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의도 이홍채 소리꾼의 교차적 공간확장과 소통적 문화행위
Cross-sectional Space Expansion & Communicational Culture Activity of Hongchae Lee, A Folk Singer in Haui-do
남도민속연구 |
23 |
2011 |
역사학
하의도 이홍채 소리꾼의 교차적 공간확장과 소통적 문화행위
Cross-sectional Space Expansion & Communicational Culture Activity of Hongchae Lee, A Folk Singer in Haui-do
남도민속연구 |
23 |
2011 |
역사학
박영희의 ≪지신굿≫(1993/94), 민속음향의 이산 혹은 재현
Tsi-Shin Kut of Younghi Pagh-Paan, Deconstruction or Representation of Folk sound
音.樂.學 |
18 |
2 |
2010 |
기타음악학
박영희의 ≪지신굿≫(1993/94), 민속음향의 이산 혹은 재현
Tsi-Shin Kut of Younghi Pagh-Paan, Deconstruction or Representation of Folk sound
音.樂.學 |
18 |
2 |
2010 |
기타음악학
『金甁梅』와 『변강쇠가』의 비교연구 ― 표면적 관련성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
70 |
2011 |
중국어와문학
악신징치 신화소의 두 유형, 해양형과 내륙형 비교 연구 ― 일본·한국·몽골의 자료를 사례로 ―
A Comparative Study on Two Types of Devil-Disciplining-Myth, the ‘Marine’ and ‘Inland’-Based on the Materials of Japan, Korea, Mongol-
구비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구한말 <西廂記> 국문 改譯本의 개역 양상 및 특징 ―‘존경각본’과 ‘규장각본’을 중심으로
朝鮮末期 ≪西廂記≫ 韓文改譯本的改譯形態及特徵 ― 以“尊經閣本”和“奎章閣本”爲中心
인문학연구 |
38 |
3 |
2011 |
기타인문학
악신징치 신화소의 두 유형, 해양형과 내륙형 비교 연구 ― 일본·한국·몽골의 자료를 사례로 ―
A Comparative Study on Two Types of Devil-Disciplining-Myth, the ‘Marine’ and ‘Inland’-Based on the Materials of Japan, Korea, Mongol-
구비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전소설의 유통양상과 문학교육에서의 활용방안 -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교과를 중심으로 -
어문연구 |
66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소설의 유통양상과 문학교육에서의 활용방안 -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교과를 중심으로 -
어문연구 |
66 |
|
2010 |
한국어와문학
<변강쇠가>에 나타난 寃魂의 含怨과 解寃
The Grudge and Forgiving of the Grudge of a Ghost that Appears in Storyline of "Byungangswega"
어문론집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변강쇠가>에 나타난 寃魂의 含怨과 解寃
The Grudge and Forgiving of the Grudge of a Ghost that Appears in Storyline of "Byungangswega"
어문론집 |
45 |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후기 전주 재인청 무부들의 판소리 활동 - 전주 재인청과 전주 아전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
53 |
53 |
2012 |
한국어와문학
영화 <서편제>와 원작 <서편제>・<소리의 빛> 사이의 서사적 거리
The Difference Between Film and The Novels and
문학치료연구 |
17 |
2010 |
문학교육
영화 <서편제>와 원작 <서편제>・<소리의 빛> 사이의 서사적 거리
The Difference Between Film and The Novels and
문학치료연구 |
17 |
|
2010 |
문학교육
유성기음반에 나타난 가야금병창 공연형태의 변모 양상
Changes of Gayageum Byeongchang Performing Styles in SLP Records
우리춤과 과학기술 |
6 |
2 |
2010 |
무용
유성기음반에 나타난 가야금병창 공연형태의 변모 양상
Changes of Gayageum Byeongchang Performing Styles in SLP Records
우리춤과 과학기술 |
6 |
2 |
2010 |
무용
굿놀이와 재담소리
Shaman’s Play and Jaedam-Sori (재담소리)
한국무속학 |
21 |
2010 |
역사학
굿놀이와 재담소리
Shaman’s Play and Jaedam-Sori (재담소리)
한국무속학 |
|
21 |
2010 |
역사학
심정순 일가의 소리와 내포제 문화
Pansori of Sim, Jeongsun and his family and Naepoje culture
한국학연구 |
35 |
2010 |
기타인문학
심정순 일가의 소리와 내포제 문화
Pansori of Sim, Jeongsun and his family and Naepoje culture
한국학연구 |
|
35 |
2010 |
기타인문학
심정순 일가의 소리와 내포제 문화
Pansori of Sim, Jeongsun and his family and Naepoje culture
한국학연구 |
35 |
2010 |
기타인문학
심정순 일가의 소리와 내포제 문화
Pansori of Sim, Jeongsun and his family and Naepoje culture
한국학연구 |
|
35 |
2010 |
기타인문학
인물 작명과 골생원의 형상으로 본 <골생원전>
The Avatar of Sexual Desire, Golsaengwon in Gangreungmaehwataryung
판소리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물 작명과 골생원의 형상으로 본 <골생원전>
