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곡원류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4183

STNet ID : 1003148

한자 : 歌曲源流
음차어 : Gagokwonryu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악서 () [ 樂書 ]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권주가 [ 勸酒歌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시조 () [ 時調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연음표 [ 連音標 ]

<女唱歌謠錄>의 傳承過程 考察

Study on the pass down of "Yeochanggayorok"

시조학논총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말 가집『聲樂元祖 歌曲』의 성격

The Characteristics of 『Seongakwonjo Gagok(聲樂元祖 歌曲)』, as Collections of Poems of the Later 19th Century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말 가집『聲樂元祖 歌曲』의 성격

The Characteristics of 『Seongakwonjo Gagok(聲樂元祖 歌曲)』, as Collections of Poems of the Later 19th Century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女唱歌曲에 나타난 애정의 양상과 의미

Representation of Love in the Yochang-gagok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女唱歌曲에 나타난 애정의 양상과 의미

Representation of Love in the Yochang-gagok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가집 서발에 나타난 가론연구

A Study on the Kagok Theory in the Sijo Anthologies of the Late Chosun Period

음악과 문화 | 25 | 2011 | 음악학

梅花點式 長短記譜法 硏究

A Study on Maehwajeom Style Jangdan Notation System

한국음악연구 | 50 | 2011 | 음악학

가집 『知音(乾)』의 시대와 지역

The Period and Region of 『Jieum(知音)』, a Poetry Collection

시조학논총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가집 『知音(乾)』의 시대와 지역

The Period and Region of 『Jieum(知音)』, a Poetry Collection

시조학논총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가곡원류』 초기본 형성과정과 의미-<육당본> <프랑스본>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and meaning of an early version of 『Gagogwonryu』 ― with and as the center

한민족문화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歌曲源流』 連音標의 기능―남창가곡에 한하여

The Function of Yeonumpyo in Gagokwollyou

한국민족문화 | 39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