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 문학

연구분야 : A101300 인문학 > 문학 > 구비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95

STNet ID : 1000148

한자 : 口碑文學
영어 : oral literature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구연성 [ 口演性 ]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구술성 () [ 口述性 ]

S:동의

UF (비우선어)

 

 

유동 문학 [ 流動文學 ]

UF (비우선어)

 

 

구전 문학 [ 口傳文學 ]

UF (비우선어)

 

 

민간 문학 [ 民間文學 ]

UF (비우선어)

 

 

표박 문학 [ 漂泊文學 ]

UF (비우선어)

 

 

적층 문학 [ 積層文學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고전 문학 () [ 古典文學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독일 구비 문학 [ 獨逸口碑文學 ]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한국 구비 문학 () [ 韓國口碑文學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야담 () [ 野談 ]

hasKind (종류)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편편기담 [ 片片奇談 ]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농요 [ 農謠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미국 인디언 동화 [ 美國--童話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각편 [ 各篇 ]

R1:개념적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구술 문화 () [ 口述文化 ]

RT (관련어)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구비 [ 口碑 ]

RT (관련어)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이야기판 () [a Stage of Telling]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기록 문학 [ 記錄文學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동동 [ 動動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용재총화 [ 慵齋叢話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흥보가 [ 興甫歌 ]

呼吸律 再論과 基底律 生成에 對한 考察 -時調와 俗談을 中心으로-

Study On the Formation of Fundamental Meter In Korean Poetry Including rearguing on Breath Rhythm -Focusing on Sizo(時調) and Proverb-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서술산 여신 신화」와 「선도산 여신 신화」의 서사 윤곽과 구비문학적 면모

The Narrative Versions of Holy Mother Goddess Myths in Ancient Kingdom Shilla: The Myths of Seosul and Seondo

구비문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Хөгнө хан уул, “Өвгөн хийд”-тэй холбоотой зарим газар усны домог

Some mongolian legends of the land related to the Hogno Han Mountain and Uvgun temple

몽골학 | 33 | 2012 | 기타동양어문학

『국어국문학』에 반영된 고전문학 연구의 흐름

Tendency of Research on Classical Literature Ref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국어국문학 | 160 | 2012 | 한국어와문학

<春香傳>과 <西廂記>의 관계성 연구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nd

인문학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春香傳>과 <西廂記>의 관계성 연구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nd

인문학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사명당 설화에 담긴 역사인식 연구-역사인물 설화의 서사적 문법을 통한 고찰-

A Study o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he Tales about Samyeongdang-Consideration through the Narrative Customs of Historic Figures Tales-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명당 설화에 담긴 역사인식 연구-역사인물 설화의 서사적 문법을 통한 고찰-

A Study o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he Tales about Samyeongdang-Consideration through the Narrative Customs of Historic Figures Tales-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국문학』에 반영된 고전문학 연구의 흐름

Tendency of Research on Classical Literature Ref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국어국문학 | 160 | 2012 | 한국어와문학

Cultural Demarcation of Hausa Song and Poetry Tradition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13 | 3 | 2010 | 지역학

Cultural Demarcation of Hausa Song and Poetry Tradition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13 | 3 | 2010 | 지역학

구비문학을 활용한 게임의 인문학적 상상력에 관한 고찰

A Study on humanistic Imagination of Games using Oral Literature

디지털융복합연구 | 10 | 2 | 2012 | 기타과학기술학

구비문학을 활용한 게임의 인문학적 상상력에 관한 고찰

A Study on humanistic Imagination of Games using Oral Literature

디지털융복합연구 | 10 | 2 | 2012 | 기타과학기술학

북한의 구전설화에 대한 인식 고찰

The study on the North Korean Folktale

국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의 구전설화에 대한 인식 고찰

The study on the North Korean Folktale

국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생활속요(Частушка)의 기원과 구조적 특성

Origi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hastushka

노어노문학 | 22 | 3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생활속요(Частушка)의 기원과 구조적 특성

Origi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hastushka

노어노문학 | 22 | 3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소월 시에 나타난 민간신앙과 주술성

Korean Folk Belief and Incantatory Tendency in Kim, So Wol's Poem

문학과 종교 | 16 | 2 | 2011 | 기타인문학

디고 구연문학의 장르 구분: 사회적 자질에 따른 분류를 중심으로

A Genre Classification of Digo Oral Literature: Based on the Social Features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 30 | 1 | 2011 | 기타아프리카

생활속요(Частушка)의 기원과 구조적 특성

Origi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hastushka

노어노문학 | 22 | 3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생활속요(Частушка)의 기원과 구조적 특성

