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 문화

연구분야 : A091200 인문학 > 언어학 > 발달사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1180

STNet ID : 9005367

한자 : 口述文化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구술성 () [ 口述性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구비 문학 [ 口碑文學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문자 문화 () [ 文字文化 ]

홍사용과 구술문화 전통의 의미

Hong Sa-Yong and the meaning of Oral culture tradition

동악어문학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야기판 ․ 이야기꾼 ․ 근대소설가 -이기영을 통해서 본 구술문화에서 문자문화로의 이행 一考, 1924-1933

Storytelling Site, Storyteller, Novelist -A transition from the oral culture to the literal culture in the Lee, Ki-young's Novels, 1924-1933

어문론총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야기판 ․ 이야기꾼 ․ 근대소설가 -이기영을 통해서 본 구술문화에서 문자문화로의 이행 一考, 1924-1933

Storytelling Site, Storyteller, Novelist -A transition from the oral culture to the literal culture in the Lee, Ki-young's Novels, 1924-1933

어문론총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14세기 예화에서 나타나는 언어일탈에 대한 경계: 구술문화와 문자문화의 교차점

A Case of Verbal Deviances in the 14th Century Medieval Exempla: On a Intersection between Oral and Written Culture

동국사학 | 50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