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음악

연구분야 : G021200 예술체육 > 음악학 > 대중/실용/영화음악

클래스 : 음악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268

한자 : 大衆音樂
영어 : popular music

e01-02 음악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음악 () [ 音樂 ]

isKindOf (상위 유형)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대중 예술 [ 大衆藝術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트로트 [trot]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록 음악 () [ --音樂 ]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샹송 [chanson]

hasKind (종류)

 

 

팝송 () [pop song]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 --音樂 ]

hasKind (종류)

국가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한국 대중 음악 [ 韓國大衆音樂 ]

hasKind (종류)

국가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미국 대중 음악 () [ 美國大衆音樂 ]

hasKind (종류)

 

 

대중 가요 () [ 大衆歌謠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인디 문화 () [ --文化 ]

RT (관련어)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실용 음악 () [ 實用音樂 ]

RT (관련어)

유사어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경음악 [ 輕音樂 ]

RT_X (관련어►)

관련 개념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대중 [ 大衆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대중 매체 () [ 大衆媒體 ]

hasOpposition (대항/억제)

 

 

클래식 음악 () [ --音樂 ]

북경의 코리아타운과 한국음악 현황

Korea Town and Korean Music in Beijing

재외한인연구 | 23 | 2011 | 기타인문학

일제하 라디오 방송의 음악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1930년대를 중심으로

A Study of Music Program on Radio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Focusing on the 1930s

언론정보연구 | 47 | 2 | 2010 | 신문방송학

일제하 라디오 방송의 음악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1930년대를 중심으로

A Study of Music Program on Radio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Focusing on the 1930s

언론정보연구 | 47 | 2 | 2010 | 신문방송학

화청(和請)의 가사유형과 선율의 특성연구

Examined about type of lyric and characteristic of melody in each region in Paragraph Hwacheong(Buddhist song)

남북문화예술연구 | 7 | 2010 | 기타예술일반

화청(和請)의 가사유형과 선율의 특성연구

Examined about type of lyric and characteristic of melody in each region in Paragraph Hwacheong(Buddhist song)

남북문화예술연구 | | 7 | 2010 | 기타예술일반

한국 대중음악의 아이돌 편중에 관한 연구:대중음악 생산자들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A Study of Teen Idol Domination in Korean Popular Music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 6 | 1 | 2011 | 기타신문방송학

한국의 CCM운동과 청년하위문화

CCM movement and Evangelical Youth Subculture in Korea (1980‑2010)

대학과 선교 | 22 | 2012 | 기타기독교신학

20세기 초 미디어 문화에서 나타난 전통음악 상품과 음악 취향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raditional Music as Commodity and Musical Taste of Early Twentieth Century Media Culture

인문과학 | 49 | 2012 | 기타인문학

대중음악의 설교 활용에 관한 시안

An Experimental Proposal for Popular-Music Preaching

신학과 실천 | 30 | 2012 | 기독교신학

Hombres Bravos, Mujeres Bravas: Gender and Violence in the Mexican Corrido

코리도 노래에 표현된 젠더와 폭력에 관한 연구

라틴아메리카연구 | 23 | 4 | 2010 | 지역학

Hombres Bravos, Mujeres Bravas: Gender and Violence in the Mexican Corrido

코리도 노래에 표현된 젠더와 폭력에 관한 연구

라틴아메리카연구 | 23 | 4 | 2010 | 지역학

대학 실용음악교육의 시작과 학과 개설형태

The History and Establishment Shapes of Applied Music Education in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음악교육연구 | 38 | 2010 | 음악학

대학 실용음악교육의 시작과 학과 개설형태

The History and Establishment Shapes of Applied Music Education in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음악교육연구 | 38 | | 2010 | 음악학

방송사의 담론 생산과 그 의미 작용: MBC 서바이벌 <나는 가수다> 시즌 1을 중심으로

Discourse production of broadcasting company and its signification: Focused on MBC’s survival program, “I Am a Singer” Season 1

언론과 사회 | 20 | 2 | 2012 | 신문방송학

‘팝’과 아트 사이: 로리 앤더슨의 퍼포먼스를 통해 본 음악과 미술의 경계

Between ‘Pop’ and Art: Laurie Anderson’s Performance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 32 | 2010 | 미술사

‘팝’과 아트 사이: 로리 앤더슨의 퍼포먼스를 통해 본 음악과 미술의 경계

Between ‘Pop’ and Art: Laurie Anderson’s Performance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 | 32 | 2010 | 미술사

젊은이들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교리교육의 비전

An Understanding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and a Vision for the Religious Education of Youth

신학전망 | 173 | 2011 | 기타가톨릭신학

한국의 현대 ‘실용음악’과 ‘보컬’의 개념상의 문제점 및 고등교육에서 보컬의 학문적 수용 전망

The Problems of Concepts for Contemporary ‘Silyong Music’ and ‘Vocal’ as well as the Prospect of the Acceptance for Vocal in Higher Education in Korea

이화음악논집 | 15 | 1 | 2011 | 기타음악학

아프리카 음악의 원천과 혼종성

The Sources of African Musics and Its Hybridities

음악과 문화 | 25 | 2011 | 음악학

블루스와 ‘슬픈 음악’의 정치학

Blues and the Politics of Sad Music

音.樂.學 | 20 | 1 | 2012 | 기타음악학

20세기 전반기 서양 대중음악의 수용과 양상 고찰 -재즈송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pects of Western Pop Song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 Focused on Korean Jazz Songs-

우리춤과 과학기술 | 6 | 3 | 2010 | 무용

20세기 전반기 서양 대중음악의 수용과 양상 고찰 -재즈송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pects of Western Pop Song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 Focused on Korean Jazz Songs-

우리춤과 과학기술 | 6 | 3 | 2010 | 무용

신 한류 수용의 문화적 맥락과 여성적 정체성에 대한 문화 연구

New Korean Wave or Post-colonial Hybridity of Girl Group Singers

한국방송학보 | 26 | 2 | 2012 | 신문방송학

1960-80년대 해적판 레코드 대중화 과정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bootleg records popularization in Korea during 1960-80’s

공연문화연구 | 24 | 2012 | 기타예술일반

대중음악과 대중정서의 상관성 -2000년대 트로트 음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Popular Music and Popular Sentiment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Trot genre in popular Music of the 2000s-

인문과학연구 | 31 | 2011 | 기타인문학

대중음악과 호남 사투리의 감성 정치

Popular Music and the Emotional Politics of Jeolla province dialect

호남학 | 49 | 2011 | 기타인문학

대중음악의 훅(hook)에 관한 정의와 재해석

Definition and Interpretation of Hook in Popular Music

音.樂.學 | 19 | 2 | 2011 | 기타음악학

儒敎的 관점에서 본 音樂의 道德敎育的 含意

The Implications of music for Moral Education at the point of view Confucian

동양철학연구 | 65 | 2011 | 철학

서구 대중음악론에서 진정성 개념의 의미에 대한 소고

A Study about the Concept of Authenticity in Western Popular Music Studies

美學(미학) | 65 | 2011 | 철학

국내 대중음악 기획사 색채이미지 연구 - SM, JYP, YG엔터테이먼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lor image of popular music agency domestic -Focusing on the SM, JYP, YG Entertainment-

한국색채학회논문집 | 26 | 2 | 2012 | 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