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僧 碑文 出生譚에 나타난 敍事慣習과 그 佛敎的 性格 - 新羅時代 高僧 碑文을 中心으로 -
Narrative Tradition and Buddhist Characteristics of Birth Folk Tales on Epitaph of Buddhist monks -focused on epitaph of Buddhist monks in the Shinar era–
동아시아고대학 |
28 |
2012 |
기타인문학
충남 서천군 설화의 내용과 그 의미
Folk Tales from Seocheon-gun, Chungcheongnam-do Province: Their Contents and Meaning
동방학 |
23 |
2012 |
기타인문학
21세기 문화관광자원의 민속학적 고찰
The Folkloric Research on Resources of Folk Cultural Tourism in 21st Century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 불교 아동문학의 현황과 과제
The Present State and Task about the Buddhist Children's Literature of Korea
국어교육연구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불교 아동문학의 현황과 과제
The Present State and Task about the Buddhist Children's Literature of Korea
국어교육연구 |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적성의전>에 나타난 청각적인 소재의 역할과 의미− 『賢愚經』 「善事太子入海品」과의 비교를 통해서 −
The meaning of auditory material in 『Jeok Seongeui Jeon』
동방학 |
23 |
2012 |
기타인문학
불교설화에서의 僧과 龍蛇 -「곤자쿠모노가타리슈(今昔物語集)」권13제33화와 「삼국유사」권4義解제5「宝壤梨木」 條와의 비교-
仏教説話における僧と竜蛇 -「今昔物語集」巻13第33話と「三国遺事」巻4義解第5「宝壤梨木」條との比較-
일본연구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불교설화에서의 僧과 龍蛇 -「곤자쿠모노가타리슈(今昔物語集)」권13제33화와 「삼국유사」권4義解제5「宝壤梨木」 條와의 비교-
仏教説話における僧と竜蛇 -「今昔物語集」巻13第33話と「三国遺事」巻4義解第5「宝壤梨木」條との比較-
일본연구 |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