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가

연구분야 : G021300 예술체육 > 음악학 > 종교음악

클래스 : 유형/양식/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247

한자 : 巫歌

E01 유형/양식/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e01-01 문학장르 /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노래 () [song]

isKindOf (상위 유형)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한국 구비 문학 () [ 韓國口碑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민속 문학 [ 民俗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무속 음악 () [ 巫俗音樂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무속 신앙 () [ 巫俗信仰 ]

RT (관련어)

 

a01-07 준인간 준인간

제석천 () [ 帝釋天 ]

RT (관련어)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무당 [ 巫堂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온섬 메나리토리

hasMethod (방법/기법)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반섬 메나리토리

hasMethod (방법/기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메나리토리 () [메나리조]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차사본풀이 [ 差使本--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세경본풀이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문전본풀이 [ 門前-- ]

계면조와 메나리토리의 下一에 대한 고찰

The Study about Kyemyeonjo and Menaritori focusing on the use of Hail(下一)

한국음악연구 | 49 | 2011 | 음악학

대한제국시대 통속민요 생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Popular Folksong during the Great Imperial Korea

한국음악사학보 | 45 | 2010 | 음악학

대한제국시대 통속민요 생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Popular Folksong during the Great Imperial Korea

한국음악사학보 | | 45 | 2010 | 음악학

도둑 표상의 문화적 의미와 민중의 감성적 인식-문화적 재현체와 역사적 재현체의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a Thief

실천민속학 연구 | 16 | 2010 | 역사학

도둑 표상의 문화적 의미와 민중의 감성적 인식-문화적 재현체와 역사적 재현체의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a Thief

실천민속학 연구 | 16 |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