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구영언

연구분야 : A110401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한문학 > 한시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8362

STNet ID : 1002652

한자 : 靑丘永言
기타 : Cheongguyeongeon

y02-01 문헌명

저작자

김천택 (金天澤)

시대1

조선시대 (朝鮮時代)

장르/유형

가집 (歌集)

저작년_t

1728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시조집 () [ 時調集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단심가 [ 丹心歌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강호사시가 [ 江湖四時歌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하여가 [ 何如歌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만횡청류 () [ 蔓橫淸類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시여 [ 詩餘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권주가 [ 勸酒歌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시조 () [ 時調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해동가요 [ 海東歌謠 ]

R5:물리적

hasForm (형태/외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필사본 () [ 筆寫本 ]

한국의 「소쇄원」과 자연미의 지향점 -「돌의 정원」과 「졸정원」과의 비교의 관점에서

‘Sosoewon’ in Korea and the Aesthetic of Nature

Journal of korean Culture | 18 | 2011 | 현대시(국문학)

『청구영언』(가람본)의 성격과 계보학적 위상

The Nature and Genealogical Status of Cheongguyeongeon Garam Version(『청구영언 가람본』)

고전과 해석 | 9 | 2010 | 국문학사

『청구영언』(가람본)의 성격과 계보학적 위상

The Nature and Genealogical Status of Cheongguyeongeon Garam Version(『청구영언 가람본』)

고전과 해석 | 9 | | 2010 | 국문학사

박씨본 「海東歌謠」의 二數大葉 有名氏部 편제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of the Part of Isakdaeyeop Yumyeongssi in Bak Ssi Edition Haedonggayo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청구영언』(가람본)의 성격과 계보학적 위상

The Nature and Genealogical Status of Cheongguyeongeon Garam Version(『청구영언 가람본』)

고전과 해석 | 9 | 2010 | 국문학사

『청구영언』(가람본)의 성격과 계보학적 위상

The Nature and Genealogical Status of Cheongguyeongeon Garam Version(『청구영언 가람본』)

고전과 해석 | 9 | | 2010 | 국문학사

가집 서발에 나타난 가론연구

A Study on the Kagok Theory in the Sijo Anthologies of the Late Chosun Period

음악과 문화 | 25 | 2011 | 음악학

<女唱歌謠錄>의 傳承過程 考察

Study on the pass down of "Yeochanggayorok"

시조학논총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