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담

연구분야 : A100600 인문학 > 문학 > 문학장르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111

STNet ID : 1002733

한자 : 野談
기타 : Yadam
영어 : historical romance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설화 () [ 說話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구비 문학 [ 口碑文學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서사적 논설 () [ 敍事的論說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야담집 () [ 野談集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천예록 [ 天倪錄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야담계 소설 () [ 野譚系小說 ]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야사 [ 野史 ]

RT_Y (◄관련어)

수록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월간야담 () [ 月刊野談 ]

조선시대 서사 속의 말과 그 문화적 의미

The talking in the narratives of Chosun dynasty and its cultural meaning

어문학 | 113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조 서사물에 나타난 기생 섹슈얼리티의 함정

The Predicament of the Kisaeng Sexuality Embedded in the Narratives of the Joseon Era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一夕話>의 인물 형상과 서사 구도의 양상

The form of characters in 〈Il-seok-wha(一夕話)〉and epic structure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

『松南雜識』의 민속문화 자료 검토

A Study on the Folk-cultural Materials in the “Songnamjabji”

역사민속학 | 35 | 2011 | 역사학

『어우야담』의 서사방식과 초기 야담집으로서의 특성

Between Pilgi and Yadam: Narratives in Eou yadam

한국학 | 33 | 3 | 2010 | 기타인문학

『어우야담』의 서사방식과 초기 야담집으로서의 특성

Between Pilgi and Yadam: Narratives in Eou yadam

한국학 | 33 | 3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필기 야담집 속 琉球 체험과 형상화

The Experiences and Embodiment of Ryukyu in Chosun Pilgii and Yadam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2 | 2011 | 한문비평

映像の中の遊女と妓女 -浮世草子と野談との関連性を中心に -

A study of Youzyo and Ginyo in Images

일본근대학연구 | 28 | 2010 | 일본문화학

映像の中の遊女と妓女 -浮世草子と野談との関連性を中心に -

A study of Youzyo and Ginyo in Images

일본근대학연구 | | 28 | 2010 | 일본문화학

‘불륜담’의 시대적 변전 양상 고찰 - 조선 후기 문학과 현대문학의 비교

On Study about Periodical Changing Aspect of ‘A Story of Infidelity’

비교문학 | 52 | 2010 | 인문학

‘불륜담’의 시대적 변전 양상 고찰 - 조선 후기 문학과 현대문학의 비교

On Study about Periodical Changing Aspect of ‘A Story of Infidelity’

비교문학 | | 52 | 2010 | 인문학

야담잡지를 통한 역사소설가로서의 김동인 재조명: 일제강점기 단군 소설화 양상과 관련하여

The reillustration of the Kim Dong-in as a historical novelist through an unofficial historical story: On the feature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period's Dangun novelization

비교문학 | 57 | 2012 | 인문학

전근대 한일 양국에 여성담에 관한 소고― 조선후기 야담과 우키요조시(浮世草子) 속 이색적(異色的) 여성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f woman's tale in pre-modern Korea and Japan-Focusing on unique women appeared in Yadam and Ukiyozousi-

일본연구 | 28 | 2010 | 일본어와문학

전근대 한일 양국에 여성담에 관한 소고― 조선후기 야담과 우키요조시(浮世草子) 속 이색적(異色的) 여성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f woman's tale in pre-modern Korea and Japan-Focusing on unique women appeared in Yadam and Ukiyozousi-

일본연구 | | 28 | 2010 | 일본어와문학

입신출세의 상경길, 욕망의 길-野譚을 통해 본-

Travelling to Seoul for a Successful Career The Road of Desire Seen -Through Ya-Dam-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입신출세의 상경길, 욕망의 길-野譚을 통해 본-

Travelling to Seoul for a Successful Career The Road of Desire Seen -Through Ya-Dam-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역관 아전 계층의 사회와 문화 -필기․야담 자료를 중심으로-

The community and culture of the class of official interpreters and aid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ed on Pilgi and Yadam materials-

동방한문학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정평구전>의 유형적 특성과 의미

The typ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s of

국어문학 | 50 | 50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역관 아전 계층의 사회와 문화 -필기․야담 자료를 중심으로-

The community and culture of the class of official interpreters and aid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ed on Pilgi and Yadam materials-

동방한문학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야담 연구의 대중화 방안

A Study on the Popularization of the Research on Yadam

어문학 | 115 | 2012 | 한국어와문학

야담집에서의 이경류 이야기의 전개와 그 의미

The Unfolding and its Meaning of Lee Kyungryu Stories in Yadam Anthologies

한국문학논총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야담 문학에 나타난 조선 배우의 삶

Various Life Conditions of Actors of Joseon Periods in Unofficial Historical Stories.

공연문화연구 | 23 | 2011 | 기타예술일반

한국한문학연구의 문화적 지평과 그 연구 방향의 모색-김동인의 야담작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그 문학성-

A Review on the Kim, Dongin[金東仁]'s historical romance[野談]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