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시

연구분야 : A100800 인문학 > 문학 > 운문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294

한자 : 定型詩
영어 : fixed formal poetry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시(詩) () [ 詩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율시 [ 律詩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시조 () [ 時調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소네트 [sonnet]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담시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자유시 () [ 自由詩 ]

isAppliedTo (적용 대상)

 

e02-02 패턴 패턴

정형률 () [ 定型律 ]

근대 초기 시형의 모색과 율격 논의 - 김억의 「격조시형론」을 중심으로-

Explore the poetic form and discuss the metrical theory of early modern era -Based on Kyeokjosi of Kim Uk'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하윤의 번역과 시 창작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I Ha-yoon’s Translations and Poetry Writing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이름 삼행시’ 창작을 통해 본 정형시 창작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연구

Analysis on the Students’ Affective Domain about ‘Composition’ of ‘Fixed formal Poetry’ through Name Initial Poem of 3 Lines

청람어문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이름 삼행시’ 창작을 통해 본 정형시 창작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연구

Analysis on the Students’ Affective Domain about ‘Composition’ of ‘Fixed formal Poetry’ through Name Initial Poem of 3 Lines

청람어문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초기 원불교인의 시적 소통에 관한 연구 - 시조의 유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Early Won-Buddhist’s Poetical Communication - with the Pattern of Sijo ; Korean Fixed of Verse-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5 | 2010 | 원불교학

초기 원불교인의 시적 소통에 관한 연구 - 시조의 유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Early Won-Buddhist’s Poetical Communication - with the Pattern of Sijo ; Korean Fixed of Verse-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5 | 2010 | 원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