The Avatar of Sexual Desire, Golsaengwon in Gangreungmaehwataryung
판소리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詩社 硏究의 回顧와 展望
A Review and prospect on the Studies of Sisa[詩社]
漢文學報 |
25 |
2011 |
한문학
완판 <춘향전>과 <춘향가>의 서두 비교
The Comparison of two prologues in the Jeonju Edition of and the
열상고전연구 |
34 |
2011 |
기타국문학
『고본춘향전』 개작의 몇 가지 문제
On Adaptation of Gobon Chunhyangjeon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본춘향전』 개작의 몇 가지 문제
On Adaptation of Gobon Chunhyangjeon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 즉흥성에 대한 음악적 검토 -이동백의 유성기음반 중 <박석티> 대목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보 |
44 |
2010 |
음악학
판소리 즉흥성에 대한 음악적 검토 -이동백의 유성기음반 중 <박석티> 대목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보 |
|
44 |
2010 |
음악학
『고본춘향전』 개작의 몇 가지 문제
On Adaptation of Gobon Chunhyangjeon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본춘향전』 개작의 몇 가지 문제
On Adaptation of Gobon Chunhyangjeon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황쥬목계자긔> 형성 과정 연구
The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Hwang-jyu-mok-sa-kye-ja-gui
韓國古典硏究 |
24 |
2011 |
고전산문
박영희의 ≪지신굿≫(1993/94), 민속음향의 이산 혹은 재현
Tsi-Shin Kut of Younghi Pagh-Paan, Deconstruction or Representation of Folk sound
音.樂.學 |
18 |
2 |
2010 |
기타음악학
박영희의 ≪지신굿≫(1993/94), 민속음향의 이산 혹은 재현
Tsi-Shin Kut of Younghi Pagh-Paan, Deconstruction or Representation of Folk sound
音.樂.學 |
18 |
2 |
2010 |
기타음악학
詩社 硏究의 回顧와 展望
A Review and prospect on the Studies of Sisa[詩社]
漢文學報 |
25 |
2011 |
한문학
김창환 제 춘향가로 본 20세기 초 판소리 전승 양상 -김창환․김봉이 유성기음반과 정광수․백성환 창본을 중심으로-
Pansori transmissions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Kim Chang-hwan style Chunhyang-ga -Focusing on the gramophone records by Kim Chang-hwan, Kim Bong-i, and the singing version by Jung Kwang-su, Back Sung-hwan-
한국음악연구 |
50 |
2011 |
음악학
창극의 양식적 변천과 발전과정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the Transition and Development of Chang-geuk(the traditional Korean opera)
연극교육연구 |
20 |
20 |
2012 |
연극교육
구한말 <西廂記> 국문 改譯本의 개역 양상 및 특징 ―‘존경각본’과 ‘규장각본’을 중심으로
朝鮮末期 ≪西廂記≫ 韓文改譯本的改譯形態及特徵 ― 以“尊經閣本”和“奎章閣本”爲中心
인문학연구 |
38 |
3 |
2011 |
기타인문학
유성기음반에 나타난 가야금병창 공연형태의 변모 양상
Changes of Gayageum Byeongchang Performing Styles in SLP Records
우리춤과 과학기술 |
6 |
2 |
2010 |
무용
유성기음반에 나타난 가야금병창 공연형태의 변모 양상
Changes of Gayageum Byeongchang Performing Styles in SLP Records
우리춤과 과학기술 |
6 |
2 |
2010 |
무용
어린이 창극 토끼와 자라의 용궁여행 연구
A Study on a korean classical opera
판소리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린이 창극 토끼와 자라의 용궁여행 연구
A Study on a korean classical opera
판소리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창극의 양식적 변천과 발전과정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the Transition and Development of Chang-geuk(the traditional Korean opera)
연극교육연구 |
20 |
20 |
2012 |
연극교육
어린이 창극 토끼와 자라의 용궁여행 연구
A Study on a korean classical opera
판소리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린이 창극 토끼와 자라의 용궁여행 연구
A Study on a korean classical opera
판소리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연극 <은세계>의 존재 양식과 성격
A Study on Existential Mode of Theatrical Performance
판소리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연극 <은세계>의 존재 양식과 성격
A Study on Existential Mode of Theatrical Performance
판소리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통문화의 원천으로서 무 문화의 갈래와 위상-호남지역 세습무 집단을 중심으로-
