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 문화

연구분야 : B190110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신문방송학일반 > 문화이론/대중문화론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1413

한자 : --文化
영어 : indie culture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문화 산업 () [ 文化産業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대중 음악 () [ 大衆音樂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4-09 저작(창작)물/정보 저작(창작)물/정보

영화 () [ 映畵 ]

RT (관련어)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인터넷 방송 [ --放送 ]

영국 독립제작 활성화 정책에 대한 비판적 평가: 기업가정신을 통한 인디(indies)의 재구성과 국가 의존적 독립 부문의 형성

Entrepreneurial indies and their paradoxical dependency: A critical appraisal of the independent production policy in the UK

언론과 사회 | 19 | 2 | 2011 | 신문방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