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가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G020100 예술체육 > 음악학 > 한국음악이론/분석

클래스 : 음악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222

STNet ID : 1002747

한자 : 雜歌

e01-02 음악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민속 음악 () [ 民俗音樂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e01-01 문학장르 /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노래 () [song]

R1:개념적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유성기 음반 [ 留聲機音盤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경기 잡가 [ 京畿雜歌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육자배기 [ 六字--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십이잡가 () [ 十二雜歌 ]

한국 근대가곡의 성립과 그 성격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 Art Song

현대문학의 연구 | 46 | 2012 | 한국어와문학

<춘면곡>을 통해 본 19세기 시정문화와 그 주변

The urban culture and surroundings in the 19C as seen through

한국시가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춘면곡>을 통해 본 19세기 시정문화와 그 주변

The urban culture and surroundings in the 19C as seen through

한국시가연구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시가 장르의 존재 양상과 근대적 대응 -근대계몽기 시가사 인식의 구도와 관련하여-

The Actual State and Modern confrontation of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Poetry -Mainly focused on Siga(詩歌) history's composition of cognition in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시조학논총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계몽기 시가 장르의 존재 양상과 근대적 대응 -근대계몽기 시가사 인식의 구도와 관련하여-

The Actual State and Modern confrontation of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Poetry -Mainly focused on Siga(詩歌) history's composition of cognition in Modern Enlightenment Period`s

시조학논총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12잡가 형장가 연구 -20세기 초와 현행 형장가의 시대적 변화를 중심으로-

A study o Hyeogjangga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20th century Hyeogjangga and current Hyeogjangga-

국악교육 | 32 | 32 | 2011 | 한국음악이론/분석

19세기말․20세기초 민요 <흥타령>의 수용과 變改 양상 - 雜歌와 大韓每日申報를 중심으로

Aspects of the reception and the alteration of folksong i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0f 20th century - Focusing on Jabga(雜歌), Daehanmaeilsinbo(大韓每日申報)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19세기말․20세기초 민요 <흥타령>의 수용과 變改 양상 - 雜歌와 大韓每日申報를 중심으로

Aspects of the reception and the alteration of folksong i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0f 20th century - Focusing on Jabga(雜歌), Daehanmaeilsinbo(大韓每日申報)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

雜歌 <배따라기>의 유형과 구성 원리

A Study on the : it's type and structure.

한국시가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雜歌 <배따라기>의 유형과 구성 원리

A Study on the : it's type and structure.

한국시가연구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雜歌의 종교성과 세속성

On the Religious Background and It's Popularization in Chapga(雜歌)

불교학보 | 57 | 2011 | 기타불교학

새로운 고시조 작품의 발굴과 검토

A discover and review of newly old sijo works

시조학논총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