Branches of Korean Shamanism Culture and Its Status as a Source of Traditional Culture-With focus on troupes of hereditary shaman in Honam Area-
비교민속학 |
44 |
2011 |
역사학
완판 방각본 출판의 문화사
A cultural history of ‘Wanpan panggakbon(完版 坊刻本)’ publication
열상고전연구 |
31 |
2010 |
기타국문학
완판 방각본 출판의 문화사
A cultural history of ‘Wanpan panggakbon(完版 坊刻本)’ publication
열상고전연구 |
|
31 |
2010 |
기타국문학
<春香傳>과 <西廂記>의 관계성 연구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nd
인문학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春香傳>과 <西廂記>의 관계성 연구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nd
인문학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박영근의 「김미순전」에 나타난 들뢰즈적 ‘정동’의 연극성
The Theatricality of Deleuze's Emotional Movement(JeongDong) in Park YoungKeun's Kim Mi-Soon Jeon
영주어문 |
24 |
2012 |
기타국문학
연극 <은세계>의 존재 양식과 성격
A Study on Existential Mode of Theatrical Performance
판소리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연극 <은세계>의 존재 양식과 성격
A Study on Existential Mode of Theatrical Performance
판소리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완판 방각본 출판의 문화사
A cultural history of ‘Wanpan panggakbon(完版 坊刻本)’ publication
열상고전연구 |
31 |
2010 |
기타국문학
완판 방각본 출판의 문화사
A cultural history of ‘Wanpan panggakbon(完版 坊刻本)’ publication
열상고전연구 |
|
31 |
2010 |
기타국문학
‘엿보는 시선’과 재현윤리의 문제 -<단오풍정>과 판소리 사설의 상관성을 통한 해석-
Stealing glance in Korean manners painting & Pansori and representative ethics
시학과 언어학 |
22 |
2012 |
기타인문학
월북 판소리 唱優들의 창작활동과 공연문화사적 기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tive works of Pansori actor defected to North Korea and the contribution to the performing arts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월북 판소리 唱優들의 창작활동과 공연문화사적 기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tive works of Pansori actor defected to North Korea and the contribution to the performing arts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 전통과 최명희의 혼불
The Tradition of P’ansori and by Choe Myung-hee
판소리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 전통과 최명희의 혼불
The Tradition of P’ansori and by Choe Myung-hee
판소리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월북 판소리 唱優들의 창작활동과 공연문화사적 기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tive works of Pansori actor defected to North Korea and the contribution to the performing arts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월북 판소리 唱優들의 창작활동과 공연문화사적 기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tive works of Pansori actor defected to North Korea and the contribution to the performing arts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영근의 「김미순전」에 나타난 들뢰즈적 ‘정동’의 연극성
The Theatricality of Deleuze's Emotional Movement(JeongDong) in Park YoungKeun's Kim Mi-Soon Jeon
영주어문 |
24 |
2012 |
기타국문학
<春香傳>과 <西廂記>의 관계성 연구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nd
인문학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春香傳>과 <西廂記>의 관계성 연구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nd
인문학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Translating Ch’unhyangga: The Problems and a Strategy
비교문학 |
57 |
2012 |
인문학
‘엿보는 시선’과 재현윤리의 문제 -<단오풍정>과 판소리 사설의 상관성을 통한 해석-
Stealing glance in Korean manners painting & Pansori and representative ethics
시학과 언어학 |
22 |
2012 |
기타인문학
전통문화의 원천으로서 무 문화의 갈래와 위상-호남지역 세습무 집단을 중심으로-
Branches of Korean Shamanism Culture and Its Status as a Source of Traditional Culture-With focus on troupes of hereditary shaman in Honam Area-
비교민속학 |
44 |
2011 |
역사학
