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편제

연구분야 : G020100 예술체육 > 음악학 > 한국음악이론/분석

클래스 : 학파/종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641

한자 : 東便制

y06-03 학파/종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동편조 [ 東便調 ]

UF (비우선어)

 

 

동편 [ 東便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판소리 () [pansori]

N2:부분

hasMember (구성원)

 

 

김창록 [ 金昌綠 ]

hasMember (구성원)

 

 

전해송 [ 全海宋 ]

hasMember (구성원)

 

 

김세종 [ 金世宗 ]

hasMember (구성원)

 

 

박만순 [ 朴萬順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정문 [ 金正文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중고제 판소리 [ 中高制 --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우조 () [ 羽調 ]

동편제 흥보가 박타령의 바디별 음악적 구조와 특성

The Music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Dongpyenje Heungboga Baktaryeng

남도민속연구 | 20 | 2010 | 역사학

동편제 흥보가 박타령의 바디별 음악적 구조와 특성

The Music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Dongpyenje Heungboga Baktaryeng

남도민속연구 | | 20 | 2010 | 역사학

박봉술창 <춘향가>의 고조(古調)적 특성과 전승계보 고찰

The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of Pak Pong-sul’s Ch'unhyangga

한국음악사학보 | 46 | 2011 | 음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