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잡영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396

한자 : 陶山雜詠

y02-01 문헌명

저작자

이황 (李滉)

저작년_t

1561. 11.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도산잡영병기 [ 陶山雜詠幷記 ]

R1:개념적

affects (영향)

 

 

고산잡영 [ 孤山雜詠 ]

RT (관련어)

 

 

퇴계잡영 [ 退溪雜詠 ]

RT (관련어)

 

 

계산잡영 [ 溪山雜詠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도산십이곡 () [ 陶山十二曲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도산서원 () [ 陶山書院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도산기 [ 陶山記 ]

退溪의 「陶山雜詠」의 理學的 含意와 그 전승

The implication of Toegye(退溪)'s Dosanjobyoung(陶山雜詠) in the perspective of the studyof Li(理學) and its succession

한국한문학연구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退溪의 「陶山雜詠」의 理學的 含意와 그 전승

The implication of Toegye(退溪)'s Dosanjobyoung(陶山雜詠) in the perspective of the studyof Li(理學) and its succession

한국한문학연구 |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도산서당 연구:교육공간의 구조와 성격

A Study on the Dosanseodang of Toegye Yi Hwang:Focused on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Space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도산서당 연구:교육공간의 구조와 성격

A Study on the Dosanseodang of Toegye Yi Hwang:Focused on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Space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退溪의 「陶山雜詠」에 나타난 공간감각의 미의식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space sense to shown on a 'The Dosan-jabyoung(「陶山雜詠」) of Toegae(退溪)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退溪의 「陶山雜詠」에 나타난 공간감각의 미의식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space sense to shown on a 'The Dosan-jabyoung(「陶山雜詠」) of Toegae(退溪)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