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경본풀이

연구분야 : A110205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구비문학(국문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8182

한자 :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제주특별자치도 [ 濟州特別自治道 ]

S:동의

UF (비우선어)

 

 

자청비 신화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무가 [ 巫歌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무속 신화 [ 巫俗神話 ]

N1:종류

hasKind (종류)

 

 

여성 영웅 신화

R1:개념적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농경원리 [ 農耕原理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a01-07 준인간 준인간

자청비 [ 自請妃 ]

巫俗神話에 나타난 女性正體性 探索의 樣相과 意味 -「바리공주」, 「세경본풀이」, 「초공본풀이」를 중심으로-

The Aspects and Meaning of the Quest for Female Identity in Shamanistic Myths -Focusing on 「Princess Bari」, 「SeGyeong-Bonpuri」, 「Chogong-Bonpuri」-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유화와 자청비를 통해 본 한국 농경신의 성격 -남성 인물과의 대립체계를 중심으로-

Yuhwa and Jacheongbi's identity as agricultural goddess of Korean mythology-focusing on the opposition system with male characters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유화와 자청비를 통해 본 한국 농경신의 성격 -남성 인물과의 대립체계를 중심으로-

Yuhwa and Jacheongbi's identity as agricultural goddess of Korean mythology-focusing on the opposition system with male characters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