서사무가와 판소리의 상관성 - 전북지역 서사무가를 중심으로
Correlation between Seosa Muga and Pansori -With focus on Seosa Muga prevalent in Cholabuk-do area
한국언어문학 |
78 |
2011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를 수용한 산조의 음악 양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sical Style of Sanjo accepting Pansori-by comparing the Jangdan, Mode, and Sigimsae of Gayaguem Sanjo-
판소리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를 수용한 산조의 음악 양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sical Style of Sanjo accepting Pansori-by comparing the Jangdan, Mode, and Sigimsae of Gayaguem Sanjo-
판소리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京板 春香傳의 改作方向에 대한 再論
Study on the Revision of Woodblock Printed 「Chunyangchun」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신재효 사설에 나타난 성적 어휘와 성묘사
Sexuality of Sin, Jae-Hyo’s Pansori Works
판소리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재효 사설에 나타난 성적 어휘와 성묘사
Sexuality of Sin, Jae-Hyo’s Pansori Works
판소리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를 수용한 산조의 음악 양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sical Style of Sanjo accepting Pansori-by comparing the Jangdan, Mode, and Sigimsae of Gayaguem Sanjo-
판소리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를 수용한 산조의 음악 양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sical Style of Sanjo accepting Pansori-by comparing the Jangdan, Mode, and Sigimsae of Gayaguem Sanjo-
판소리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보들레르의 웃음 담론과 판소리의 희극성
Review of the comic in Pansori : referring to an essay on the comic by Baudelaire
비교문학 |
52 |
2010 |
인문학
보들레르의 웃음 담론과 판소리의 희극성
Review of the comic in Pansori : referring to an essay on the comic by Baudelaire
비교문학 |
|
52 |
2010 |
인문학
‘전주대사습놀이전국대회’의 역사성 형성 배경과 정착 과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Background that Historicity of ‘Jeonjudaesaseupnoli National Competition’ were Formed and on Its Settlement Process
한국문화연구 |
19 |
2010 |
기타인문학
‘전주대사습놀이전국대회’의 역사성 형성 배경과 정착 과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Background that Historicity of ‘Jeonjudaesaseupnoli National Competition’ were Formed and on Its Settlement Process
한국문화연구 |
19 |
|
2010 |
기타인문학
보들레르의 웃음 담론과 판소리의 희극성
Review of the comic in Pansori : referring to an essay on the comic by Baudelaire
비교문학 |
52 |
2010 |
인문학
보들레르의 웃음 담론과 판소리의 희극성
Review of the comic in Pansori : referring to an essay on the comic by Baudelaire
비교문학 |
|
52 |
2010 |
인문학
다문화시대 판소리의 재인식과 문화적 가치 탐색
A Study on the Reappraisal of Pansori and Exploration of Its Cultural Values in the Multicultural Age
다문화콘텐츠연구 |
12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신재효의 사설 개작과 가사 창작의 의미
The Meaning of Adaptation of Pansori and Production of Kasa in Jaehyo Shin's Works
한국시가문화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
신재효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관(官)․민(民) 의식과 사회적 지향
Consciousness of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and Social Aim Shown in Pansori Literature by Sin Jae-Hyo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신재효 사설에 나타난 성적 어휘와 성묘사
Sexuality of Sin, Jae-Hyo’s Pansori Works
판소리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재효 사설에 나타난 성적 어휘와 성묘사
Sexuality of Sin, Jae-Hyo’s Pansori Works
판소리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수관이 부른 노래는 판소리인가
Were the Songs Sung by Go SooGwan Pansori?
