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산탈춤

연구분야 : G119900 예술체육 > 무용 > 기타무용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408

STNet ID : 9009757

한자 : 鳳山--
영어 : Bongsan Mask Dance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重要無形文化財)

유형/장르

탈춤

관리자(처)

봉산탈춤보존회

지정호수_t

중요 무형문화재 17호

지정일자_t

1967-6-16

형태

무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탈춤 [Mask dance]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17호

 

국가무형문화재 (문화재보호법) [ 國家無形文化財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1-02 가상인물 가상인물

말뚝이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은율 탈춤 [ 殷栗--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한국 가면극 [ 韓國假面劇 ]

琉球 오모로사우시의 고대·중세 서사시적 특성-한국의 중심부와 주변부 제주 신화와의 대비를 적용하며

Peculiarities of ancient and medieval heroic epic in Ryukyu Omorosausi - Apply to contrast the central part of Korea and periphery Jeju Myth

비교민속학 | 47 | 2012 | 역사학

<김치(金緻)설화>의 존재양상과 <차사본풀이>의 형성 문제

The Existence Aspects of Kim Chi Tale and the Formation of Chasabonpuri

비교민속학 | 41 | 2010 | 역사학

<김치(金緻)설화>의 존재양상과 <차사본풀이>의 형성 문제

The Existence Aspects of Kim Chi Tale and the Formation of Chasabonpuri

비교민속학 | | 41 | 2010 | 역사학

굿 속의 탈놀이:<영산 할아뱜.할먐굿>과 <탈굿>

The Mask-Dance Performances in the Shaman Rituals: and The Mask-Dance Performances in the Shaman Rituals: and

한국연극학 | 40 | 2010 | 연극

굿 속의 탈놀이:<영산 할아뱜.할먐굿>과 <탈굿>

The Mask-Dance Performances in the Shaman Rituals: and The Mask-Dance Performances in the Shaman Rituals: and

한국연극학 | | 40 | 2010 | 연극

琉球 오모로사우시의 고대·중세 서사시적 특성-한국의 중심부와 주변부 제주 신화와의 대비를 적용하며

Peculiarities of ancient and medieval heroic epic in Ryukyu Omorosausi - Apply to contrast the central part of Korea and periphery Jeju Myth

비교민속학 | 47 | 2012 | 역사학

6.25전쟁 이후의 중·북부지역 가면극의 변화양상

The changes in the Korean Mask Dramas of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after the Korean War

공연문화연구 | 22 | 2011 | 기타예술일반

전통연희의 무대적 수용에 관한 연구 -봉산탈춤에서 창작탈춤으로

A Study of the Stage Adaptation of Traditional Performance; from Bong San Tal Chum to Contemporary Creative Mask Danced Theater.

민족미학 | 10 | 2 | 2011 | 미학일반

오락프로그램을 통한 전통극 교수·학습의 한 사례 - <봉산탈춤>과 <무한도전>의 언어 표현을 중심으로

A Study of Teaching-Learning a Traditional Theater Through an Entertainment Program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5 | 2 | 2011 | 국어교육

제주도 본풀이의 젠더 담론과 그 여성문학적 의의

The Gendered of Bonpuri(oral myth of Jeju-island) and its feminist meaning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제주도 본풀이의 젠더 담론과 그 여성문학적 의의

The Gendered of Bonpuri(oral myth of Jeju-island) and its feminist meaning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이후 봉산탈춤의 변화양상

A study on the change and aspect of Bongsan masked drama after its designation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민속학연구 | 30 | 2012 | 역사학

제주 본풀이의 공간구조와 의미 연구: <초공본풀이>, <이공본풀이>,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

On the signification of spatial structure in Jeju Bonpuri : chogong‐Bonpuri, igong‐Bonpuri, sekyong‐Bonpuri

기호학 연구 | 32 | 2012 | 언어학

봉산탈춤 노장과장의 구성방식과 연행양상

Structure of Bongsan Mask Dance's Nhojang Gwajang and the Aspects of Its Performance

국학연구론총 | 8 | 2011 | 기타인문학

봉산탈춤의 동작언어학적 의미체계 연구

A Study on the Kinesic-Linguistic Significance System of Bongsan Talchum

한국무용연구 | 28 | 2 | 2010 | 기타무용

봉산탈춤의 동작언어학적 의미체계 연구

A Study on the Kinesic-Linguistic Significance System of Bongsan Talchum

한국무용연구 | 28 | 2 | 2010 | 기타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