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창 방식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G020000 예술체육 > 음악학

클래스 : 기법/방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089

한자 : 歌唱方式

d04-01 기법/방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독창

hasKind (종류)

 

 

제창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선후창 [ 先後唱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민요 () [ 民謠 ]

한국 서사민요에 나타난 지역문학의 창의와 융합 연구 - 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Study on Creation and Combination of Local Literature in Korean Folk Ballads: Focused on Gangwon District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16세기 경기체가 후절의 분리 독립 양상에 대한 고찰

Study on separation and independence of whugeol(second half)of Kyonggichega in 16th century

고전문학과 교육 | 20 | 2010 | 인문학

16세기 경기체가 후절의 분리 독립 양상에 대한 고찰

Study on separation and independence of whugeol(second half)of Kyonggichega in 16th century

고전문학과 교육 | | 20 | 2010 | 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