열상고전연구 |
35 |
2012 |
기타국문학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판소리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연구 -2011년 도입 『국어』 교과서의 판소리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Pansori’ education at new ‘Korean’ textbooks in ‘2007 revised curriculum’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인물 작명과 골생원의 형상으로 본 <골생원전>
The Avatar of Sexual Desire, Golsaengwon in Gangreungmaehwataryung
판소리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물 작명과 골생원의 형상으로 본 <골생원전>
The Avatar of Sexual Desire, Golsaengwon in Gangreungmaehwataryung
판소리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임방울 흥보가의 바디 연구
A Study on Yim Bang-ul's Pansori (narrative song) Heungboga Song and Its Musical Style
국악교육 |
32 |
32 |
2011 |
한국음악이론/분석
임방울 흥보가의 바디 연구
A Study on Yim Bang-ul's Pansori (narrative song) Heungboga Song and Its Musical Style
국악교육 |
32 |
32 |
2011 |
한국음악이론/분석
시조와 판소리의 관련 양상
The Study on Relatives between Sijo and Pansori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조와 판소리의 관련 양상
The Study on Relatives between Sijo and Pansori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판소리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연구 -2011년 도입 『국어』 교과서의 판소리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Pansori’ education at new ‘Korean’ textbooks in ‘2007 revised curriculum’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장끼전> 작품군의 존재 양상과 전승 과정 연구
A Study of an Existence Aspect and the Hand Down Process of Pieces
판소리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장끼전> 작품군의 존재 양상과 전승 과정 연구
A Study of an Existence Aspect and the Hand Down Process of Pieces
판소리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시대 판소리의 재인식과 문화적 가치 탐색
A Study on the Reappraisal of Pansori and Exploration of Its Cultural Values in the Multicultural Age
다문화콘텐츠연구 |
12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판소리 연행과 민족지적 기술 -국악단 협연 형태의 판소리 공연 사례 기술을 중심으로-
Pansori Performance and the Ethnographical Description
시학과 언어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신재효의 사설 개작과 가사 창작의 의미
The Meaning of Adaptation of Pansori and Production of Kasa in Jaehyo Shin's Works
한국시가문화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
<장끼전> 작품군의 존재 양상과 전승 과정 연구
A Study of an Existence Aspect and the Hand Down Process of Pieces
판소리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장끼전> 작품군의 존재 양상과 전승 과정 연구
A Study of an Existence Aspect and the Hand Down Process of Pieces
판소리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조와 판소리의 관련 양상
The Study on Relatives between Sijo and Pansori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조와 판소리의 관련 양상
The Study on Relatives between Sijo and Pansori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재효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관(官)․민(民) 의식과 사회적 지향
Consciousness of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and Social Aim Shown in Pansori Literature by Sin Jae-Hyo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전주대사습놀이전국대회’의 역사성 형성 배경과 정착 과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Background that Historicity of ‘Jeonjudaesaseupnoli National Competition’ were Formed and on Its Settlement Process
한국문화연구 |
19 |
2010 |
기타인문학
‘전주대사습놀이전국대회’의 역사성 형성 배경과 정착 과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Background that Historicity of ‘Jeonjudaesaseupnoli National Competition’ were Formed and on Its Settlement Process
한국문화연구 |
19 |
|
2010 |
기타인문학
서사무가와 판소리의 상관성 - 전북지역 서사무가를 중심으로
Correlation between Seosa Muga and Pansori -With focus on Seosa Muga prevalent in Cholabuk-do area
한국언어문학 |
78 |
2011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계 소설의 해외 영문번역 현황과 전망
