林和의 조선영화론 ―영화사의 좌표와 ‘예술성과 기업성’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Im Hwa[林和]'s Cinematic Discourse : on the Topology of Film History and the Dialectics of 'Artistic Value and Industrialization'
대동문화연구 |
75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영화의 세계성과 지역성, 또는 민족영화의 좌표 - 1950년대 영화 비평담론을 중심으로
Globality and Locality of Korean Cinema, and Cartography of National Cinema
동악어문학 |
59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선도의 수행론을 통해 본 ‘아’ 음성수련법
‘Ah’ Sound Vocalization Practice Viewing through the Principle of Korean Sun-do(仙道)
仙道文化 |
11 |
2011 |
기타철학일반
근현대 농민소설에 나타난 농민의 표상과 민족 -조정래의 『아리랑』과 이기영의 『두만강』에 나타난 사회연결망을 중심으로-
A Research of The Image of Peasants and the nation in Modern Korean Peasants fictions -with a focus on the web of social connections at Tuman River and Arirang-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명랑소설의 장르인식, ‘오락’과 ‘(미국)문명’의 접점 1950년대 중/후반 <아리랑>의 명랑소설을 중심으로
The Category Recognition for the Humor(Myungrang) Novel, A Point of Contact ‘Entertainment’ and ‘(American) Civilization’
동악어문학 |
59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념 사상가로서 김성숙이 지니는 현대적 의의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Kim-Sung-Suk(金星淑) As A Great Thinker
대각사상 |
16 |
2011 |
불교학
식민지조선 흥행시장의 병리학과 검열체제
The Entertainment Market Pathology and the Censorship System in the Japanese Imperialism
상허학보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50년대 『아리랑』 잡지의 ‘명랑’과 ‘탐정’ 코드
The Code of ‘the Detective’ and ‘the Merriness’ of the Popular Magazine Arirang in the 1950’s
현대소설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루마니아 발라드 「어린 양」과 민요 아리랑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Ballad Little Lamb (Mioriţa) and the Folk Song Arirang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1950년대 잡지 『아리랑』과 명랑소설의 ‘명랑성’ :가족서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gazine 'Arirang' and the Brightness in the Humor Novels during the 1950"s
인문학연구 |
43 |
2012 |
기타인문학
‘아라리’ 구음의 보편성과 한국적 독자성
The Universality and Korean Identity of the Sound Arari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대중가요의 상징성 획득 과정 비교 연구-한국의 아리랑과 아프리카의 말라이카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ocess of Becoming Symbolic Songs: Arirang of Korea and Malaika of Africa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재중 한인 디아스포라 시의 아리랑 수용과 담론 양상
Aspects of the Poems of Korean Diaspora in China: Adapting Arirang and Related Discourse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아리랑>의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 등재로 비롯된 한중간 문화갈등 배경 연구 - 중국 조선족 문화의 이중정체성을 중심으로 -
The study about the background of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that were originated from Listing in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of UNESCO - Dual cultural identity of ethnic Korean in China centered -
한민족문화연구 |
40 |
2012 |
한국어와문학
<아리랑> 由來 談論의 존재와 당위
Sein and Sollen of Discourse about Arirang Song's Origin
온지논총 |
26 |
2010 |
기타인문학
<아리랑> 由來 談論의 존재와 당위
Sein and Sollen of Discourse about Arirang Song's Origin
온지논총 |
|
26 |
2010 |
기타인문학
아리랑의 문화형질, 그리고 아리랑의 공적 관리와 사업의 문제
A Study on the Problem of Administrative Protection of Arirang in Relation to its Cultural Traits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의 아리랑 논의에 대한 분석적 고찰
A Study on Homer B. Hulbert’s Writing on Arirang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아리랑>의 탈식민성 연구
Post-colonial study of Arirang
한중인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아리랑≫의 오리엔탈리즘과 디아스포라
Orientalism and Diaspora of Arirang
현대소설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아리랑 유산의 세계화와 스토리텔링
A Study on Arirang’s Heritage of Globalization and Storytelling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아리랑과 현대시
The Acceptance of Arirang Shown in Modern Korean Poetry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한인 디아스포라 아리랑의 원형과 파생관계 연구
A Musical Analysis on Korean Diaspora Arirang Songs
한국음악연구 |
51 |
2012 |
음악학
80년대, 산업 현장과 아리랑-영화 <구로아리랑>의 사회적, 수사적 의미
An Epoch of 1980’s and the Industrial Field’s Arirang: The Social and Metaphorical Meaning of Guro Arirang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제국의 취향, 전시되는 ‘아리랑’ ―식민지 ‘아리랑 엽서’의 성격과 의미
The Taste of the Empire, “Arirang” on the Exhibition ―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Arirang postcard” under Japanese rule
대동문화연구 |
75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