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

연구분야 : A110205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구비문학(국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1335

STNet ID : 1005178

한자 : 笑話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소담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y02-01 문헌명 문헌명

고금소총 () [ 古今笑叢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설화 () [ 說話 ]

R1:개념적

RT (관련어)

 

 

재담집

설화에 나타난 ‘새식구 들이기’에 대한 두 가지 시선 ―<며느리 고르기>와 <사위 고르기>설화의 비교―

Two Views on 'Letting in a New Family Member' in Folktales - A comparison between 'Picking up Daughter-in-law' and 'Picking up Son-in-law' folktales -

구비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설화에 나타난 ‘새식구 들이기’에 대한 두 가지 시선 ―<며느리 고르기>와 <사위 고르기>설화의 비교―

Two Views on 'Letting in a New Family Member' in Folktales - A comparison between 'Picking up Daughter-in-law' and 'Picking up Son-in-law' folktales -

구비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설화에 나타난 ‘새식구 들이기’에 대한 두 가지 시선 ―<며느리 고르기>와 <사위 고르기>설화의 비교―

Two Views on 'Letting in a New Family Member' in Folktales - A comparison between 'Picking up Daughter-in-law' and 'Picking up Son-in-law' folktales -

구비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설화에 나타난 ‘새식구 들이기’에 대한 두 가지 시선 ―<며느리 고르기>와 <사위 고르기>설화의 비교―

Two Views on 'Letting in a New Family Member' in Folktales - A comparison between 'Picking up Daughter-in-law' and 'Picking up Son-in-law' folktales -

구비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통으로서의 웃음, 패설

Communication as a laugh, Paeseol

어문논집 | 65 | 2012 | 한국어와문학

『慵齋叢話』所載 ‘笑話’의 硏究

On the Funny Story Collected in Yongjae chonghwa

漢文學報 | 25 | 2011 | 한문학

『慵齋叢話』所載 ‘笑話’의 硏究

On the Funny Story Collected in Yongjae chonghwa

漢文學報 | 25 | 2011 | 한문학

문헌설화에서 ‘투기하는 부인[妬婦]’의 형상화와 의미

Studies on Jealous Wive's Characterizations in the Literature Tales of the Joseon Dynasty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4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헌설화에서 ‘투기하는 부인[妬婦]’의 형상화와 의미

Studies on Jealous Wive's Characterizations in the Literature Tales of the Joseon Dynasty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4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전환기 패설의 변환과 지향

The Change and the Pursuit of Paeseol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into modern times

구비문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朝鮮文献に見える日本中世説話集との共通笑話 ー「櫃の中の間男」と「瘤取り翁」を中心にー

A study on the similarities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Japanese medieval anecdotal literature ; On the 'an adulterer in chest' type and 'an old man with a wen' types tales

일본연구 | 45 | 2010 | 일본어와문학

朝鮮文献に見える日本中世説話集との共通笑話 ー「櫃の中の間男」と「瘤取り翁」を中心にー

A study on the similarities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Japanese medieval anecdotal literature ; On the 'an adulterer in chest' type and 'an old man with a wen' types tales

일본연구 | | 45 | 2010 | 일본어와문학

江戸噺本の滑稽の方法 -韓中日笑話の「泣く」人物の涙の役割比較を通して-

일본연구 | 48 | 2011 | 일본어와문학

근대 재담집 『소천소지(笑天笑地)』 연구 ― 등장인물의 관계 양상과 그 특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ocheonsoji(笑天笑地)』 a modern collections of Witticisms - Based on the aspect of relationship shared between the characters -

구비문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바보설화 웃음의 層位

The Level of Laughter in Idiot folktales

한민족문화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동아시아에서의 이솝풍 이야기의 전파와 변용

東アジアにおけるイソップ風物語の伝播と変容

日本學硏究 | 37 | 2012 | 일본어와문학

東アジア笑話に見る放屁譚 - 笑いとネタの共有をめぐって -

동아시아 소화에서 보는 방귀이야기 - 웃음과 소재의 공유를 중심으로 - “Fart stories” present in funny tales of East Asia ;On the relationship of story's source and humor

日本學硏究 | 34 | 2011 | 일본어와문학

근대 재담집 『소천소지(笑天笑地)』 연구 ― 등장인물의 관계 양상과 그 특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ocheonsoji(笑天笑地)』 a modern collections of Witticisms - Based on the aspect of relationship shared between the characters -

구비문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笑話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A Plan to Utilize the fable, Sohwa (humorous tale), as Cultural Contents

동아시아고대학 | 23 | 2010 | 기타인문학

笑話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A Plan to Utilize the fable, Sohwa (humorous tale), as Cultural Contents

동아시아고대학 | | 23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