A Study on English Publications of Pansori's Novels Abroad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창극 유성기음반의 녹음과 음악적 변화 양상
Recording of Gramophone Records of Korean Traditional Pansori Opera and the Aspect of Musical Changes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의 근대적 재생산에 관한 연구
Study on Modern Reproduction of Pansory
한국언어문학 |
81 |
2012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 연행과 민족지적 기술 -국악단 협연 형태의 판소리 공연 사례 기술을 중심으로-
Pansori Performance and the Ethnographical Description
시학과 언어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창자와의 관계에서 본 판소리 고수의 공연학
Performance Features of Pansori Drummer from a viewpoint of the Relationship with Singer
공연문화연구 |
23 |
2011 |
기타예술일반
흥부전의 아이러니와 웃음
Ironies and Humors in
판소리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흥부전의 아이러니와 웃음
Ironies and Humors in
판소리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초제 수궁가의 유파적 특성과 전승 양상
The Sectarian Characteristics and Transmission Aspect of Dongcho-je
공연문화연구 |
24 |
2012 |
기타예술일반
판소리장단의 리듬형 재구성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Reconstructing the Rhythmic Forms of Pansori Jangdan
한국음악연구 |
51 |
2012 |
음악학
박봉술창 <춘향가>의 고조(古調)적 특성과 전승계보 고찰
The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of Pak Pong-sul’s Ch'unhyangga
한국음악사학보 |
46 |
2011 |
음악학
유성기음반을 통해서 본 당대 판소리 향유층의 미의식
The Aesthetic Concepts of the Audiences through the Analysis of Phonograph Records
판소리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유성기음반을 통해서 본 당대 판소리 향유층의 미의식
The Aesthetic Concepts of the Audiences through the Analysis of Phonograph Records
판소리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 사랑가 더늠 군의 구성과 음악적 변화
Musical Composition and Changes in Pansori(narrative song) Sarangga(love song) Works
한국문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중 전통 소리 예술 판소리와 곤곡청창의 전통 계승 발전전망에 관한 비교 연구- 全州 판소리 大私習과 中國 蘇州 虎丘 曲會를 中心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radition, succession and prospectof the Jeonju Pansori Contest in Korea & the Suzhou KunquAria Ceremony in China
판소리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중 전통 소리 예술 판소리와 곤곡청창의 전통 계승 발전전망에 관한 비교 연구- 全州 판소리 大私習과 中國 蘇州 虎丘 曲會를 中心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radition, succession and prospectof the Jeonju Pansori Contest in Korea & the Suzhou KunquAria Ceremony in China
판소리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진양조 장단의 구현양상
A Study on the Aspects of Realization of Jinyangjo -Focused on the Private Theater Period-
판소리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진양조 장단의 구현양상
A Study on the Aspects of Realization of Jinyangjo -Focused on the Private Theater Period-
판소리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수궁가」에 내재된 의학지식 ― 김연수 창본 수궁가의 사설을 대상으로
Medical knowledge implied in "Sugungga" ― Focusing on the article of Kim, Yeon Soo-Changbon Sugungga
국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북한의 창극 변화 양상 연구 ― 조령출의 월북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s of North Korea’s Pansori: focusing on works of Cho Ryoung Chool defected to North Korea
한국언어문화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의 창극 변화 양상 연구 ― 조령출의 월북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s of North Korea’s Pansori: focusing on works of Cho Ryoung Chool defected to North Korea
한국언어문화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창극의 새로운 공연 포맷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ing the New Performance Format of Korean Traditional Opera
인문콘텐츠 |
17 |
2010 |
기타인문학
창극의 새로운 공연 포맷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ing the New Performance Format of Korean Traditional Opera
인문콘텐츠 |
|
17 |
2010 |
기타인문학