Origi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hastushka

노어노문학 | 22 | 3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문일환 『조선고전문학사』의 기술 양상

A Study on the Aspects of Writing in Mun Il-Whan's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우리문학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야기의 서승(書承)에 대한 근대적 관심과 기록정신

Modern Interest in the Written Transmission of Stories and the Spirit of Recording

동아시아고대학 | 21 | 2010 | 기타인문학

이야기의 서승(書承)에 대한 근대적 관심과 기록정신

Modern Interest in the Written Transmission of Stories and the Spirit of Recording

동아시아고대학 | | 21 | 2010 | 기타인문학

『삼국유사』의 편찬의도 및 전략

The expressed his written purpose and intention of

온지논총 | 25 | 2010 | 기타인문학

『삼국유사』의 편찬의도 및 전략

The expressed his written purpose and intention of

온지논총 | | 25 | 2010 | 기타인문학

나주지역의 구비문학 전승현장과 전승양상

Transmission site and aspect of oral literature in Naju region

남도민속연구 | 21 | 2010 | 역사학

나주지역의 구비문학 전승현장과 전승양상

Transmission site and aspect of oral literature in Naju region

남도민속연구 | | 21 | 2010 | 역사학

루이스 쎄뿔베다의 『연애 소설을 읽는 노인』에 나타난 셀바의 탈신비화 현상

La desmitificación de la selva en Un viejo que leía novelas de amor de Luis Sepúlveda

국제지역연구 | 15 | 4 | 2012 | 지역학

나주지역의 구비문학 전승현장과 전승양상

Transmission site and aspect of oral literature in Naju region

남도민속연구 | 21 | 2010 | 역사학

나주지역의 구비문학 전승현장과 전승양상

Transmission site and aspect of oral literature in Naju region

남도민속연구 | | 21 | 2010 | 역사학

Монгол аман зохиолын төрөл зүйлийн онцлог, шинэ олдвор

The genres and the findings of new texts of Mongolian oral literature

몽골학 | 29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Монгол аман зохиолын төрөл зүйлийн онцлог, шинэ олдвор

The genres and the findings of new texts of Mongolian oral literature

몽골학 | | 29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북한 민요관의 변모양상과 특성

Transition and property of Recognition on Folk Song in North Korea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북한 설화관의 변모양상과 특성

Transition of Recognition on Tales in North Korea

영주어문 | 23 | 2012 | 기타국문학

북한 민요관의 변모양상과 특성

Transition and property of Recognition on Folk Song in North Korea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북한 설화관의 변모양상과 특성

Transition of Recognition on Tales in North Korea

영주어문 | 23 | 2012 | 기타국문학

스와힐리 민담 연행에서 구연상투어의 역할

The Role of Oral-Formulas in Swahili Oral Narrative Performances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 27 | 1 | 2010 | 기타아프리카

스와힐리 민담 연행에서 구연상투어의 역할

The Role of Oral-Formulas in Swahili Oral Narrative Performances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 27 | 1 | 2010 | 기타아프리카

구비문학 관련 강좌의 현황과 교양 과목으로서의 구비문학

A Current State of the Class on the Oral Literature and the Oral Literature as a liberal Arts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구비문학 관련 강좌의 현황과 교양 과목으로서의 구비문학

A Current State of the Class on the Oral Literature and the Oral Literature as a liberal Arts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제주 구비문학에 나타난 제주방언의 문법 연구

A Grammatical Study of Jeju Dialect in the Folklore Literature of Jeju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한국 구비문학의 성격과 민족문화의 정체성 ― ‘호랑이설화’를 예로 들어

Characteristics of Korean Oral Literature and the Identity of National Culture ― Focusing on Korean Tiger Tales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구비문학의 성격과 민족문화의 정체성 ― ‘호랑이설화’를 예로 들어

Characteristics of Korean Oral Literature and the Identity of National Culture ― Focusing on Korean Tiger Tales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서사무가 <원텬강본푸리>와 애니메이션 <오늘이>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Shaman Narrative Song and the Animation

온지논총 | 27 | 2011 | 기타인문학

구비문학 관련 강좌의 현황과 교양 과목으로서의 구비문학

A Current State of the Class on the Oral Literature and the Oral Literature as a liberal Arts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구비문학 관련 강좌의 현황과 교양 과목으로서의 구비문학

A Current State of the Class on the Oral Literature and the Oral Literature as a liberal Arts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제주 구비문학에 나타난 제주방언의 문법 연구

A Grammatical Study of Jeju Dialect in the Folklore Literature of Jeju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서사무가 <원텬강본푸리>와 애니메이션 <오늘이>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Shaman Narrative Song and the Animation

온지논총 | 27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