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시조

연구분야 : A100800 인문학 > 문학 > 운문
A100600 인문학 > 문학 > 문학장르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591

STNet ID : 1001029

한자 : 現代時調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시조 () [ 時調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학 () [ 文學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운문 [ 韻文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현대 가사 () [ 現代歌辭 ]

현대시조의 시조 정체성 문제

Study on the Matter of Sijo Identity in Modern Sijo

시조학논총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嘉藍 時調의 脫定型 形式 一考

Departure from fixed form of Garam's Sijo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嘉藍 時調의 脫定型 形式 一考

Departure from fixed form of Garam's Sijo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미주 발간 창작영어시조집에 나타난 시조의 형식과 그 의미 -『Around the Tree of Light』·『Modern Sijo』·『Urban Temple』을 중심으로

The Forms and Significance of Sijo Reflected in the Collection of English Sijo Published in America -『Around the Tree of Light』·『Modern Sijo』·『Urban Temple』

시조학논총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연시조의 현대적 계승과 종장 운용의 특성 - 이병기의 연시조를 중심으로 -

Modern Succession of Stanzaic Si-jo and Distinction of Concluding Line : the Case of Lee, Byoung-gi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연시조의 현대적 계승과 종장 운용의 특성 - 이병기의 연시조를 중심으로 -

Modern Succession of Stanzaic Si-jo and Distinction of Concluding Line : the Case of Lee, Byoung-gi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와 현대시조의 소통 ―리듬과 형식적 특성을 중심으로―

Communication of Modern Poetry and Modern Sijo ―Centered on rhythm and formal characteristics

비평문학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운과 1920년대 현대시조의 형성

Jo Un and Formation of Modern Sijo in 1920's

한국민족문화 | 40 | 2011 | 기타인문학

선정주 시조에 나타난 기독교 세계관

A Study on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in Seon Jeong-Joo's Sijo

시조학논총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정주 시조에 나타난 기독교 세계관

A Study on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in Seon Jeong-Joo's Sijo

시조학논총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현대 시조의 위상과 ‘2차 시조부흥운동’

The status of Korean modern Sijo(時調) and ‘the 2nd Sijoh renaissance campaign’

비평문학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조 창작교육의 실천적 연구: 사설시조를 중심으로

A Practical Study on the Creative Writing Education of Modern Sijo: focusing on the Sasul‒Sijo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조의 형식ㆍ총체성과 다원주의

The Formality and Totality of Contemporary Sijo and Pluralism

철학논총 | 65 | 3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