판소리 <수궁가> 醫學記事에 내포된 역사성과 조선후기 민중 의학지식의 보급 -김연수 창본 수궁가의 사설을 대상으로-
Historicity Included in Pansori Sugungga and Spreading of Folk Remedial Knowledge in Late Joseon -Around the Narration of Sugungga adapted by Kim Yeon-Su-
호남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판소리 <수궁가> 醫學記事에 내포된 역사성과 조선후기 민중 의학지식의 보급 -김연수 창본 수궁가의 사설을 대상으로-
Historicity Included in Pansori Sugungga and Spreading of Folk Remedial Knowledge in Late Joseon -Around the Narration of Sugungga adapted by Kim Yeon-Su-
호남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
창작 판소리의 길과 <바리데기 바리공주>
The Way of Newly Created Pansori and
판소리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창작 판소리의 길과 <바리데기 바리공주>
The Way of Newly Created Pansori and
판소리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창극의 전통과 국립창극단의 역사
The Tradition of Changgeuk and the history of 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한국학연구 |
33 |
2010 |
기타인문학
창극의 전통과 국립창극단의 역사
The Tradition of Changgeuk and the history of 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한국학연구 |
|
33 |
2010 |
기타인문학
창극의 새로운 공연 포맷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ing the New Performance Format of Korean Traditional Opera
인문콘텐츠 |
17 |
2010 |
기타인문학
창극의 새로운 공연 포맷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ing the New Performance Format of Korean Traditional Opera
인문콘텐츠 |
|
17 |
2010 |
기타인문학
폴리돌판 <적벽가>를 통해 본 관우 위엄 대목의 존재 양상과 그 의미
A Study on Oriental Traditional Thought Paradigm and Oriental Aesthetic Elements in Pansori
판소리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폴리돌판 <적벽가>를 통해 본 관우 위엄 대목의 존재 양상과 그 의미
A Study on Oriental Traditional Thought Paradigm and Oriental Aesthetic Elements in Pansori
판소리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의 창극 변화 양상 연구 ― 조령출의 월북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s of North Korea’s Pansori: focusing on works of Cho Ryoung Chool defected to North Korea
한국언어문화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의 창극 변화 양상 연구 ― 조령출의 월북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s of North Korea’s Pansori: focusing on works of Cho Ryoung Chool defected to North Korea
한국언어문화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의 현대화를 위한 번역 현황과 방향
The status and direction of translation of Pansori for its modernization
비평문학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의 현대화를 위한 번역 현황과 방향
The status and direction of translation of Pansori for its modernization
비평문학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흥부전의 아이러니와 웃음
Ironies and Humors in
판소리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흥부전의 아이러니와 웃음
Ironies and Humors in
판소리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중 전통 소리 예술 판소리와 곤곡청창의 전통 계승 발전전망에 관한 비교 연구- 全州 판소리 大私習과 中國 蘇州 虎丘 曲會를 中心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radition, succession and prospectof the Jeonju Pansori Contest in Korea & the Suzhou KunquAria Ceremony in China
판소리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중 전통 소리 예술 판소리와 곤곡청창의 전통 계승 발전전망에 관한 비교 연구- 全州 판소리 大私習과 中國 蘇州 虎丘 曲會를 中心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radition, succession and prospectof the Jeonju Pansori Contest in Korea & the Suzhou KunquAria Ceremony in China
판소리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유성기음반을 통해서 본 당대 판소리 향유층의 미의식
The Aesthetic Concepts of the Audiences through the Analysis of Phonograph Records
판소리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유성기음반을 통해서 본 당대 판소리 향유층의 미의식
The Aesthetic Concepts of the Audiences through the Analysis of Phonograph Records
판소리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수관이 부른 노래는 판소리인가
Were the Songs Sung by Go SooGwan Pansori?
