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사본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교재/재료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019

STNet ID : 1000974

한자 : 筆寫本
영어 : Manuscript
동의어(UF) : 사본(寫本)
동의어(UF) : 수서본(手書本)
동의어(UF) : 초사본(鈔寫本)

a04-03 교재·자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녹본

UF (비우선어)

 

 

선사본

UF (비우선어)

 

 

서사본 () [ 書寫本 ]

N1:종류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한글 필사본 [ --筆寫本 ]

hasKind (종류)

 

 

초본 () [ 初本 ]

hasKind (종류)

 

 

전사본 () [ 轉寫本 ]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초고본 () [ 草稿本 ]

R1:개념적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영인본 [ 影印本 ]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이본 () [ 異本 ]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필사 [ 筆寫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사경 () [ 寫經 ]

R2:기능적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몽암집 [ 蒙庵集 ]

R5:물리적

isFormOf (형태/외형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청구영언 () [ 靑丘永言 ]

isFormOf (형태/외형의 대상개념)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주생전 () [ 周生傳 ]

isFormOf (형태/외형의 대상개념)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조선책략 () [ 朝鮮策略 ]

isFormOf (형태/외형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간독 (문헌) [ 簡牘 ]

isFormOf (형태/외형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고운당필기 [ 古芸堂筆記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완월회맹연 [ 玩月會盟宴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숙수념 [ 孰遂念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악서고존 () [ 樂書孤存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대한예전 [ 大韓禮典 ]

단국대본 『주역사전』 연구 -정고본 및 신조본의 저본을 찾기 위한 두 번째 시론

A Study on the Zhouyisijian Manuscript of Dankook University : Second Essay to Search for the Finalised Version of Zhouyisijian and Original Copy of Sinjoseonsabon

다산학 | 17 | 2010 | 인문학

단국대본 『주역사전』 연구 -정고본 및 신조본의 저본을 찾기 위한 두 번째 시론

A Study on the Zhouyisijian Manuscript of Dankook University : Second Essay to Search for the Finalised Version of Zhouyisijian and Original Copy of Sinjoseonsabon

다산학 | | 17 | 2010 | 인문학

영남대 소장본 『夙惠記略』 고찰

A study on Sukhyegiryak of Yeungnam University's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김태백전>의 영웅소설적 성격과 의미

Significance and charateristic of as a hero novel

고소설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태백전>의 영웅소설적 성격과 의미

Significance and charateristic of as a hero novel

고소설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딸리아 필사본 속의 트루바두르 도상학

The Iconography of the troubadours in the Italian Manuscripts

서양음악학 | 13 | 2 | 2010 | 음악학

이딸리아 필사본 속의 트루바두르 도상학

The Iconography of the troubadours in the Italian Manuscripts

서양음악학 | 13 | 2 | 2010 | 음악학

전통의학 문헌의 디지털 복원 및 검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restoration and verification of traditional medical documents

디지털융복합연구 | 10 | 5 | 2012 | 기타과학기술학

한국학 정본 사업의 의의

On the Scholarly Editing of Korean Classics

한국학 | 35 | 3 | 2012 | 기타인문학

박순호 소장 <궁즁도회가>의 자료적 가치와 의미

Textual Value and Meaning of owned by Park, Soon-ho

국어국문학 | 157 | 2011 | 한국어와문학

아리스토텔레스의『시학』제2권의 실재 가능성에 관한 문헌학적 연구

Une étude philologique sur la possibilité de l'existence du deuxième livre de la Poétique d'Aristote

서양고전학연구 | 41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아리스토텔레스의『시학』제2권의 실재 가능성에 관한 문헌학적 연구

Une étude philologique sur la possibilité de l'existence du deuxième livre de la Poétique d'Aristote

서양고전학연구 | | 41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闡義昭鑑諺解』의 異本에 대한 고찰

A Study on Different Versions of Cheonuisogameonhae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闡義昭鑑諺解』의 異本에 대한 고찰

A Study on Different Versions of Cheonuisogameonhae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석중옥기연록>과의 비교를 통해 본 구활자본 <형산백옥>

A Study of Hyungsanbagok in Comparison with Sukjungokgiyeonrok

한국학 | 34 | 1 | 2011 | 기타인문학

『필사본 고어대사전』 편찬에 대하여 -번역고소설 활용을 중심으로-

ON the Compilation of the Dictionary of Archaic Words of Korean Manuscripts -Centering around Its Use for Reading Translated Ancient Novels-

한국사전학 | 16 | 2010 | 사전학

『필사본 고어대사전』 편찬에 대하여 -번역고소설 활용을 중심으로-

ON the Compilation of the Dictionary of Archaic Words of Korean Manuscripts -Centering around Its Use for Reading Translated Ancient Novels-

한국사전학 | | 16 | 2010 | 사전학

“여유당집”의 성립에 관한 고찰

On the Formation of the “Anthology of Yeoyudang” (“Yeoyudang jip”)

다산학 | 18 | 2011 | 인문학

고소설에 있어 ‘流通’과 ‘詩運用’의 상관성에 관한 검토:<구운몽>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 of the Circulation and the Use of Poems in Premodern Novels: Centered on Guunmo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소설에 있어 ‘流通’과 ‘詩運用’의 상관성에 관한 검토:<구운몽>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 of the Circulation and the Use of Poems in Premodern Novels: Centered on Guunmo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생원전>의 이본 계열과 여성 독자층의 향유 의식

The Study on the Aspets and Enjoying Consciousness of the fair readers in a Different Edition of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2 | 2011 | 한국어와문학

충북 지역에 유통된 필사본 고소설의 종류와 향유층

Kinds and readership of manuscript novels distributed in Chungbuk(忠北) area

고소설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필사본 『두역신방』의 국어학적 연구

A Linguistic and Philological Analysis of Duyeoksinbang

언어과학연구 | 55 | 2010 | 언어학

필사본 『두역신방』의 국어학적 연구

A Linguistic and Philological Analysis of Duyeoksinbang

언어과학연구 | | 55 | 2010 | 언어학

필사본 『청구도』의 지명 연구

A Study of Place Names on Manuscript Edition 『Cheonggu-do』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0 | 4 | 2010 | 기타지리학

필사본 『청구도』의 지명 연구

A Study of Place Names on Manuscript Edition 『Cheonggu-do』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0 | 4 | 2010 | 기타지리학

다산茶山 저술 ‘고본稿本’의 성격과 자료 전승 현황

The Manuscripts of Cheong Yagyong’s Works and their Bibliography

다산학 | 17 | 2010 | 인문학

다산茶山 저술 ‘고본稿本’의 성격과 자료 전승 현황

The Manuscripts of Cheong Yagyong’s Works and their Bibliography

다산학 | | 17 | 2010 | 인문학

필사본과 방각본의 가치망(Value Net)분석을 통한 상호관계 재론

Rethin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uscripts and Block Books - through the Value Net Analysis -

겨레어문학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필사본과 방각본의 가치망(Value Net)분석을 통한 상호관계 재론

Rethin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uscripts and Block Books - through the Value Net Analysis -

겨레어문학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