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기 한국 시인들의 매체 선택 -조선가요협회를 중심으로-
On the Joseon Popular song Association and Media Selection of the Modern Korean Poets in 1930’s
현대문학의 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기 한국 시인들의 매체 선택 -조선가요협회를 중심으로-
On the Joseon Popular song Association and Media Selection of the Modern Korean Poets in 1930’s
현대문학의 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20세기 초 한국 전통음악의 상품미학적 접근
Korean Traditional Music of the Early 20th Century -A Commodity Aesthetics Approach-
인문과학 |
48 |
2011 |
기타인문학
임방울 흥보가의 바디 연구
A Study on Yim Bang-ul's Pansori (narrative song) Heungboga Song and Its Musical Style
국악교육 |
32 |
32 |
2011 |
한국음악이론/분석
판소리 유행대목의 가요화 양상과 그 의미 -<쑥대머리>, <추월만정>, <군사설움타령>의 시적 구조를 중심으로
The aspects of the Pansori's popular pieces into popular songs and its meaning : Mainly on the poetic structure of the songs , and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 유행대목의 가요화 양상과 그 의미 -<쑥대머리>, <추월만정>, <군사설움타령>의 시적 구조를 중심으로
The aspects of the Pansori's popular pieces into popular songs and its meaning : Mainly on the poetic structure of the songs , and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흥보가(성학회 본) 소리책 연구
A Study on Heunbo-ga (a version of Seongakhoe) Sorichaek (Lyric Book) -Centered on Heungbo-ga possessed by Gochang Pansori Museum-
판소리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흥보가(성학회 본) 소리책 연구
A Study on Heunbo-ga (a version of Seongakhoe) Sorichaek (Lyric Book) -Centered on Heungbo-ga possessed by Gochang Pansori Museum-
판소리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방송출연과 음반취입을 통한 기생의 음악활동
The gisaeng’s musical activity through broadcasting station appearance and phonographic record
국악교육 |
29 |
29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방송출연과 음반취입을 통한 기생의 음악활동
The gisaeng’s musical activity through broadcasting station appearance and phonographic record
국악교육 |
29 |
29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판소리 즉흥성에 대한 음악적 검토 -이동백의 유성기음반 중 <박석티> 대목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보 |
44 |
2010 |
음악학
판소리 즉흥성에 대한 음악적 검토 -이동백의 유성기음반 중 <박석티> 대목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보 |
|
44 |
2010 |
음악학
유성기음반과 장시간음반에 전하는 봉장취 연구
Research on Bongjanchwi passed down on the SP record and LP record
국악원논문집 |
24 |
2011 |
한국음악이론/분석
창극 유성기음반의 녹음과 음악적 변화 양상
Recording of Gramophone Records of Korean Traditional Pansori Opera and the Aspect of Musical Changes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창환 제 춘향가로 본 20세기 초 판소리 전승 양상 -김창환․김봉이 유성기음반과 정광수․백성환 창본을 중심으로-
Pansori transmissions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Kim Chang-hwan style Chunhyang-ga -Focusing on the gramophone records by Kim Chang-hwan, Kim Bong-i, and the singing version by Jung Kwang-su, Back Sung-hwan-
한국음악연구 |
50 |
2011 |
음악학
‘시’와 ‘노래’의 탈경계 : ‘가요시’의 형성과 유성기음반
The Cross-Boundary of 'Poem' and 'Song' : Formation of 'Popular song Poem' and SP Record
우리어문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유성기음반을 통해서 본 당대 판소리 향유층의 미의식
The Aesthetic Concepts of the Audiences through the Analysis of Phonograph Records
판소리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유성기음반을 통해서 본 당대 판소리 향유층의 미의식
The Aesthetic Concepts of the Audiences through the Analysis of Phonograph Records
판소리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