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령

연구분야 : G020100 예술체육 > 음악학 > 한국음악이론/분석

클래스 : 음악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4807

STNet ID : 9003136

한자 : 打令
기타 : Taryeong

e01-02 음악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형성시기

x02-01 시대 시대

조선시대 () [ 朝鮮時代 ]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타령조 [ --調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국악 () [ 國樂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관악 영산회상 () [ 管樂靈山會相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판소리 () [pansori]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도드리 장단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심청가 [ 沈淸歌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수궁가 [ 水宮歌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흥보가 [ 興甫歌 ]

영남 삼현육각(三絃六角) 연구 - 통영 삼현육각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Yeongnam(嶺南) Samhyeonyukgak(三絃六角) - centered on Tongyeong(統營) Samhyeonyukgak -

한국음악연구 | 49 | 2011 | 음악학

『東大琴譜』 평조타령과 『三竹琴譜』 타령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a Pyeongjotaryeong (平調打令) in Dongdaegeumbo(東大琴譜) and a Taryeong(打令) in Samjukgeumbo(三竹琴譜)

국악교육 | 29 | 29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東大琴譜』 평조타령과 『三竹琴譜』 타령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a Pyeongjotaryeong (平調打令) in Dongdaegeumbo(東大琴譜) and a Taryeong(打令) in Samjukgeumbo(三竹琴譜)

국악교육 | 29 | 29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박영희의 ≪지신굿≫(1993/94), 민속음향의 이산 혹은 재현

Tsi-Shin Kut of Younghi Pagh-Paan, Deconstruction or Representation of Folk sound

音.樂.學 | 18 | 2 | 2010 | 기타음악학

박영희의 ≪지신굿≫(1993/94), 민속음향의 이산 혹은 재현

Tsi-Shin Kut of Younghi Pagh-Paan, Deconstruction or Representation of Folk sound

音.樂.學 | 18 | 2 | 2010 | 기타음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