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전> 소설어의 재편과정과 번역 -게일(James Scarth Gale) <춘향전> 영역본(1917) 출현과 그 의미-
The Reorganization of 's novel language and its Translation
고소설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춘향전> 소설어의 재편과정과 번역 -게일(James Scarth Gale) <춘향전> 영역본(1917) 출현과 그 의미-
The Reorganization of 's novel language and its Translation
고소설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매체 문화사의 구상
Prolegomena to the Cultural History of Intermediality in Korea
기호학 연구 |
27 |
2010 |
언어학
한국 매체 문화사의 구상
Prolegomena to the Cultural History of Intermediality in Korea
기호학 연구 |
27 |
|
2010 |
언어학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의 비언어 텍스트에 대한 개념적 고찰 : Ong의 구술성과 문자성을 넘어서
New Perspectives of Non-verbal Text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Beyond Ong's Orality and Literacy
아시아교육연구 |
11 |
4 |
2010 |
교육학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의 비언어 텍스트에 대한 개념적 고찰 : Ong의 구술성과 문자성을 넘어서
New Perspectives of Non-verbal Text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Beyond Ong's Orality and Literacy
아시아교육연구 |
11 |
4 |
2010 |
교육학
SNS 뉴스 소통 - 다중성과 구술성
SNS News Communication - Multiplicity and Orality
언론정보연구 |
49 |
2 |
2012 |
신문방송학
질적 연구방법으로 생애사연구의 성격과 의의
Life Story Research’s Character and Meaning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교육문화연구 |
18 |
3 |
2012 |
기타교육학
지역어 자원의 문화 콘텐츠화를 위한 방안
A suggestion for developing regional dialect as cultural contents
어문론총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지역어 자원의 문화 콘텐츠화를 위한 방안
A suggestion for developing regional dialect as cultural contents
어문론총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구비설화의 현대시 수용 양상 연구- 서정주 시의 여성인물 설화 수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eptive phases of folk tales in modern Korean poems- centering around Seo, Jung-Ju's poems based on folk tales about women -
배달말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구비설화의 현대시 수용 양상 연구- 서정주 시의 여성인물 설화 수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eptive phases of folk tales in modern Korean poems- centering around Seo, Jung-Ju's poems based on folk tales about women -
배달말 |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소고려인의 구전가요(노랫말)의 존재양상
The Aspects of Korean Forlksong in CIS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소고려인의 구전가요(노랫말)의 존재양상
The Aspects of Korean Forlksong in CIS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조의 구술성으로 인한 정서 표출 방식과 시조 교육의 방향
The Manners of Emotion Expression in Sijo of Orality and Direction of Sijo Education
고전문학과 교육 |
24 |
2012 |
인문학
보토 슈트라우스의 작품에 나타난 구술성과 노래의 기능
Die Funktion der Mündlichkeit und des Gesangs im Werk von Botho Strauß
카프카 연구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1970년대 한국화에 대한 기억: 이숙자 구술을 중심으로
The Memory on the 1970s 'Hankookhwa'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2 |
2011 |
미술
제주문학의 글로컬리티, 그 미적 정치성 ― 제주어의 구술성과 문자성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Jeju Literature's Glocality, Its Aesthetic Politics : focus on interactions between the orality of jeju and the literacy of text
영주어문 |
24 |
2012 |
기타국문학
튀빙겐 학파의 플라톤 초기 대화편 이해에 대한 비판적 검토
Eine kritische Überprüfung vom Verständnis der Tübinger Schule für Frühdialoge Platons
철학논총 |
65 |
3 |
2011 |
철학
사고와 연행의 시각에서 바라본 구술성의 교육적 구도
The Educational Composition of Orality Study from the Viewpoint of Thinking and Performance
고전문학과 교육 |
21 |
2011 |
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