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가요

연구분야 : G020000 예술체육 > 음악학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260

한자 : 大衆歌謠
영어 : Popular Song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e01-01 문학장르 /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노래 () [song]

S:동의

UF (비우선어)

문화어

 

군중가요 () [ 群衆歌謠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대중 음악 () [ 大衆音樂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K-POP () [케이팝]

R1:개념적

RT (관련어)

 

 

유행 가요 [ 流行歌謠 ]

RT (관련어)

유사어

 

유행가 () [ 流行歌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예술 가곡 () [ 藝術歌曲 ]

1960~70년대 한국의 대중사회화와 대중문화의 정치적 의미

The Process of Becoming Mass Society and the Political Meaning of Popular Culture in 1960s~1970s' Korea

상허학보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기 시인의 현실과 유행가요 창작의 의미

The reality of poet, meaning of writing popular song in modern Korea

한국문학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콘텐츠의 언어표현과 규범

Expression of language in contents and the norms on contents

한국학연구 | 33 | 2010 | 기타인문학

콘텐츠의 언어표현과 규범

Expression of language in contents and the norms on contents

한국학연구 | | 33 | 2010 | 기타인문학

대중가요의 상징성 획득 과정 비교 연구-한국의 아리랑과 아프리카의 말라이카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ocess of Becoming Symbolic Songs: Arirang of Korea and Malaika of Africa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근대기 한국 시인들의 매체 선택 -조선가요협회를 중심으로-

On the Joseon Popular song Association and Media Selection of the Modern Korean Poets in 1930’s

현대문학의 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기 한국 시인들의 매체 선택 -조선가요협회를 중심으로-

On the Joseon Popular song Association and Media Selection of the Modern Korean Poets in 1930’s

현대문학의 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중가요의 상징성 획득 과정 비교 연구-한국의 아리랑과 아프리카의 말라이카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ocess of Becoming Symbolic Songs: Arirang of Korea and Malaika of Africa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김동률의 노래말에 투영된 공기적 상상력에 관한 고찰

A Study of Imagination of the Air Reflected on Kim Dong Ryul’s lyrics

인문콘텐츠 | 20 | 2011 | 기타인문학

시인의 길과 직인(職人)의 길 사이에서 -『別乾坤』지 ‘新流行小曲大懸賞募集’을 중심으로-

A Cultural practice of the modern Korean poets -On the writing of popular song lyrics-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대중음악과 대중정서의 상관성 -2000년대 트로트 음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Popular Music and Popular Sentiment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Trot genre in popular Music of the 2000s-

인문과학연구 | 31 | 2011 | 기타인문학

김동률의 노래말에 투영된 공기적 상상력에 관한 고찰

A Study of Imagination of the Air Reflected on Kim Dong Ryul’s lyrics

인문콘텐츠 | 20 | 2011 | 기타인문학

근대 대중가요의 형성과 통속민요의 변주 -<난봉가>류의 텍스트 변이를 중심으로-

The Recreation of Tongsogminyo during The period of Modern Pop-songs -Recreation of Nanbongga's Lyrics-

한국시가문화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대중가요의 형성과 통속민요의 변주 -<난봉가>류의 텍스트 변이를 중심으로-

The Recreation of Tongsogminyo during The period of Modern Pop-songs -Recreation of Nanbongga's Lyrics-

한국시가문화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독일어 대중가요에 나타난 ‘바다’와 ‘영웅’

Meer und Held: Dt. Schlager aus der Perspektive der Jungschen Psychologie

독일언어문학 | 50 | 2010 | 독일어와문학

독일어 대중가요에 나타난 ‘바다’와 ‘영웅’

Meer und Held: Dt. Schlager aus der Perspektive der Jungschen Psychologie

독일언어문학 | | 50 | 2010 | 독일어와문학

일제강점기 가요시 장르의 문학사적 가치

The Value in a Literary History of the Gayosi Genre in Japanese Forced-ruling Period

인문연구 | 60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 가요시 장르의 문학사적 가치

The Value in a Literary History of the Gayosi Genre in Japanese Forced-ruling Period

인문연구 | | 60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의 현대 ‘실용음악’과 ‘보컬’의 개념상의 문제점 및 고등교육에서 보컬의 학문적 수용 전망

The Problems of Concepts for Contemporary ‘Silyong Music’ and ‘Vocal’ as well as the Prospect of the Acceptance for Vocal in Higher Education in Korea

