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적인것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874

STNet ID : 1005146

한자 : 朝鮮的--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춘향전 () [ 春香傳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국민 문학 [ 國民文學 ]

RT (관련어)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판소리 () [pansori]

RT (관련어)

 

 

조선춤

위관 이용기의 저술 활동과 조선적인 것의 추구

The writing activity and the pursuit of 'The Things of Chosun' of Wigwan Yonggi Lee

어문논집 | 62 | 2010 | 한국어와문학

위관 이용기의 저술 활동과 조선적인 것의 추구

The writing activity and the pursuit of 'The Things of Chosun' of Wigwan Yonggi Lee

어문논집 | | 62 | 2010 | 한국어와문학

제국의 취향, 전시되는 ‘아리랑’ ―식민지 ‘아리랑 엽서’의 성격과 의미

The Taste of the Empire, “Arirang” on the Exhibition ―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Arirang postcard” under Japanese rule

대동문화연구 | 75 | 2011 | 기타인문학

김동리와 조선적인 것 -일제말 김동리 문학사상의 형성 구조와 성격에 대하여-

Kim Dongri and his theory on Korean shamanism as alternative philosophy

한국근대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동리와 조선적인 것 -일제말 김동리 문학사상의 형성 구조와 성격에 대하여-

Kim Dongri and his theory on Korean shamanism as alternative philosophy

한국근대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 후반기 시에 나타난 향토성 문제

The Issues of Rurality in Korean Poetry of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우리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 후반기 시에 나타난 향토성 문제

The Issues of Rurality in Korean Poetry of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우리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40년대 ‘국민문학’과 좌담회의 문화정치

Cultural Politics of Symposium and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40's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40년대 ‘국민문학’과 좌담회의 문화정치

Cultural Politics of Symposium and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40's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말 <신협(新協)>의 『춘향전』공연 관련 좌담회 연구

A Study on the Round-table Discussion About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by the Theater Group, “Sin-hyeop” in late 1930s

우리어문연구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말 <신협(新協)>의 『춘향전』공연 관련 좌담회 연구

A Study on the Round-table Discussion About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by the Theater Group, “Sin-hyeop” in late 1930s

우리어문연구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