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사본풀이

연구분야 :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8232

한자 : 差使本--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제주특별자치도 [ 濟州特別自治道 ]

S:동의

UF (비우선어)

 

 

차사의 신화 [ 差使--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무속 신화 [ 巫俗神話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무가 [ 巫歌 ]

김치(金緻) 인물 형상화 방식에 나타난 <차사본풀이> 서술시각 -『해동이적·보』 소재 <김치설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The Narrative Perspective of Chasabonpul-yi Represented in Personification of Kimchi(金緻)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Tale of Kimchiin “Haedong-yijeok·bo” -

구비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치(金緻) 인물 형상화 방식에 나타난 <차사본풀이> 서술시각 -『해동이적·보』 소재 <김치설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The Narrative Perspective of Chasabonpul-yi Represented in Personification of Kimchi(金緻)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Tale of Kimchiin “Haedong-yijeok·bo” -

구비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계 자료와의 대비를 통해 본<차사본풀이>의 성격과 기능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Chasabonpuriby Comparison with Other Similar Sources

구비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계 자료와의 대비를 통해 본<차사본풀이>의 성격과 기능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Chasabonpuriby Comparison with Other Similar Sources

구비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차사본풀이> 연구 -강림(姜林)의 저승여행과 존재전환을 중심으로-

A study on : with a focus on Ganglim's journey to the other world and transformation of existence

韓國古典硏究 | 25 | 2012 | 고전산문

<차사본풀이>의 서술구조와 의미지향-<김치(金緻)설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Narrative Structure and Orientation of Meaning of Chasabonpul-i-Comparison with the Tale of Kimchi-

비교민속학 | 43 | 2010 | 역사학

<차사본풀이>의 서술구조와 의미지향-<김치(金緻)설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Narrative Structure and Orientation of Meaning of Chasabonpul-i-Comparison with the Tale of Kimchi-

비교민속학 | | 43 | 2010 | 역사학

<김치(金緻)설화>의 존재양상과 <차사본풀이>의 형성 문제

The Existence Aspects of Kim Chi Tale and the Formation of Chasabonpuri

비교민속학 | 41 | 2010 | 역사학

<김치(金緻)설화>의 존재양상과 <차사본풀이>의 형성 문제

The Existence Aspects of Kim Chi Tale and the Formation of Chasabonpuri

비교민속학 | | 41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