열상고전연구 |
35 |
2012 |
기타국문학
판소리의 시조 수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eption of Sijo in Pansori
판소리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의 시조 수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eption of Sijo in Pansori
판소리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의 근대적 재생산에 관한 연구
Study on Modern Reproduction of Pansory
한국언어문학 |
81 |
2012 |
한국어와문학
완판 <춘향전>과 <춘향가>의 서두 비교
The Comparison of two prologues in the Jeonju Edition of and the
열상고전연구 |
34 |
2011 |
기타국문학
판소리 사랑가 더늠 군의 구성과 음악적 변화
Musical Composition and Changes in Pansori(narrative song) Sarangga(love song) Works
한국문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흥보가(성학회 본) 소리책 연구
A Study on Heunbo-ga (a version of Seongakhoe) Sorichaek (Lyric Book) -Centered on Heungbo-ga possessed by Gochang Pansori Museum-
판소리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흥보가(성학회 본) 소리책 연구
A Study on Heunbo-ga (a version of Seongakhoe) Sorichaek (Lyric Book) -Centered on Heungbo-ga possessed by Gochang Pansori Museum-
판소리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 명창 송순섭의 삶과 예술관
Pansori master life and view of art Song Soon Seop
남도문화연구 |
22 |
2012 |
기타인문학
판소리 <수궁가> 醫學記事에 내포된 역사성과 조선후기 민중 의학지식의 보급 -김연수 창본 수궁가의 사설을 대상으로-
Historicity Included in Pansori Sugungga and Spreading of Folk Remedial Knowledge in Late Joseon -Around the Narration of Sugungga adapted by Kim Yeon-Su-
호남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판소리 <수궁가> 醫學記事에 내포된 역사성과 조선후기 민중 의학지식의 보급 -김연수 창본 수궁가의 사설을 대상으로-
Historicity Included in Pansori Sugungga and Spreading of Folk Remedial Knowledge in Late Joseon -Around the Narration of Sugungga adapted by Kim Yeon-Su-
호남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
창극의 전통과 국립창극단의 역사
The Tradition of Changgeuk and the history of 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한국학연구 |
33 |
2010 |
기타인문학
창극의 전통과 국립창극단의 역사
The Tradition of Changgeuk and the history of 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한국학연구 |
|
33 |
2010 |
기타인문학
판소리장단의 리듬형 재구성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Reconstructing the Rhythmic Forms of Pansori Jangdan
한국음악연구 |
51 |
2012 |
음악학
「수궁가」에 내재된 의학지식 ― 김연수 창본 수궁가의 사설을 대상으로
Medical knowledge implied in "Sugungga" ― Focusing on the article of Kim, Yeon Soo-Changbon Sugungga
국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동초제 수궁가의 유파적 특성과 전승 양상
The Sectarian Characteristics and Transmission Aspect of Dongcho-je
공연문화연구 |
24 |
2012 |
기타예술일반
창자와의 관계에서 본 판소리 고수의 공연학
Performance Features of Pansori Drummer from a viewpoint of the Relationship with Singer
공연문화연구 |
23 |
2011 |
기타예술일반
판소리의 사유체계와 동양미학적 기반
A Study on Oriental Traditional Thought Paradigm and Oriental Aesthetic Elements in Pansori
판소리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의 사유체계와 동양미학적 기반
A Study on Oriental Traditional Thought Paradigm and Oriental Aesthetic Elements in Pansori
판소리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계 소설의 해외 영문번역 현황과 전망
A Study on English Publications of Pansori's Novels Abroad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창작 판소리의 길과 <바리데기 바리공주>
The Way of Newly Created Pansori and
판소리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창작 판소리의 길과 <바리데기 바리공주>
The Way of Newly Created Pansori and
판소리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 문학에 나타난 분노와 설움
Rages and Sorrows in Pansori Literature
고전문학과 교육 |
23 |
2012 |
인문학
진양조 장단의 구현양상
A Study on the Aspects of Realization of Jinyangjo -Focused on the Private Theater Period-
판소리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진양조 장단의 구현양상
A Study on the Aspects of Realization of Jinyangjo -Focused on the Private Theater Period-
판소리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 문학에 나타난 분노와 설움
Rages and Sorrows in Pansori Literature
고전문학과 교육 |
23 |
2012 |
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