이화음악논집 | 15 | 1 | 2011 | 기타음악학

이 땅에서 ‘별’로 산다는 것은 ― 대중가수의 탄생에서 귀환까지

Living as a ‘star’ in the earth-From the birth to the return of popular singers

역사비평 | 90 | 2010 | 역사학

이 땅에서 ‘별’로 산다는 것은 ― 대중가수의 탄생에서 귀환까지

Living as a ‘star’ in the earth-From the birth to the return of popular singers

역사비평 | | 90 | 2010 | 역사학

한국 대중가요 선호이유에 따른 한류문화관광상품이 한국 국가이미지와 한국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연구: 홍콩, 대만, 태국 잠재한류관광객 대상으로

A Study of The Effects of The Preferred Reasons for Hallyu Pop Music on The Preferred Hallyu Cultural Tourism Products, National Image of Korea, and Intention to Visit Korea

관광레저연구 | 22 | 5 | 2010 | 관광학

한국 대중가요 선호이유에 따른 한류문화관광상품이 한국 국가이미지와 한국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연구: 홍콩, 대만, 태국 잠재한류관광객 대상으로

A Study of The Effects of The Preferred Reasons for Hallyu Pop Music on The Preferred Hallyu Cultural Tourism Products, National Image of Korea, and Intention to Visit Korea

관광레저연구 | 22 | 5 | 2010 | 관광학

독일어 대중가요의 분석심리학적 이해 - 사랑과 자기실현

Liebe und Selbstverwirklichung: Dt. Schlager aus der Perspektive der Jungschen Psychologie

독일언어문학 | 49 | 2010 | 독일어와문학

독일어 대중가요의 분석심리학적 이해 - 사랑과 자기실현

Liebe und Selbstverwirklichung: Dt. Schlager aus der Perspektive der Jungschen Psychologie

독일언어문학 | | 49 | 2010 | 독일어와문학

20세기 전반기 서양 대중음악의 수용과 양상 고찰 -재즈송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pects of Western Pop Song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 Focused on Korean Jazz Songs-

우리춤과 과학기술 | 6 | 3 | 2010 | 무용

20세기 전반기 서양 대중음악의 수용과 양상 고찰 -재즈송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pects of Western Pop Song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 Focused on Korean Jazz Songs-

우리춤과 과학기술 | 6 | 3 | 2010 | 무용

일제강점기 대중가요에 나타난 가족의 양상 고찰

A Study on the Aspects of the Family in Popular Song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구비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대중가요에 나타난 가족의 양상 고찰

A Study on the Aspects of the Family in Popular Song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구비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가요 개념의 근대화, 식민화, 혼종화

Modernization, colonization and hybridization in the concept of ‘Kayo’

구비문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성집의 대중가요 가사 연구

A Study on Kim, Sung Jib's lyrics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가요 개념의 근대화, 식민화, 혼종화

Modernization, colonization and hybridization in the concept of ‘Kayo’

구비문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대중가요에 나타난 가족의 양상 고찰

A Study on the Aspects of the Family in Popular Song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구비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대중가요에 나타난 가족의 양상 고찰

A Study on the Aspects of the Family in Popular Song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구비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70-80년대 한국 대중가요 가사의 특징 -공중파 방송 인기곡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opular song’s lyrics in the 1970-1980s -focused on hit songs of public TV-

공연문화연구 | 24 | 2012 | 기타예술일반

대중가요의 외래어 사용양상과 국어교육적 개선방안

A study on the Aspect of loanword and improvement of korean education in popular song

인문학연구 | 38 | 4 | 2011 | 기타인문학

1970-80년대 한국 대중가요 가사의 특징 -공중파 방송 인기곡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opular song’s lyrics in the 1970-1980s -focused on hit songs of public TV-

공연문화연구 | 24 | 2012 | 기타예술일반

대중가요에 쓰인 영어 가사의 기능 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s of English Words Used in Popular Songs

텍스트언어학 | 29 | 2010 | 언어학

대중가요에 쓰인 영어 가사의 기능 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s of English Words Used in Popular Songs

텍스트언어학 | 29 | | 2010 | 언어학

대중가요의 외래어 사용양상과 국어교육적 개선방안

A study on the Aspect of loanword and improvement of korean education in popular song

인문학연구 | 38 | 4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 대중가요 연구사 검토

General Approach about Studies on Korean modern Popular Songs

공연문화연구 | 24 | 2012 | 기타예술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