 회화적 수용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spect of Pictorial Acception of Literary Narrative

배달말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