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본

연구분야 : A100000 인문학 > 문학

클래스 : 교재/재료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456

STNet ID : 1000726

한자 : 異本
영어 : Different Version
영어 : Version
기타 : Variant
영어 : Different Versions

a04-03 교재·자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원본 () [ 原本 ]

R1:개념적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필사본 () [ 筆寫本 ]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판본 () [ 版本 ]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정본 [ 定本 ]

<전우치전>의 현대적 다시쓰기와 그 의미 - 아동용 출판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tus and Significance of Modern Rewritings in Jeonwoochi - Focusing on Publications for Children -

인문학연구 | 39 | 1 | 2012 | 기타인문학

1950년대 대학의 국문학 강독 강좌와 학회지를 통해 본 국어국문학 고전연구방법론의 형성과 확산 - 고전 텍스트 연구로서의 ‘이본’ 연구와 ‘정전’ 형성의 맥락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and Dissemination of Research Methodology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Analyzing the Academic Journals and Reading Classes Organized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Universities during 1950's - focusing on the Text research and the formation of Canon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1950년대 대학의 국문학 강독 강좌와 학회지를 통해 본 국어국문학 고전연구방법론의 형성과 확산 - 고전 텍스트 연구로서의 ‘이본’ 연구와 ‘정전’ 형성의 맥락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and Dissemination of Research Methodology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Analyzing the Academic Journals and Reading Classes Organized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Universities during 1950's - focusing on the Text research and the formation of Canon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기억과 담론’의 눈으로 보아야 할 국문학의 문제들

Issue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Light of ‘Remembrance and Discourse’

국제어문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기억과 담론’의 눈으로 보아야 할 국문학의 문제들

Issue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Light of ‘Remembrance and Discourse’

국제어문 |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代命型 서사무가들의 이본 간 관계 및구조 결정 요인

A Study on Relationship of Variant and Structural Determining Factor of Shamanic Epic of Prolongation of Life

구비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代命型 서사무가들의 이본 간 관계 및구조 결정 요인

A Study on Relationship of Variant and Structural Determining Factor of Shamanic Epic of Prolongation of Life

구비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목월 시의 이본과 결정판의 확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gard to Final Decision on Different Version and Definitive Edition of Park, Mok-Wol’s Poetry

돈암어문학 | 23 | 2010 | 국문학사

박목월 시의 이본과 결정판의 확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gard to Final Decision on Different Version and Definitive Edition of Park, Mok-Wol’s Poetry

돈암어문학 | 23 | | 2010 | 국문학사

문학치료학적 관점에서 본 <엎질러진 물> 이본의 의의

A Study of the Significance of Alternative Version of Spilt Milk in Terms of Literary Therapy

고전문학과 교육 | 19 | 2010 | 인문학

문학치료학적 관점에서 본 <엎질러진 물> 이본의 의의

A Study of the Significance of Alternative Version of Spilt Milk in Terms of Literary Therapy

고전문학과 교육 | | 19 | 2010 | 인문학

<완월회맹연>의 이본현황과 서지적 특징

A Study on Different Versions of

어문학 | 111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영화 “홍길동전”과 한국 드라마 “쾌도 홍길동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DPRK’s Film BiographyofHongGildongand the ROK’s TV Play HongGildong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0 | 기타국문학

조선영화 “홍길동전”과 한국 드라마 “쾌도 홍길동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DPRK’s Film BiographyofHongGildongand the ROK’s TV Play HongGildong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0 | 기타국문학

<명주옥연기합록>의 이본과 영남대본의 가치

The Study of Two Different Versions of Myeongjuokyeongihaprok and the Value of Yeungnam University Version

민족문화논총 | 51 | 2012 | 기타인문학

천주가사 〈사향가〉 개작본의 텍스트 구조 대조 분석

A Text Structure Comparison of the variants of the revised Sahyangga, a Korean Roman Catholic Didactic Poem.

교회사연구 | 36 | 2011 | 교회사

『闡義昭鑑諺解』의 異本에 대한 고찰

A Study on Different Versions of Cheonuisogameonhae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闡義昭鑑諺解』의 異本에 대한 고찰

A Study on Different Versions of Cheonuisogameonhae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전우치전>의 대중화 양상과 그 소설사적 의미

The Study on Popularize Aspects and Its Meanings in the Novel-history in

어문학 | 115 | 2012 | 한국어와문학

<최호양문록>의 구조적 특징과 가정소설적 위상

The Stuctural Charateristic Of and Status As a Family Novel

한국학 | 33 | 2 | 2010 | 기타인문학

<최호양문록>의 구조적 특징과 가정소설적 위상

The Stuctural Charateristic Of and Status As a Family Novel

한국학 | 33 | 2 | 2010 | 기타인문학

교육 텍스트로서의 <홍길동전>

Hong Kildong Jeon as a Educational Text

고전문학과 교육 | 20 | 2010 | 인문학

교육 텍스트로서의 <홍길동전>

Hong Kildong Jeon as a Educational Text

고전문학과 교육 | | 20 | 2010 | 인문학

<조생원전>의 이본 계열과 여성 독자층의 향유 의식

The Study on the Aspets and Enjoying Consciousness of the fair readers in a Different Edition of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2 | 2011 | 한국어와문학

<양기손전> 이본 연구

The Study on Different Versions of

국어국문학 | 160 | 2012 | 한국어와문학

『梅翁閑錄』에 대한 문헌학적 고찰 - 장서각본과 天理大本을 중심으로 -

Literary Study on 『Maeonghannok(梅翁閑錄)』-Focusing on Jangseogak(藏書閣) and Cheollidae(天理大) versions-

한국언어문학 | 76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