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본

연구분야 : H030300 복합학 > 문헌정보학 > 서지학

클래스 : 교재/재료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660

STNet ID : 1000947

한자 : 版本
한자 : 板本

a04-03 교재·자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Purpose (목적)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인쇄 [ 印刷 ]

S:동의

UF (비우선어)

 

 

간본

UF (비우선어)

 

 

판각본 [ 板刻本 ]

N1:종류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고판본 [ 古版本 ]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목판본 [ 木版本 ]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방각본 [ 坊刻本 ]

hasKind (종류)

 

 

중국본 () [ 中國本 ]

hasKind (종류)

 

 

목활자본 () [ 木活字本 ]

R1:개념적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인쇄술 [ 印刷術 ]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이본 () [ 異本 ]

R5:물리적

isFormOf (형태/외형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방각 소설 () [ 坊刻小說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금문상서 [ 今文尙書 ]

『자전석요』의 편찬과정과 판본별 체재 변화

A study on publishing process and format change for editions of JaJeonSeokYo(字典釋要)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자전석요』의 편찬과정과 판본별 체재 변화

A study on publishing process and format change for editions of JaJeonSeokYo(字典釋要)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鍼灸經驗方>>의 비판과 수용 : 판본조사와 手抄 내용을 중심으로

Criticism & Acceptance of ‘Chimgugyeongheomba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a focus on bibliography survey and transcription

민족문화 | 38 | 38 | 2011 | 기타인문학

원본비평을 통해 본 『상록수』의 텍스트 문제

The Problem of the Text of 『Evergeens(상록수)』 Seen Through the Textual criticism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원본비평을 통해 본 『상록수』의 텍스트 문제

The Problem of the Text of 『Evergeens(상록수)』 Seen Through the Textual criticism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원본비평을 통해 본 『개척자』의 텍스트 문제 : 남북한 판본의 문제점 대비 고찰을 중심으로

The Problem of the Text of 『A Pioneer』 Seen Through the Textual criticism

한국언어문학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원본비평을 통해 본 『개척자』의 텍스트 문제 : 남북한 판본의 문제점 대비 고찰을 중심으로

The Problem of the Text of 『A Pioneer』 Seen Through the Textual criticism

한국언어문학 | | 73 | 2010 | 한국어와문학

기호학과 비교신화학

Semiotics and Comparative Mythology

비교민속학 | 47 | 2012 | 역사학

원본비평을 통해 본 『탁류』의 텍스트 문제

The problem of the text of 『The Turbid Stream』 seen through the textual criticism

우리어문연구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원본비평을 통해 본 『탁류』의 텍스트 문제

The problem of the text of 『The Turbid Stream』 seen through the textual criticism

우리어문연구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브레히트의 ‘바알 개작’ - 바알 초기판본을 중심으로

Zur ‘Baal-Bearbeitung’ - Unter Berücksichtigung der frühen Baal-Fassungen

독어독문학 | 52 | 3 | 2011 | 독일어와문학

한국전쟁기 김동리 소설 연구 (1) -서지 사항 확인과 판본 비교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DONG-REE KIM’s Short Stories and Novels in the Korean War(1)

현대소설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무간기판 「세이스이쇼(醒睡笑)」간행연대 고찰 -사본과의 자구비교를 통하여-

無刊記板「醒睡笑」刊行年代考 -写本との字句比較を通して-

일본연구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무간기판 「세이스이쇼(醒睡笑)」간행연대 고찰 -사본과의 자구비교를 통하여-

無刊記板「醒睡笑」刊行年代考 -写本との字句比較を通して-

일본연구 |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몽골 게세르(Geser) 이야기의 판본과 간행

A Publication and Edition of Mongol Epic Geser

몽골학 | 30 | 2011 | 기타동양어문학

『천변풍경』의 개작 과정 연구 : 판본대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vision of Cheonbyeonpunggyeong

민족문학사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