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극의 전통과 국립창극단의 역사
The Tradition of Changgeuk and the history of 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한국학연구 |
33 |
2010 |
기타인문학
창극의 전통과 국립창극단의 역사
The Tradition of Changgeuk and the history of 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한국학연구 |
|
33 |
2010 |
기타인문학
<로미오와 줄리엣>의 드라마투르기적 분석 및 공연분석 -셰익스피어의 드라마와 오태석의 공연-
Dramaturgische und Aufführungs-analyse von Romeo und Julia -Shakespeares Drama und Oh, Tae-suks Aufführung-
한국연극학 |
40 |
2010 |
연극
마당극을 통한 지역문화예술교육의 모색-놀이패 ‘신명’의 활동을 통해서-
Reserch of local culture and art education through Madangguk
남도민속연구 |
20 |
2010 |
역사학
마당극을 통한 지역문화예술교육의 모색-놀이패 ‘신명’의 활동을 통해서-
Reserch of local culture and art education through Madangguk
남도민속연구 |
|
20 |
2010 |
역사학
재일 코리안 축제와 장소성에 대한 고찰 - 교토의 히가시쿠죠마당(東九条マダン)을 중심으로 -
Study on placeness and japanese korean festival - in the case of Madang play in Higashi-kujyo Madang, Kyoto
일본어문학 |
49 |
2010 |
일본어와문학
재일 코리안 축제와 장소성에 대한 고찰 - 교토의 히가시쿠죠마당(東九条マダン)을 중심으로 -
Study on placeness and japanese korean festival - in the case of Madang play in Higashi-kujyo Madang, Kyoto
일본어문학 |
|
49 |
2010 |
일본어와문학
마당극 공간의 구조 및 수행성 연구 -<언젠가 봄날에>와 <삼팔선 놀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for Madang Theater and Performativity -Centering on and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역사극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신역사주의적 해석 —1970~80년대 ‘한국적’ 역사극의 탄생과 연관하여—
The New Historicist Interpretation on the Concept and Category of Historical Play —In Relation to the Birth of 'Korean' Historical Play in 1970-80s
드라마 연구 |
34 |
2011 |
연극이론
Commodification and Communication: Theatrical Strategy of the Nonverbal Performance Nanta
상업화와 소통 - 비 언어극 <난타>의 극적 전략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마당극이 수용한 전통적 미의식과 그 응용
Traditional Aesthetic Awareness Adopted by Madang-geuk and its Application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마당극이 수용한 전통적 미의식과 그 응용
Traditional Aesthetic Awareness Adopted by Madang-geuk and its Application
인문학연구 |
37 |
2 |
2010 |
기타인문학
굿의 연행론적 접근을 통한 마당극 양식론 연구
Research of the Styles of the Madanggeuk Through Approach of the Performance´s Style of the Gut
민족미학 |
10 |
2 |
2011 |
미학일반
마당굿 <황토바람>에 나타난 정치성 연구
A study on Political Purposes in a Madanggut titled
드라마 연구 |
33 |
2010 |
연극이론
마당굿 <황토바람>에 나타난 정치성 연구
A study on Political Purposes in a Madanggut titled
드라마 연구 |
|
33 |
2010 |
연극이론
한국적 미적 범주로서의 웃음과 울음 -마당극을 중심으로
Laughter and Cry As Korean Aesthetic Category - Centering Around Madanggeuk
민족미학 |
9 |
2010 |
미학일반
한국적 미적 범주로서의 웃음과 울음 -마당극을 중심으로
Laughter and Cry As Korean Aesthetic Category - Centering Around Madanggeuk
민족미학 |
9 |
|
2010 |
미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