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춤

연구분야 : G119900 예술체육 > 무용 > 기타무용

클래스 : 공연예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397

한자 :
영어 : Mask dance

e01-05 공연예술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탈 놀이

UF (비우선어)

 

 

한국 탈춤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무용극 [ 舞踊劇 ]

isKindOf (상위 유형)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동양 무용 [ 東洋舞踊 ]

N1:종류

hasKind (종류)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강령 탈춤 [ 康翎-- ]

hasKind (종류)

 

 

하회 탈춤 [ 河回-- ]

hasKind (종류)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봉산탈춤 () [ 鳳山--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연희자 [ 演戱者 ]

RT (관련어)

 

c02-01 감정 감정

신명 [ 神明 ]

RT (관련어)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마당 극 [ --劇 ]

18ㆍ19세기 탈춤꾼ㆍ山臺造成匠人 卓文漢 연구

A Study on Tak Muhan as a Mask Dancer and a Maker of Korean Mask Drama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18ㆍ19세기 탈춤꾼ㆍ山臺造成匠人 卓文漢 연구

A Study on Tak Muhan as a Mask Dancer and a Maker of Korean Mask Drama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민속무용 수업과 PBL

A Class of Korean Folk Dance and PBL

한국무용연구 | 30 | 1 | 2012 | 기타무용

한국어 교육에서의 민속극 활용 방안 연구 : 탈춤을 중심으로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Folk Dramas: Focusing on “Talchum”(Mask Dance)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어 교육에서의 민속극 활용 방안 연구 : 탈춤을 중심으로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Folk Dramas: Focusing on “Talchum”(Mask Dance)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기 경남 지역사회의 탈춤 ‘부흥’ 운동과 주도자들 ― 동래 야류 연행의 문화정치학

A Study of Performance History of Dongrae Mask Dance Dram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1910-45 and its Cultural Politics

대동문화연구 | 79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과 일본의 전통무용에 나타나는 남성무용수의 여성이미지 비교(탈춤과 가부키를 중심으로)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male dancers’ feminine images in their respective traditional dances (focusing on Talchum and Kabuki)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 | 1 | 2010 | 체육

한국과 일본의 전통무용에 나타나는 남성무용수의 여성이미지 비교(탈춤과 가부키를 중심으로)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male dancers’ feminine images in their respective traditional dances (focusing on Talchum and Kabuki)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 | 1 | 2010 | 체육

산대탈의 전승 현황과 완보/말뚝이의 변천 양상 -산대놀이의 변천 과정 재구를 위한 시론-

The Status of Sandae-Mask Remains and the Aspect of Wanbo/Maltoogi's Change:-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change process of Sandae-Nori -

구비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산대탈의 전승 현황과 완보/말뚝이의 변천 양상 -산대놀이의 변천 과정 재구를 위한 시론-

The Status of Sandae-Mask Remains and the Aspect of Wanbo/Maltoogi's Change:-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change process of Sandae-Nori -

구비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